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유치원 급식품질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Parents' Satisfaction on Foodservice Quality of Kindergartens in Chungbuk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613 - 623  

이주영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북지역 유치원 재학원아의 학부모 312명을 대상으로 급식의 이용실태, 인식, 31개 급식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치원 급식의 질 향상과 합리적인 운영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인 학부모 중 여성이 66.7%, 남성이 33.3%이었으며, 아버지의 직업은 84.5%가 직장인이었으며 어머니의 직업은 54.5%가 직장인이었다. 조사대상 유치원에 재학 중인 자녀는 남자가 61.2%, 여자 38.8%로 나타났고 자녀의 나이는 만 5세가 36.5%로 가장 많았다. 유치원의 급식담당자를 대상으로 급식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영양사가 배치된 곳은 77.3%이었으며 영양사 미배치 시 식단 작성은 원장, 원감 또는 보육정보센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40%로 높았다. 조리사가 배치된 유치원은 81.8%이었으며 배치된 조리사의 수가 1명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사장소로는 유치원 전용급식실 이용하는 곳이 29.6%로 나타났고 급식비는 1달 20일 기준으로 평균 1927.95원이었다. 학부모대상 유치원 급식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급식 참여이유에 대해 '시간 연장제, 종일제 수업으로 인하여'가 50.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고, 점심급식 이외의 추가급식을 원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급식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71.5%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급식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 평균 4.46점으로 나타나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급식서비스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분석결과 31개 속성들은 음식, 메뉴, 시설, 위생, 분위기, 급식효과 영역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급식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결과 속성과 영역 모두에서 중요도가 수행도 보다 높게 평가되어 모든 품질에 대해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행도 분석결과를 도식화 한 결과 '식탁 및 의자의 안전성', '환기', '식기의 위생', '식탁 및 의자의 위생', '식탁 및 의자의 위생'으로 속성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지만 잘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이 위치한 지역, 시설유형, 급식운영 형태에 따라 학부모가 인식하는 급식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군지역의 중요도 및 수행도 점수가 더 높았고 위생영역은 사립유치원에서, 급식의 효과 영역은 국 공립 유치원에서의 수행도 점수가 높았으며 공동운영일 경우 중요도 및 수행도 점수가 더 높았다. 유치원 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74점으로 보통수준의 만족도 점수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급식품질속성을 분석한 결과 31개 속성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 46.3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안전한 식재료'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보조금의 확대와 시설운영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행정기관의 지원 체계 강화가 요구되며 급식의 원료자원인 음식 및 물적 자원인 급식관련 시설 위생과 식사시설의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급식서비스 품질속성을 고려하여 보다 보완되고 체계화된 유치원 급식프로 그램의 명문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perceptions toward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foodservices quality at kindergarten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thirty-one quality attributes of foodservice operat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500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개선이 요구되는 품질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유치원 급식의 질 향상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충북지역 유치원 재학원아의 학부모 312명을 대상으로 급식의 이용실태, 인식, 31개 급식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치원 급식의 질 향상과 합리적인 운영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유치원 급식의 운영 실태와 급식에 대한 학부모 의견 및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급식 품질에 영향을 주는 품질 특성요인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정도(중요도) 및 실제 제공된 급식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때에 규칙적인 식사의 제공으로 충분하고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해 주어야 하며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이유는?  유아기 때에는 식품과 식생활에 대한 가치가 형성되는 시기로 영양소의 충분한 섭취뿐만 아니라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시기이므로 규칙적인 식사의 제공으로 충분하고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해 주어야 하며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7).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이나 식생활은 건강과 체력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격이나 정서적 · 지적 발달과 사회생활, 대인관계,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20).
유아의 의미는? 유아는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로 이 시기에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과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고 그 결과는 일생에 걸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기에는 스스로 먹는 행동을 익히게 되며 음식에 대한 기호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운동능력이 발달되고 신체기능 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다른 사람들과 상호 교류하는 방법,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행동 양식들을 배우게 된다(2-4).
급식을 통하여 유아들은 무엇을 기를 수 있는가?  따라서 유치원 급식은 유아기의 영양과 건강 측면에서 유아들의 성장과 신체 유지와 식습관 형성을 도와주는 요건으로(5), 유치원이 유아들을 교육하는 기관에 그치지 않고 유아의 건강관리와 영양섭취,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8,9). 이외에도 합리적인 식생활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고(5,10) 가정에서의 식사운영과 유아 스스로의 음식 선택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유아, 부모 및 가족의 식생활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이 될 수 있으며(4,7,11), 급식을 통하여 유아들은 식생활 예절, 생활규칙, 협동정신과 공동체 의식을 기를 수 있다(12). 다수의 피급식자에게 일정한 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반 급식과는 동일하지만 식사를 매개체로 하여 식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식습관을 형성하고 편식을 교정하여 신체의 균형 잡힌 성장을 도모하며 나아가 국민의 식생활 개선에 도움을 주는 등의 교육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학교급식(13)과 마찬가지로 유치원 급식 또한 이와 같은 국가적 · 정책적 목적과 교육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야 하며(7), 다른 유아들과 같은 식사를 한다는 친근감과 식사를 매개로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관계 형성에 의해 사회성 훈련이 되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4,7), 영양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움을 줌으로써 유아의 신체뿐 아니라 정서적 성장 발달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Guidance on foodservice operation in kindergarten. Korea. 

