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입원한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 영향 요인
Health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dmitted to Hospital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1, 2010년, pp.16 - 25  

강경자 (분당 서울대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  유수정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that health motivation, stage of change and cardiac risk factors have on health behaviors in Korea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CAD) admitted to hospital.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7 patients with CAD hospi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습관 변화의 필요성을 받아드릴 준비 여부가 충분히 확인되지 못한 채 퇴원할 수 있는 행위전단계에 있는 관상동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퇴원 후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여 임상현장에서 구체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한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 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 등과 건강행위를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건강행위 변화단계 중 행위전단계에 있는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 및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관상동맥질환은 재발이 흔한 질환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으로의 변화가 필수적이며, 특히 급성기 병원에서 처음으로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을 받은 행위전단계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한 건강행위 변화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행위와 수정가능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동기와 건강행위 변화단계와의 관계 및 이들 변수들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5월부터 2009년 7월까지 3차 급성기 병원에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치료중인 환자 127명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동기와 건강행위 변화단계, 건강행위 이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 정도를 파악한다. •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한다. • 관상동맥질환자에서 건강행위 및 심혈관 위험요인, 건강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건강동기, 건강행위 변화단계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알려진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은 나이, 성별, 가족력 등의 조절불가능한 요인과 혈중 지질농도, 식이, 고혈압, 흡연, 비만, 운동부족, 성격, 스트레스 등 조절가능한 요인으로 알려져있어 이와 같은 위험요인은 질병의 발생 뿐 아니라 질병의 재발에도 영향을 미친다(Grundy, Pasternak, Greenland, Smith, & Fuster, 1999; Haskell, 2003). Black과 Matassarin Jacos(Kim & Yi, 2007에 인용됨)는 사망 위험이 높은 심근경색증의 경우 처음 발생시 사망률이 20-30%에 불과하지만 치료 후 다시 재발하는 경우에는 68-85%로 사망률이 훨씬 증가한다고 하였다.
퇴원 후 관상동맥질환자가 생활습관 교정을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관상동맥질환자에서 퇴원 후 생활습관 교정은 상황에 따라 환자들이 느끼는 감정을 기반으로 하여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수용할 때 가능한 것으로(Rollnick, Mason, & Butler, 2007), 건강행위의 변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부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Haskell, 2003; Song & Lee, 2000). 심장질환자들에게 2차 심장사건의 재발을 막고, 일상생활 습관의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서 환자들을 동기화 시키는 것은 심장재활의 성공에도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S. (1999). Medication compliance of recently discharged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Beckie, T. M. (2006). A behavior change intervention for women in cardiac rehabilitat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1(2), 146-153.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4. Grundy, S. M., Pasternak, R., Greenland, P., Smith, S., & Fuster, V. (1999).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by use of multiple-risk-factor assessment equations: a statement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irculation, 100(13), 1481-1492. 

  5. Han, A. K. (1998). Effects of a family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care behavior of cardia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Yonsei University, Seoul. 

  6. Haskell, W. L. (2003).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lifestyle interventions : effectiveness and efficacy.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8(4), 245-255. 

  7.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09). Ischemic heart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2, 2009, from http://www. hira.or.kr./common/dummy.jsp?pgmidHIRAA021100000000. 

  8. Hirani, S. P., & Newman, S. P. (2005). Patients' beliefs about their cardiovascular disease. Heart, 91(9), 1235-1239. 

  9. Jackson, L., Leclerx, J., Erskine, Y., & Linden, W. (2005). Getting the most out of cardiac rehabilitation: A review of referral and adherence predictors. Heart, 91(1), 10-14. 

  10. Jeon, H. R., & Park, J. S. (2007). A Survey of knowledge of cardiac rehabilitation and the level of educational Need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51-63. 

  11. Jeong, S. K. (2006).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ealth belief and the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Jo, H. S., Kim, C. B., Lee, H. W., & Jeong, H. J. (2004) A meta-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1), 69-84 

  13. Jung, M. H. (2006). Effect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4. Kim K. J., & Yi, M. S. (2007). A study of motivational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0(2), 125-133. 

  15. Kim, H. S. (2005). Prospective study on the relating factors to the stages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and barriers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27-36. 

  16. Lee, M. H. (2001). Study on the ra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 and sick role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Lee, Y. W., Kim, H. S., & Cho, E. Y. (2002).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1), 40-49. 

  18. Miller, W. R. (2007). Enhancing motivation for chang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S. H. Cho & S. K. Sin,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19. Nam, M.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elfefficacy and exercise/diet compliance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8-48. 

  21. Readiness score for URICA by the HABITS lab at UMIC (2007). Retrived September, 10, 2007, from http://www. umbc.edu/psyc//habits/. 

  22. Rollnick, S., Mason, P., & Butler, C. (2007). Health Behavior Change, A guide for practitioner (H. R. You, J. W. Park, & B. E. Kwen, Trans.). Seoul: Koonja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23. Son, J. T., & Suh, S. R. (2007). Comparisons on motivation for health behavior, health behaviors practice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3), 379-388. 

  24. Song, K. J. (2001).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Song, R. Y. (2006). Analyzing motivational factors to predict health behavior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4), 523-532. 

  26. Song, R. Y., June, K. J., Ro, Y. J., & Kim, C. G. (2001). Effects of motivation-enhancing program on health behavior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functional status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858-870. 

  27. Song, R .Y., & Lee, H. J. (2000). Effects of the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2), 463-4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