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치조 마찰음 왜곡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fricatives distortion in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4, 2018년, pp.127 - 134  

양민교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과간협동과정) ,  최예린 (명지대학교) ,  김은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언어치료학과) ,  유현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difficulties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have in producing alveolar fricative sounds. The study will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revealing how ordinary children produce alveolar fricative sounds through five different acoustic variable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향학적 측정치 중중심적률은 ‘마찰소음 에너지의 강도’, 왜도는 ‘마찰 소음 에너지의 분포’, 첨도는 ‘마찰소음 에너지값의 집중, 분산의 정도 ’, 무게중심은 ‘마찰소음 에너지의 순간적 변화’, 분산은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중간값인 평균으로부터 변량이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으로 보겠다. 본 연구는 기능적 조음 음운장애에서 빈번히 보이는 치조 마찰음의 왜곡 오류를 중심적률, 왜도, 첨도, 무게중심, 분산을 통해 분석하여 기능적 조음 음운장애 진단과 치료에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오류음소 분석 방법 중 청지각적 분석의 특징은? 현재,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오류음소 분석 방법으로는 주로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청지각적 분석은 목표 음소가 있는 단어나 문장을 들은 뒤 분석하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대한 정확성, 일관성, 신뢰성과 관련된 객관적인 측정방법이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Bernthal & Bankson, 2003). 또한 결과를 수량화하지 못하고,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세부적인 변화를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인다.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의 특징은?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은 지능과 언어능력이 정상이고, 신경학적 문제와 구강구조의 결함을 보이지 않지만, 의사소통 시 또래에 맞지 않는 발음으로 말소리를 만드는데 다양한 문제점을 보인다.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이 보이는 주된 오류는 생략, 대치, 왜곡 등이 있다(이규식 & 이필상, 1995).
정상아동의 음소 발달의 순서는 무엇인가? 정상아동의 음소 발달은 파열음, 비음이 가장 먼저 발달하고 파찰음, 유음, 마찰음 순으로 발달한다. 5–6세가 되어도 치조 마찰음 /ㅅ/, /ㅆ/는 완전히 정조음하기 어려울 수 있다(김민정 & 배소영, 2000; 전희정 & 이승환,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rnthal, J. E., & Bankson, N. W. (2003). Articulation and phnonlogical disorders (5th edition). Boston: Allyn and Bacon. 

  2. Cheon, H. J., & Lee, S. H. (1999). The development of Korean /s/ (/ㅅ/) and /s'/ (/ㅆ/) in normal children of ages 2-7 yea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4, 1-24. 

  3. Ferrand, C. T. (2006). Speech scienc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2nd edition). Boston: Allyn and Bacon. 

  4. Kim, J. Y. (2001). Teaching methods of the articulation of fricative ‘ㅅ' in Korea languag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2, 287-305. 

  5. Kim, M. J. (2006).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11(2), 17-31. 

  6. Kim, M. J., & Pae, S. (2000).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Korean children with specific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cience, 7(2), 16-27. 

  7. Kim, S., & Kim, H. (2013).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lveolar sibilant 's', 's'' according to phonetic contex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3-10. 

  8. Lee, J. H., Jang, H. S., & Chang, H. J. (2005). A study on frequency char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Audioligy and Speech Research, 1(1), 59-66. 

  9. Lee, K. H., & Yi, B. W. (2000).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auditory cues for Korean lax vs. tense fricative distinc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19(2), 95-100. 

  10. Nam, J., & Yi, B. W. (2009). Acoustic properties of fricatives produced by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93-100. 

  11. Park, S. B, Yi, B. W, Shin, J., & Kim, K. H. (1998). Perceptual cues for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Speech Science, 4(1), 47-58. 

  12. Pyo, H. Y., Lee, J. H., Choi, S. H., Sim, H. S., & Choi, H. S. (1999). An acoustic and aerodynamic study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Speech Science, 6, 145-161. 

  13. Rhee, K. S., & Lee, P. S. (1995). Clinical case study on the correction of errors of the children in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Disorder, 18(2), 35-63. 

  14. Shin, J. (2014). Understanding speech sounds. Seoul: Korea Cultural Histor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