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환자에 대한 이침 치료 증례보고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3 no.3, 2010년, pp.216 - 224  

황보민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정민정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임정화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양기영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침구과) ,  서형식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16 allergic rhinitis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t Cheongdogun public health center for The Good-Breath program. The Go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침구 요법 중에 經穴 자극을 이용한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는 八體質鍼9), 蜂藥鍼10), 압봉치료11) 등이 있으나 임상에서 흔히 다용되는 耳鍼 치료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침 치료를 통해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등이 고안한 알레르기비염 환자의 질병-삶의 질 평가도구 (RQLQ)를 비염의 증상과 일상생활 부분에 중점을 두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의사 진단 차트에서 사용된 비염의 증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진단 차트와의 상호 보완 및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행되는 사업에 사용되는 삶의 질 평가도구라는 점에서 증상의 직접적인 증상 변화를 위주로 작성할 수 있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수양성 비루, 비폐색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비점막의 제Ⅰ형 과민반응성 질환으로,1)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과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으로 분류되어 왔다.2)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은?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10~50% 정도로, 특히 아시아에서는 성인의 10~40%, 소아의 10~46%에서 발생한다고 보고가 있을 만큼 임상에서 흔히 보이는 질환이다3) . 국내의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유병률에 대한 조사는 많지 않으나 최근 전국 초등학생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성인보다 소아 ․ 청소년기의 유병률이 높으며 과거보다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4-6) .
청도군 보건소에서 실시한 ‘바른 숨쉬기 사업’(알레르기 비염 치료 사업)에 참가한 알레르기 비염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4주간 耳鍼 치료를 시행하여 얻은 결론은? 1. 의사 진단 차트의 전체 점수 평균은 耳鍼 치료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의사 진단 차트의 항목 중 후비루, 비폐섹, 비점막의 상태 순으로 耳鍼 치료 후 호전된 것으로 판단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삶의 질 평가서의 전체 점수 평균은 耳鍼 치료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삶의 질 평가서 항목 중 소양감, 양약에 대한 항목, 실내 공기에 대한 악화, 일상생활의 제약 등의 항목에서 耳鍼 치료 후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민양기 외 2인. 일차진료를 위한 이비인후과학임상. 서울:일조각. 2004:60. 

  2. Dykewiez MS, Fineman S. Executive summary of joint task force practice parameters 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hinitis. AM J Manage Care. 2000; 6:373-8. 

  3. Pawankar R.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the link, the new ARIA classification and global approaches to treatment.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4;4:1-4. 

  4. Min YK, Jung HW, Kim HS, Park SK. Prevalance and risk factors for perennial allergic rhinitis in korea: results of a national wide survey. Clin Otolaryngol. 1997;22:139-44. 

  5. 신태순, 이금자, 윤혜선. 국민학교 아동에서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조사. 알레르기. 1990; 10:201-12. 

  6. 지혜미, 김경원, 김창수, 손명현, 신동천, 김규언. 2006년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의 전국적 역학조사.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학회지. 2009;19(2):165-72. 

  7.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2:189-213 

  8. Kay AB, Lessof MH. Allergy;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concepts;A report of the Royal Collerge of Physicians Committee on Clinical Immunology and Allergy. Clin Exp Allergy. 1992;22(3):1-44. 

  9. 김희경, 홍승욱. 8체질침으로 치료한 金陰體質 (colonotonia) 알레르기비염환자 3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2):251-60. 

  10. 김재홍, 김창환. 봉약침 요법으로 치료한 알레르기 비염 2례에 대한 증례보고. 약침학회지. 2009;12(2):99-105. 

  11. 김주희, 고정민, 이승원, 김건형, 고영진, 이로민, 김창환, 박동석.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 대한 압봉치료의 임상효과 연구-증상과 삶의 질을 중심으로-. 침구학회지. 2007;24(3):175-85. 

  12. 최용태 외. 침구학(下). 서울:집문당, 1993: 1401-2. 

  13.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1:954-62. 

  14. Salib RJ, Drake-Lee A, Howarth PH. Allergic rhinitis:past, present and the future. Clin Otolaryngol Allied Sci. 2003;28(4):291-303. 

  15. Lieberman P. Azelastine Nasal Spray: Review of Pharmacology and Clinical Efficacy in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Allergy and Asthma Proc. 2003;24:95-105. 

  16. Rhee CS. Immuno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 Current and Future. Korean J Otolarngol. 2005;48:1312-22. 

  17. 노석선. 原色眼耳鼻咽喉科學. 서울:일중사. 1999:65. 

  18. Zhang CS, Yang AW, Zhang AL, Fu WB, Thien FCK, Lewith G, Xue CC. Earacupressure for allergic rhinitis:a systematic review. Clin Otolaryngol. 2010;35:6-12. 

  19. Junifer EF, Thompson AK, Ferrie PJ, Roberts JN. Validation of the standardized version of the rhinoconjuctivis quality of life questionnarie. J Allergy Clin Immunol. 1999;104:364-9. 

  20. 황순이, 황보민, 임진호, 지선영, 백정한, 이상곤. 비염의 평가 방법에 대한 제언; 비교 분석 및 설립.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 23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