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이 산출한 마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Acoustic Properties of Fricatives Produced by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2 no.4, 2010년, pp.93 - 100  

남정훈 (아람아동발달센터) ,  이봉원 (나사렛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oustic properties of fricatives, /ㅅ, ㅆ/ produced by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N=20, aged 6-7). All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length of friction intervals and breathing intervals of f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자료 수집은 어음목록의 처음부터 끝까지 5번 반복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각 아동의 자료는 독립된 조용한 방에서 디지털 녹음기(Edirol R-09)와 콘덴서 마이크(Mass CM-400)를 이용하여 녹음하였고, 표본추출률(sample rate)은 44,100Hz로 설정하였다. 아동의 말은 성인 남성보다 더 넓은 주파수대가 요구되기 때문에(Bernthal & Bankson, 2004), 용량의 제약이 없는 한 추출률을 높여 녹음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찰음 산출이 가능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 20명과 정상아동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후행모음의 종류와 어두·어중 환경을 다르게 한 어음목록을 발음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치경마찰음 /ㅅ, ㅆ/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중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를 측정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길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파수 값을 측정에서 제외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이들이 두 집단을 변별하지 못한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이다(조윤영,2008).
  • 본 실험에 앞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 2명과 정상아동 2명을 대상으로 어음목록의 적절성, 검사절차와 녹음환경의 문제점 여부를 예비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대상자의 나이가 어리고, 검사목록이 무의미 음절이기 때문에 실시에 앞서 연구자가 검사목록 카드를 제시하면서 어음목록을 발음하고 아동에게 이를 따라하게 하였다. 이때 속도는 정상 말속도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하였다.
  • 따라서 연구대상의 거주지가 특정지역이고,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정확도의 편차를 통제하지 못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무의미음절로 구성된 어음목록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아동에게서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주로 모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 85를 이용하여 마찰소음의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마찰구간은 소음에너지가 3000Hz이상에서 넓게 분포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마찰구간은 전체 길이를 측정한 후, 기식 부분을 제외한 길이로 하였다.
  • 본 실험에 앞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 2명과 정상아동 2명을 대상으로 어음목록의 적절성, 검사절차와 녹음환경의 문제점 여부를 예비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대상자의 나이가 어리고, 검사목록이 무의미 음절이기 때문에 실시에 앞서 연구자가 검사목록 카드를 제시하면서 어음목록을 발음하고 아동에게 이를 따라하게 하였다.
  • 주파수 값을 측정에서 제외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이들이 두 집단을 변별하지 못한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이다(조윤영,2008).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조음장애아동과 정상아동 두 집단이 산출한 마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차이를 비교한 것은 물론, 각 집단의 산출 자료를 환경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마찰음 산출에 대한 후속 연구는 물론,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음향분석 프로그램 WaveSurfer 1.85를 이용하여 마찰소음의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마찰구간은 소음에너지가 3000Hz이상에서 넓게 분포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 이때 속도는 정상 말속도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어음목록의 처음부터 끝까지 5번 반복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각 아동의 자료는 독립된 조용한 방에서 디지털 녹음기(Edirol R-09)와 콘덴서 마이크(Mass CM-400)를 이용하여 녹음하였고, 표본추출률(sample rate)은 44,100Hz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마찰음 길이 분석을 시도 하였다. 그러나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을 보다 높이고, 다양한 지역의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폭 넓은 연구가 시도된다면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에서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은 마찰구간길이에 따라 변별되므로 두 음소별로 집단 간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정상아동은 실험집단의 생활연령에 맞춘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아동 집단은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정상발달을 보이고, 지적장애,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등의 다른 장애가 없으며, 2)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의 2번과 3번 항목 실시 결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이 정상이고, 3) 우리말 조음음운평가에서 99.77%의 조음 정확도를 보이는 아동으로 선택하여 구성하였다.
  • 대상 아동의 연령을 만6-7세로 정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마찰음 /ㅅ,ㅆ/가 6, 7세경에 습득된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은1) 담당 언어치료사로부터 기능적 조음음운장애로 진단받고, 2)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의 2번과 3번 항목 실시 결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이 정상이고, 3) 지적장애,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 장애 등의 다른 장애가 없으며, 4) 우리말 조음음운평가(김영태, 신문자,2004)의 치경마찰음에서 오류를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찰음 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치경마찰음의 생략과 첨가를 보이는 아동은 제외하고, 마찰음 산출이 가능하되 그 실현에서 왜곡이 나타나는 아동으로 대상자를 한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찰음 산출이 가능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 20명과 정상아동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후행모음의 종류와 어두·어중 환경을 다르게 한 어음목록을 발음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은1) 담당 언어치료사로부터 기능적 조음음운장애로 진단받고, 2)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의 2번과 3번 항목 실시 결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이 정상이고, 3) 지적장애,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 장애 등의 다른 장애가 없으며, 4) 우리말 조음음운평가(김영태, 신문자,2004)의 치경마찰음에서 오류를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찰음 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치경마찰음의 생략과 첨가를 보이는 아동은 제외하고, 마찰음 산출이 가능하되 그 실현에서 왜곡이 나타나는 아동으로 대상자를 한정하였다. 정상아동은 실험집단의 생활연령에 맞춘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에는 치경마찰음 /ㅅ, ㅆ/와 모음 /아, 이, 우/를 포함하여 CV환경과 VCV환경으로 구성된 12개 무의미 음절 목록을 사용하였다. 모음은 모음 사각도에서 조음-음향 관계를 잘 나타내 주는 모음 세 가지를 선택하였다.