  2. Kim HJ. 2003. A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s of the lunch program at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focusing o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MS Thesis. Joongbu University, Chungnam, Korea. p 5-40. 

  3. Choi MS. 2000. Comparison preschool children's favorite food between preschool teachers and parents.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p 2-3. 

  4. Han IS. 2000. A study on the status of snacks and lunch in kindergarte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3-4. 

  5. Kim JS. 2003. A study on the meal servi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their behaviors during meal time and teacher's guidance in their meal life.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7-45. 

  6. Lee Y, Kim MR. 1991.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by development approach. Yangseowon, Seoul, Korea. p 7-14. 

  7. J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Korean J Early Childhood Education 23: 261-284. 

  8. Darke MA. 1992. Menu evolution; nutrient intake of young children. J Nutr Edu 249: 145-148. 

  9. Wright DE, Radiclife JD. 1992.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care facilities. J Nutr Edu 24: 198-201. 

  10. Kim AS. 1999.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3-30. 

  11. Jung MR, Bae SY, Lee YM.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s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Korean J Home Econ 38:99-113. 

  12. Ko YE. 2001. A survey on foodservice and snack of kindergartens.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0-34. 

  13. Kim HJ. 2002. The educational effect of school foodservice.Kyoyukmadang21, Seoul, Korea. p 7. 

  14. Lim JT. 2001. Operational management of kindergartens.Yangseowon, Seoul, Korea. p 4-20. 

  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6. The present state of kindergartens in Korea. Korea. 

  16. Jeon IK. 1994. A research study about the children nursery's feeding system.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 20-42. 

  17.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The law on kindergarten program. Korea. 

  18. Lim JH. 2004.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full-day,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their mother of kindergarten in Daejon. MS Thesis. Joongbu University, Gwangju, Korea. p 7-37. 

  19.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2003. The present status of supporting system for public kindergartens. Korea. p 10-12. 

  20. Koo JO. 1999.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4: 23-628. 

  21. Branen L, Fletcher J. 1999. Comparison of collage students' current eating habits and recollections of their childhood food practices. J Nutr Edu 31: 304-310. 

  22. Clements IM. 1994. Changing menus changing habits.School Food Service Journal 48: 34-35. 

  23. Hammond GK, Barr SI, McCargar LJ. 1994.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an innovative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 Behvr 26: 233-237. 

  24. Birch LL, Johnson SL, Fisher JA. 1995. Children's eating:The development of food-acceptance patterns. Young Children 50: 71-78. 

  25. Jung MR, Bae SY, Lee KW, Lee YM. 1997. Menu planning for infant's lunch and snacks. Yuyoung Foundation, Seoul, Korea. 

  26. Park JK. 1990. The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 and its improvement proposal in Korea. Korean J Nutr 23:213-218. 

  27. Bae SY, Jung MR. 1996.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snack and lunch time in kindergarten. Korean J Child Studies 17: 117-135. 

  28. Yang IS, Kim OK. 1997.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umsaedae, Seoul, Korea. p 3-20. 

  29. Choi KY, Lee HS, Kim EH. 2005. Meal services and young children's eating habit guidances by kindergarten types.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c 10: 337-360. 

  30. Choi ES, Lee YE. 2009. Quality evaluation of foodservice with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4: 267-278. 

  31. Lee YM. 2005. The different view point of child education center foodservice program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0: 654-667. 

  32. Heo HK, Kim SH. 1991. Theory and practice on the education for infant's health. Changjisa, Seoul, Korea. p 7-21. 

  33. Chae YM. 1998. Parent's perceptions of guidance on children's eating habits in kindergarten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3-4. 

  34.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1: 229-239. 

  3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he law on education for infants. Korea. 

  36. Song KM. 1997. The effect of school foodservice on student's food habit.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p 5-27. 

  37. Yang IS, Lee YE, Cha JA, Chae Is, Kang HS. 2002. School foodservice in Korea: investigation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Korean J Community Nutr 7: 361-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