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목적으로 브로콜리잎 분말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80% 메탄올, 80%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재래식 고추장 및 개량식 고추장과 비교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각각 524.2와 541.9 mg GAE/100 g으로 재래식 고추장의 431.0과 499.9 mg GAE/100 g보다 각각 22%와 8%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1.6배 높았으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과 재래식 고추장이 비슷하였다. 활성산소 흡수능력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각각 55%와 23% 높았다. ACE 저해 활성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는 유사하였으나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2.6배 높았다. 항암활성은 브로콜리 고추장의 80%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 대장암 세포주(HT-29)와 폐암 세포주(NCI-H1229)에서 각각 10.7과 18.3%의 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브로콜리잎의 건조분말을 첨가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고추장은 총페놀 함량이 높으며, 재래식 고추장이나 공장식 고추장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브로콜리 분말의 첨가에 의해 고추장의 기능성이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me-made broccoli Kochujang (HMBK)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5% broccoli leaf powder. Its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were measured in extracts (80% methanol, 80% ethanol, and distilled water) and compared with home-made Kochujang (HMK) and factory-produced Kochujang (FPK).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s68 세포(1.0×105 cells/mL) 및 HT-29와 NCI-H1229 세포(2.5×105 cells/mL)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20 μL 가하였다.
  • 고추장 50 g에 80% 메탄올, 80% 에탄올, 물을 각각 1 L 가하고 24시간 동안 3회 추출하여 상층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고추장 추출물은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시킨 후 EtOH : PBS=1:1 용액을 가하여 100 mg/mL로 제조한 후 0.
  • 고추장 추출물에 100 μL에 fluorescent 표준 용액 50 μL를 가하고, 과산화 radical 유발물질인 AAPH를 인산완충액에 가해 34 mM로 희석한 후 50 μL 가하여 반응시킨 후 FLUOstar OPTIMA(BMG Labtech, Inc., Offenburg, Germany)를 사용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ion 538 nm에서 1시간 동안 3분마다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고추장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 방법(15)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100 μL와 100μ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Sigma-Aldrich Co.
  • 고추장 추출물의 활성산소 흡수능력(ORAC)은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fluorescent의 감소율로 측정하였는데, 과산화 radical의 생성을 위해 2,2'-azobis(2- 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 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16).
  • 고추장을 80% 메탄올, 80% 에탄올, 그리고 물로 추출하여 추출물 중의 총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Table 2). 총페놀 함량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각각 524.
  •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목적으로 브로콜리잎 분말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80% 메탄올, 80%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재래식 고추장 및 개량식 고추장과 비교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각각 524.
  • 대장암 세포주(HT-29)와 폐암 세포주(NCI-H1229)에 각각의 고추장 추출물(5 mg/mL)로 처리하여 정상세포주인 피부섬유 아세포(Hs68)의 생장과 비교하여 증식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Table 5). 대장암 세포주(HT-29)인 경우는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모든 고추장에서 세포 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만이 1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브로콜리잎 분말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으며, 80%메탄올, 80%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및 항암활성을 분석하여 재래식 고추장 및 개량식 고추장과 비교하였다.
  •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고추장은 제주지역에서 재배한 브로콜리의 잎을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도내 전통장류 제조업체인 D영농조합에서 재래식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하도록 기술 지도하였다. 개량식 고추장은 시내 대형매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여기에 DMSO(Sigma-Aldrich Co.) 150 μL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을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으로 Hs68 세포의 생장과 비교하여 증식 저해활성과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 , Leicester,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염도는 시료 5 g을 증류수 50 mL로 희석한 후 2% K2CrO4를 지시약으로 하고 0.01 N AgNO3로 적정하여 계산하였다.
  • 이 용액에 20% Na2CO3 300 μL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증류수를 가하여 2 mL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을 23℃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gallic acid를 이용한 검량선과 비교하여 총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 개량식 고추장은 시내 대형매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재래식 고추장의 성분비율은 고춧가루(국내산) 35%, 메주분말(제주콩메주) 11%, 조청(국내산) 7%, 찹쌀가루(국내산) 8%, 천일염(국내산) 10%, 정제수 29%이며, 브로콜리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에 정제수 대신에 브로콜리 분말을 5%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개량식 고추장의 주요 재료는 고춧가루 6.
  • 즉 고추장 추출물(10 mg/mL) 50 μL를 α-glucosidase 효소액(0.3 U/mL) 50 μL, 20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 50 μL와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예비 배양한 후 3 mM pNPG(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100 μL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0.1 M Na2CO3를 750 μL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고추장은 제주지역에서 재배한 브로콜리의 잎을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도내 전통장류 제조업체인 D영농조합에서 재래식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하도록 기술 지도하였다. 개량식 고추장은 시내 대형매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재래식 고추장의 성분비율은 고춧가루(국내산) 35%, 메주분말(제주콩메주) 11%, 조청(국내산) 7%, 찹쌀가루(국내산) 8%, 천일염(국내산) 10%, 정제수 29%이며, 브로콜리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에 정제수 대신에 브로콜리 분말을 5%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 검량선 작성을 위한 표준용액으로는 trolox(6-hydr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 Sigma-Aldrich Co.)에 인산완충액을 가해 각각 1.65, 3.12, 6.25, 12.5, 25.0, 50.0 μM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대조구로는 acarbose (78.125 μg/mL)를 사용하였다.
  • 대조구로는 captopril(100 μg/mL)을 사용하였다.
  •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주인 Hs68, 대장암 세포주인 HT- 29, 그리고 폐암 세포주인 NCI-H1229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았다. 세포는 100 units/mL의 penicillin과 100 μg/mL의 streptomycin(Gibco Inc.
  • 즉 추출물 100 μL와 100μ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용액 900 μL를 혼합한 후 실온(암실)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BHA), quercetin(Sigma-Aldrich Co.)을 사용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데이터처리

