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1, 2010년, pp.82 - 89  

손영주 (제주한라대학 간호과) ,  송영아 (제주한라대학 간호과) ,  최은영 (조선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rsing students before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after the experience in: class satisfaction, tendency to critical thinking,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on March 20 and June 5, 2008. The PBL study was g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학습방법은 졸업 후 간호실무능력 향상과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강조하는 간호과학생들에게 있어서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고, 지식과 기술을 자율적으로 학습하도록 이끌어 내는데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간호교육현장에 PBL의 필요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PBL 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현재 통합 교과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개대학에서의 PBL 수업이 간호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대한 차이 비교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PBL 학습방법을 적용한 후 수업 전과 후의 수업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를 비교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제주시 소재 일개 간호대학의 1학년 간호과 학생으로 총 216명이었다.
  • 본 연구는 한 학기(15주) 동안의 문제중심학습 학습이 수업 만족도와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 PBL이란 현장의 실제상황을 중심으로 간학문적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하는 교과과정인 동시에 높은 단계의 사고력과 실무대처능력을 촉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교수-학습방법이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전략이다(Problem Based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Center, 2000). 본 연구에서는 Nursing 1-1-1과목과 Nursing 1-1-2과목에서 개발한 4개의 패키지로 5-6명씩의 5개의 소그룹에 적용하고 튜터가 PBL 진행 절차에 따라 토론과 학습을 진행해나가는 학습방법을 말한다.
  • 수업만족도는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배움에 대한 욕구충족 정도, 즉 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내용이 최대로 제공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Kim & Chung, 1997).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문제중심학습 후 이에 대한 학생의 욕구와 기대에 충족한 정도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1년부터 문제중심학습(PBL) 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현재 통합 교과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PBL 수업이 간호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태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 또한 PBL 수업 후 간호학생과 교수의 만족도와 자가평가 등을 측정한 연구(Hwang & Chang, 2000)와 PBL 수업과 기존의 강의식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Song, 2008) 등이 있다. 이렇듯 간호교육계에서 PBL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시행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PBL 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측정함으로써 PBL 적용을 도모하고 통합 교과과정 실현을 도모하는 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상으로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의 실천방법인 PBL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인간의 이해와 건강 관련 지식을 통합하고 응용하여 구체적인 실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학습 환경개선에 대한 방향성을 일부 제공한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도부터 PBL 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는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측정하고, 수업만족도와 학습태도 및 동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PBL을 받은 학생은 수업 전ㆍ후 비판적 사고성향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PBL을 받은 학생은 수업 전ㆍ후 수업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PBL을 받은 학생은 수업 전보다 수업 후 학습동기가 더 높을 것이다.
  • • PBL을 받은 학생은 수업 전보다 수업 후 학습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학습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문제중심의 상황학습이 강조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 이라고 칭함)은 실제적인 상황의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소그룹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형태이다(Kang, 2003). 이는 기존 교육환경이 지닌 수동적 학습자, 탈상황적 지식, 학교지식의 사회적 비적용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또한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지식과 실무의 통합능력의 고양을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Kang, 2003).
역할중심의 실무자로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즉, 간호사들에게는 임상수기능력의 습득에만 치중하는 것보다는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관련지식의 통합과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 능력을 더욱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Morales-Mann & Kaitell, 2001). 그래서 간호사에게는 역할중심의 실무자로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 그리고 자율적 탐구와 팀워크를 위한 역량이 요구된다.
문제중심학습은 기존 교육환경의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으로 제시되었는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 이라고 칭함)은 실제적인 상황의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소그룹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형태이다(Kang, 2003). 이는 기존 교육환경이 지닌 수동적 학습자, 탈상황적 지식, 학교지식의 사회적 비적용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또한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지식과 실무의 통합능력의 고양을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Kang,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Y. S., Lee, S. H., Kim, M. H., & Sun, K. S. (2005).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184-190. 

  2. Barrows, H. S. (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20(6), 481-486. 

  3. Busari, J. O., Scherpbier, A. J. J. A., & Boshuizen, H. P. A. (1996). Comparative study of medical education as perceived by students at three Dutch universiti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2), 141-151. 

  4. Facione, N. C., & Facione, P. A. (1992).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Inventory Test Manual (CCTDI). Millbrae: California Academic Press. 

  5. Forbes, H., Duke, M., & Prosser, M. (2001).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outcomes from group-based, problemba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6(3), 205-217. 

  6. Greenwood, J. (2000). Critique of the graduate nurs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Nurse Education Today, 20(1), 17-23. 

  7. Heliker, D. (1994). Meeting the challenge of the curriculum revolution: Problem-bas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1), 45-47. 

  8. Hwang, S. Y. (2003).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Hwang, S. Y., & Chang, K. S. (2000).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based on lung cancer ca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2), 390-405. 

  10. Jang, H. J. (1996).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rseware for inj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ang, I. A. (2003). The theory and practice of PBL. Seoul: Moonumsa. 

  12. Kaufman, D. M., & Mann, K. V. (1997). Basic sciences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ventional curricula: students' attitude. Medical Education, 31(3), 177-180. 

  13.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14. Kim, H. S. (1997). Problem based learning: New learning method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3, 26-33. 

  15. Kim, K. H. (2001).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Unpublished ma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16. Kim, M. K. (2006). The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to studying achi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situation. Unpublished ma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7. Kim, S. H., & Chung, O. B. (1997).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area of the 6th revis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9(2), 47-67. 

  1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2).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 Little, P. (2000). PBL in nursing. Workshop Booklet (21st-25th Feb). Newcastle: The University of Newcastle. 

  20. Morales-Mann, E. T., & Kaitell, C. A. (2001). Problem-based learning in a new Canadian curriculu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1), 13-19. 

  21. Park, J. A.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Industrial Technology, Ulsan. 

  22. Park, J. C. (2006). The influence of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Unpublished ma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3. Park, S. H. (1999).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4. Problem Based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Center (2000). PBL in nursing. PBL Workshop Booklet, Feb., Newcastle: The University of Newcastle. 

  25. Rideout, E., England-Oxford, V., Brown, B., Fothergill- Bourbonnais, F., Ingram, C., Benson, G., et al.. (2002). A comparison of problem-based and conventional curricula in nursing education.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7(1), 3-17. 

  26. Song, Y. A. (2008). Comparison of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55-62. 

  27. Thomas, R. E. (1997). Problem-based learning: Measurable outcomes. Medical Education, 31(5), 320-329. 

  28. Williams, B. (2001). Developing critical reflection for professional practice through problem-based-learn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1), 27-34. 

  29.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