$\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게 부위별 및 그 추출물의 간 해독과 항산화 활성 효과
Hepatic Detox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ea-urchin Roe and Ethanol Extract of Ro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5, 2010년, pp.428 - 436  

이승주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하왕현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최혜진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조순영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최종원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urchins (Anthocidaris crassispina)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ea-urchin roe on bromobenzene (BB)-induced liver damage in rats. The antioxidative and detoxifying properties of sea-urchin roe in BB-pois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동해안 연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패류 중 하나인 성게를 이용하여, 손상된 간 조직의 해독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성게를 알, 내장, 껍질로 분획한 것을 쥐에 경구 투여하여 성게의 생리기능 활성을 조사하고, bromobenzene (Poulas and Raag, 1992)으로 급성 독성을 유발한 후 과산화지질과 이와 관련된 여러 효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동해안 연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패류 중 하나인 성게를 이용하여, 손상된 간 조직의 해독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성게를 알, 내장, 껍질로 분획한 것을 쥐에 경구 투여하여 성게의 생리기능 활성을 조사하고, bromobenzene (Poulas and Raag, 1992)으로 급성 독성을 유발한 후 과산화지질과 이와 관련된 여러 효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게의 분류학적 위치는? 성게는 극피동물문 (Phylum Echinodermata), 성게강 (Class Echinoidea)에 속하며, 주로 연안에서부터 수심이 깊은 곳까지 분포해 있다. 세계적으로는 한국 동해, 중국, 일본 연안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생산되는 성게류 중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성게는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 분홍성게 (Pseudocentrotus depressus),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nmedius) 등이다 (Ryo and Park, 1986).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성게의 종류는? 성게는 극피동물문 (Phylum Echinodermata), 성게강 (Class Echinoidea)에 속하며, 주로 연안에서부터 수심이 깊은 곳까지 분포해 있다. 세계적으로는 한국 동해, 중국, 일본 연안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생산되는 성게류 중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성게는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 분홍성게 (Pseudocentrotus depressus),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nmedius) 등이다 (Ryo and Park, 1986). 성게는 수분, 단백질, 지방, 비타민 B군과 비타민 C, 철분, 마그네슘 및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단백질은 해삼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Xenobiotics 의 일종인 bromobenzene의 특징은? , 1984), xenobiotics의 대사는 주로 간장 중에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free radicals는 생화학적 연쇄반응으로 지질의 과산화, 핵산공격, 효소단백의 변성 등을 진행시키며, 궁극적으로 조직손상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Mitchell and Hornig, 1984). 대표적인 xenobiotics의 일종인 bromobenzene은 산업화학물질로서 산업체에서 유기용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체에 폭로 시주로 간 조직 세포의 microsome에 존재하는 다기능 복합산화효소기구 (cytochrome P450)에 의해 1차 대사되어 독성이 강한 bromobenzene-3,4-oxide (epoxides)로 전환되며, 이 친전자성 물질이 세포막 및 거대단백분자와 반응하여 생체독성을 야기 시킨다고 한다 (Zheng and Hanzlik, 1991). 그리고 이 친전자성 물질은 해독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에 의하여 glutathione (GSH)과 결합하여 무독화 됨으로서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oyland and Chasseud, 1969)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931-943. 

  2. Arrick BA and Nathan CF. 1984. Glutathione metabolism as a determinant of therapeutic efficacy. a review. Cancer Res 44, 4224-4232. 

  3. Bidlack WR and Lowry GL. 1982. Multiple drug metabolism: p-nitroanisole reversal of acetone enhanced aniline hydroxylation. Biochemical Pharmacology 31, 311-317. 

  4. Boyland E and Chasseud LF. 1969. The role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in mercapturic acid biosynthesis. Advances in Enzymol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32, 173-219. 

  5. Casini AF, Ferrali M, Pompella A, Maellaro E and Comporti M. 1986. Lipid peroxidation and cellular damage in extra-hepatic tissues of bromobenzeneintoxicated mice. Am J Pathol 123, 520-531. 

  6. De la Cruz-Garcia C, Lopez-Hernandez J, Gonzalez- Castro M, Rodriguez-Bernaldo J, De Qiros A and Simal-Lozano J. 2000. Protein,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in raw and canned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harvested in Galicia (NW Spain). J Sci Food Agric 80, 1189-1192. 

  7.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 Arch Biochem Biophys 82, 70-77. 