  • 마찰음 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치경마찰음의 생략과 첨가를 보이는 아동은 제외하고, 마찰음 산출이 가능하되 그 실현에서 왜곡이 나타나는 아동으로 대상자를 한정하였다. 정상아동은 실험집단의 생활연령에 맞춘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아동 집단은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정상발달을 보이고, 지적장애,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등의 다른 장애가 없으며, 2)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의 2번과 3번 항목 실시 결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이 정상이고, 3) 우리말 조음음운평가에서 99.
  •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20명의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거주지가 특정지역이고,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정확도의 편차를 통제하지 못하였다.
  • 아동의 말은 성인 남성보다 더 넓은 주파수대가 요구되기 때문에(Bernthal & Bankson, 2004), 용량의 제약이 없는 한 추출률을 높여 녹음하였다. 총 수집 자료 수는 12환경 X 40명 X 5회 = 2400개이다.
  • 충청지역의 만6-7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의 연령을 만6-7세로 정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마찰음 /ㅅ,ㅆ/가 6, 7세경에 습득된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데이터처리

  • 기능적 조음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치경마찰음 /ㅅ, ㅆ/에 대한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두 집단의 마찰구간의 길이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
  •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치경 평마찰음 /ㅅ/에서 환경과 모음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마찰구간의 길이는 모음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41.
  • 두 집단을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어음목록에 따른 마찰 구간길이와 기식구간길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음목록에 따른 마찰구간의 길이는 /시/, /씨/, /쑤/, /아싸/, /이씨/, /우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0.
  • 자료 통계 처리는 SPSS를 이용하였으며, 각 집단 내 평․경마찰음에서 모음과 CV, VCV환경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 way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고, 모음에 대하여 Scheffé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마찰구간과 기식구간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평․경마찰음에서 모음과 환경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분산분석(three way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 또한 평마찰음 내에서 CV, VCV환경과 모음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에 나타나는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마찰구간의 길이는 환경(F=6.
  • 자료 통계 처리는 SPSS를 이용하였으며, 각 집단 내 평․경마찰음에서 모음과 CV, VCV환경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 way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고, 모음에 대하여 Scheffé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 정상아동의 치경 경마찰음 /ㅆ/에서 환경과 모음에 따른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마찰구간의 길이는 환경 (F=17.
  • 평․경마찰음에 따라 두 집단의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마찰구간의 길이는 평․경음 여부(F=1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음장애아동은 치경마찰음에 있어서 어떻게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가? 치경마찰음 /ㅅ/와 /ㅆ/는 정상아동의 말소리 발달과정에서 가장 늦게 습득되는 말소리에 속한다(전희정,1998; 김민정,배소영,2000). 이것은 치경마찰음이 조음 방법이나 조음 위치 면에서 정확한 조음이 어렵기 때문이며, 따라서 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치경마찰음을 조음할 때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일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표화영 외,1999). 기능적 조음장애는 특정한 원인이 없고 감각기능이나 운동기능의 장애가 없는 조음장애를 말하는데(Bernthal & Bankson,2004), 임상현장에서도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이 치경마찰음 /ㅅ, ㅆ/에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다.
치경마찰음 /ㅅ/와 /ㅆ/가 가장 늦게 습득되는 말소리에 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경마찰음 /ㅅ/와 /ㅆ/는 정상아동의 말소리 발달과정에서 가장 늦게 습득되는 말소리에 속한다(전희정,1998; 김민정,배소영,2000). 이것은 치경마찰음이 조음 방법이나 조음 위치 면에서 정확한 조음이 어렵기 때문이며, 따라서 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치경마찰음을 조음할 때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일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표화영 외,1999). 기능적 조음장애는 특정한 원인이 없고 감각기능이나 운동기능의 장애가 없는 조음장애를 말하는데(Bernthal & Bankson,2004), 임상현장에서도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이 치경마찰음 /ㅅ, ㅆ/에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다.
정상아동은 치경마찰음 /ㅅ/와 /ㅆ/을 언제 습득하는가? 치경마찰음 /ㅅ/와 /ㅆ/는 정상아동의 말소리 발달과정에서 가장 늦게 습득되는 말소리에 속한다(전희정,1998; 김민정,배소영,2000). 이것은 치경마찰음이 조음 방법이나 조음 위치 면에서 정확한 조음이 어렵기 때문이며, 따라서 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치경마찰음을 조음할 때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일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표화영 외,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