  •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row (A,B) and the column (a,b)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row (A-C) and the column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row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각 군의 차이는 분산분석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와 Student's의 t-test로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0 μM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Fluorescent 표준 용액은 Ou 등(17)의 방법에 따라 fluorescein sodium salt(Sigma-Aldrich Co.)를 75 mM phosphate buffer에 가하여 78 nM 농도로 제조하였다. 고추장 추출물에 100 μL에 fluorescent 표준 용액 50 μL를 가하고, 과산화 radical 유발물질인 AAPH를 인산완충액에 가해 34 mM로 희석한 후 50 μL 가하여 반응시킨 후 FLUOstar OPTIMA(BMG Labtech, Inc.
  • 고추장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14). 추출물(1 mg/mL) 100 μL와 증류수 900 μL를 혼합하고,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100 μL를 가하여 잘 섞은 후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 수분은 105℃ 상압건조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조지방은 에테르 추출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 )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암세포 생장 저해효과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0). Hs68 세포(1.
  • 일반성분 함량은 AOAC법(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분은 105℃ 상압건조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조지방은 에테르 추출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이란 무엇인가? 고추장은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 콩 단백질에서 오는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룬 식품으로 전통 향신조미료인 동시에 기호식품이다(1). 고추장의 제조법에는 콩을 자연 발효하여 만든 메주를 사용하는 재래식 방법과 koji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개량식 방법이 있는데, 발효과정에서 미생물의 종류와 소금의 농도에 따라 숙성 중의 성분변화가 다양하며, 맛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브로콜리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무엇인가? 브로콜리는 십자화과 채소로서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및 항균 활성을 비롯하여 브로콜리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류, 비타민류, 미네랄류가 기능성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glucosinolates의 효소적 가수분해 산물인 isothiocyanates, nitriles, sulfides는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2).
브로콜리 고추장, 재래식 고추장, 개량식 고추장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브로콜리 고추장에서 가장 높게 측정된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은? 71%였다고 보고하였는데, 재래식 고추장의 수분함량과 유사하였다. 다양한 원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숙성 중 미생물이 분비하는 여러 효소의 작용에 의해 유리수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단백 함량은 브로콜리 고추장, 재래식 고추장, 개량식 고추장이 각각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2-156. 

  2. Jung YC, Choi WJ, Oh NS, Han MS. 1996.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asts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53-259. 

  3.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1-906. 

  4. Lim SI, Choi SY, Cho GH. 2006.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79-784. 

  5.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Kim SY. 1999.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by red ginseng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0-765. 

  6. Hwang SJ, Kim JY, Eun JB. 201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unctional components of Gochujang with different amounts of sweet persimmon p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68-1674. 

  7. Suh HJ, Chung SH, Yoo KW, Son HS. 1997. Inhibitory effect of kochuja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Allied Health Sci 23: 21-25. 

  8.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9. Kim SO, Kong CS, Kil JH, Kim JY, Han MS, Park KY. 2005.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and kochujang inhibit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J Food Sci Nutr 10: 349-352. 

  10. Stoewsand GS. 1995.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in Brassica oleracea vegetable - a review. Food Chem Toxicol 33: 537-543. 

  11. Kwon YD, Ko EY, Hong SJ, Park SW. 2008. Comparison of sulforaphane and antioxidant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maturity of broccoli. Kor J Hort Sci Technol 26: 344-349. 

  12. Lee HS, Park YW.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rom different parts of broccoli extracts under high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59-764. 

  13.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Chapter 4, p 33-36. 

  14.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D,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445-450.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 4437-4444. 

  17.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18. Watanabe J, Kawabata J, Kurihara H, Niki R.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tochucha (Eucommia ulmoides). Biosci Biotech Biochem 61:177-178. 

  19.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348. 

  20. Ferrari M, Fornasiero MC, Isetta AM. 1990. MTT colorimetric assay for testing macrophage cytotoxic activity in vitro. J Immunol Methods 131: 165-172. 

  21. Jeong DY, Shin DH, Song MR. 2001.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Culture 16: 260-267. 

  22. Kim MR, Kim JH, Wi DS, Na JH, Sok DH.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201-1207. 

  23. Youn K, Kim J, Yeo HR, Jun M. 2011. Improving the functional quality of Kochujang added with red ginseng and fermented wild herba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75-1679. 

  24.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25. Matsui T, Ueda T, Oki T, Sugita K, Terahara N, Matsumoto K. 2001.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on of natural acylated anthocyanins. 1. Survey of natural pigments with potent inhibitory activity. J Agric Food Chem 49: 1948-1951. 

  26. Kuba M, Tanaka K, Tawata S, Takeda Y, Yasuda M. 2003.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isolated from tofuyo fermented soybean food. Biosci Biotech Biochem 67: 1278-1283. 

  27. Kim JY, Park KW, Yang HS, Cho YS. 2005. Anticancer and immuno-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Kochujang. Korean J Food Preserv 12: 173-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