  8. Habig WH, Pabst MJ and Jakoby WB. 1974.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and forma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9, 7130-7139. 

  9. Hasegawa LS and Hammock BD. 1982.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mammalian cytosolic epoxide hydrolase using trans-stillbene oxide as the substrate. Biochem Pharmacol 31, 1979-1984. 

  10. Hayashi O, Niki E, Kondo M and Yoshikawa T. 1984. Medical, biochemical and chemical aspects of free radicals. Elsevier Sci Pub 1-9. 

  11. Heijine WHJ, Slitt AL, van Bladeren PJ, Groten JP, Klaassen CD, Stierum RH and van Ommen B. 2004. Bromobenzene induced hapatotoxicity at the transcriptome level. Toxicol Sci 79, 411-422. 

  12. Karmen A. 1995. A note on the spectrophotometric assay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in human blood serum. 1955.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34, 131-133. 

  13. Kato R. 1977. Drug metabolism under pathological and abnormal physiological states in animals and man. Xenobiotica 7, 25-92. 

  14. Kim EJ, Lee CK and Choi JW. 1992. The effect of Scoparone on the hepatic bromobenzene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rats. Kor J Pharmacogn 23, 81-82. 

  15. Kim SY, Jung JY, Kim JR and Kim JH. 1994. The change of glutathione metabolism in liver and kidney of cisplatin treated rats. The Yeungnam Med J 11, 2. 

  16.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 2000.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 Production statistics. 

  17. Lee HJ, Kim GH and Lee EO. 2003.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methanol fraction of chinese cabbage on liver injury in rats treated by bromobenzen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17, 1177-1181. 

  18. Litwack G, Ketterer B and Aris IM. 1971. A hepatic protein which binds steroids, bilirubin, corcinogens, and a number of exogenous anions. Nature 234, 466-467. 

  19.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and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3,265-275. 

  20. Mitchell JR and Hornig MG. 1984. Drug metabolism and drug toxicology. Raven press 23-25. 

  21. Nam HK. 1986.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for sea urchin. J Korean Oil Chemists' Soc 3, 33-37. 

  22. Nash T. 1953. The colorimetric estimarion of formaldehyde by means of the hentisch reaction. J of Biological Chemistry 55, 412-416. 

  23. Oh JD. 2003. Effect of dietary Monascus Koji on the liver damage induced with bromobenzene in rats.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65-972. 

  24. Ohkawa H, Ohish N and Yak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ytical Biochemistry 95, 351-355. 

  25. Park JC, Choi JS, Song SH, Choi MR, Kim KY and Choi JW. 1997.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Kor J Pharmacogn 28, 239-246. 

  26. Poulas TL and Raag R. 1992. Cytochrome 450 cam : Crystallography, oxygen activation and elecrontransfer. FASEB J 6, 674-679. 

  27. Pryor WA. 1977. Free radical in biology : Involvement of radical reaction in aging and carcinogenesis in medicinal chemistry. Elservier and Amsterdam, 331-361. 

  28. Reid WD, Chistie B, Krishna G, Mitchell JR, Moskowitz J and Brodie BB. 1971. Bromobenzene metabolism and hepatic necrosis. Pharmacology 6, 41-55. 

  29. Reitman S and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28, 58-63. 

  30. Ryo, YG and Park DW. 1986. Studies on artificial seeding production of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A.Agasiz). Bull Fish Res Dev Agency 39, 89-96. 

  31. Wui IS, Lee JB and Yoo SH. 1992. Bioassay on marine sediment pollution by using sea urchin embryo culture in the south-west island sea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0, 92-99. 

  32. Yoo SK, Hur S and Ryu HY. 1982. Growth and spawning of the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A. Agassiz). Bull Korean Fish Soc 15, 345-358. 

  33. Yoon JK, Kim GJ and Shin JG. 1997. Effect of the equation of the equinoxes on the liver damage induced with bromobenzene in rats. J Korean Toxicol 13, 377-383. 

  34. Yu CM and Cho KA. 1999.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biological evaluation of sea water with sea urchins. J Korean Environ Sci Soc 8, 160-164. 

  35. Zheng J and Hanzlik RP. 1991. Premercapturic acid metabolites of bromobenzene derived via its 2,3- and 3,4-oxide metabolites. Xenobiotica. the Fate of Foreign Compounds in Biological Systems 21, 535-5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