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초, 겨자 및 키토산을 첨가한 저염 고추장의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560 - 566  

임성일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송선미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초, 겨자, 키토산을 이용하여 전통고추장의 염도를 30% 낮춘 고추장을 제조하여 고추장의 발효 중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도를 8.5%에서 6.8%, 5.9%로 낮추고 감초, 겨자, 키토산을 첨가하여 40일간 발효한 고추장 내부의 총 균수, 효모수, 색도에서는 처리구간별 유의성이 없었고 젖산균에 있어서는 유의적이었으나(p<0.05) 첨가물이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저염 고추장은 8.5% 염도의 고추장에 비해 고추장표면에 오염 또는 이상발효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첨가물을 함유한 고추장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저염 고추장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20일에 8.5% 염도의 고추장과 유사하였으나, 발효 40일째에서는 염도 8.5%의 고추장에 비해 첨가물을 첨가한 5.9% 염도의 고추장에서 1.6배 높게 검출되었다(p<0.01). 관능평가에서는 첨가물을 첨가한 염도 5.9%의 고추장의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감초, 겨자, 키토산의 첨가는 고추장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5.9%까지 염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added with mixed additives (licorice 0.8%, mustard 0.7%, chitosan 2%)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for 40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able and yeast cell counts and color among all treatments, whereas lactic acid bact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장류 발효시 저염화에 관한 연구로 제조과정에서의 알코올(8,9), 젖산(9), 마늘(10), 키토산(11), 겨자(12) 등을 첨가하거나 감마선을 조사하는 방법(13) 등이 부분적으로 연구·보고되는 등장류에서의 저염화는 소비자 요구에 부흥하려는 연구자와 제조업자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미생물인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이 있으며 또한 Bacillus subtilis에 대해서도 생육억제 효과가 강하다고 알려진 감초(14)와 키토산 및 겨자를 혼합 첨가한 저염 고추장을 제조하고 발효 중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발효특성을 분석하여 고추장의 저염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양의 소금 섭취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혈압은 어떤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인가? 특히 소금에 민감한 사람이 계속하여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면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1).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및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35%, 허혈성 심장질환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21%로 알려져 있다(2). 또한 장기간 높은 수준의 소금 섭취는 신장질환, 위암, 골다 공증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된다(1-4).
식염의 역할은 무엇인가? 식염은 발효식품의 부패미생물 생육을 억제하고 내염성의 발효미생물이 선택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나트륨의 섭취는 혈액량이 증가되어 혈압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소금에 민감한 사람이 계속하여 지나친 나트륨의 섭취를 한다면 어떤 질병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가? 그러나 지나친 나트륨의 섭취는 혈액량이 증가되어 혈압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소금에 민감한 사람이 계속하여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면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1).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및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35%, 허혈성 심장질환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21%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ahl LK. 2005. Possible role of salt intake in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Int J Epidemiol 34:967-972. 

  2. Jee SH, Suh I, Kim IS, Appel LJ. 1999.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AMA 282: 2149-2155. 

  3. He FJ, Markandu ND, Sagnella GA, de Wardener HE, MacGregor GA. 2005. Plasma sodium: ignored and underestimated. Hypertension 45: 98-102. 

  4.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 1-6.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The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S III). Korea.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95 National nutrition survey report. Korea. p 46-47. 

  7. Nam HW, Lee GY. 1985.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their metabolism of the pregnant women in the Korea. Korean J Nutr 18: 194-200. 

  8. Yamamoto Y, Higashi K, Yoshi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on food spoilage bacteria.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531-535. 

  9. Lee KS, Kim DH, Moon CO. 1986. Effect of ethanol and lactic acid on the preparation of low salted kochujang.Thesis Collection of Wonkwang Univ (Iksan) 20: 143-164. 

  10. Kim DH, Lee JS. 2001. Effect of condi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53-360. 

  11. Yun YS, Kim KS, Lee YN. 1999.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 of chitosan. J Chitin Chitosan 4: 8-14. 

  12. Shin DH, Ahn EY, Kim YS, Oh JA.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containing horseradish or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50-1357. 

  13. Chun MS, Lee TS, Noh BS. 1992.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quality of kochujang during storage. Foods Biotechnol 1: 117-122. 

  14.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15. Lim SB, Kim DO, Kim SH, Mok CK, Park YS. 2001.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 treated with heat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1-616. 

  16. Sacler GO. 1994. Titratable acidity. In Introduction to the chemical analysis of foods. Nielsen SS, ed. James and Bartlett Publisher, London, UK. p 83-94. 

  17. Oh JY, Kim YS, Shin DH. 200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natural preservativ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35-841. 

  18.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h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y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1-906. 

  19. Shim KH, Seo KI, Kang KS, Moon JS, Kim HC. 1995. Antimicrobial substances of distilled components from mustard seed. J Korean Soc Food Nutr 24: 948-955. 

  20. Tokuoka K, Mori R, Isshiki K. 1992. Inhibitory effects of volatile mustard extract on the growth of yeas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9: 68-73. 

  21. Oh JY, Kim YS, Shin DH.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ies of low-salted kochujang added with horseradish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63-467. 

  22. Kim MH, Oh SW, Hong SP, Yoon SW. 1998.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the microorganism related to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39-1447. 

  23. Kim DH, Yang SE.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sub-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7-104. 

  24. Park WP. 1993. Quality change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mixing rations of raw starch material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Nutr 22: 433-436. 

  25. Kwan DJ, Jung JW, Kim JH, Park JY, Yoo JY, Koo YJ,Chung KS. 1996. Studies on establishment of optimal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Agric Chem Biotech 39: 127-133. 

  26. Kim MS, Kim IW, Oh JA, Shin DH. 1998.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24-933. 

  27. Kim YS, Cha J, Jung SW, Park EJ, Kim JO.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ices for industry produced koji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53-458. 

  28. Kim YS, Shin DB, Koo MS, Oh HI. 1994.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89-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