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CCP 적용 학교 급식소 조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분석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6, 2010년, pp.781 - 790  

장혜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440 food service workers in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ackage program (version 8.2 for Window). The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HACCP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급식소의 조리원을 대상으로 위생지식 수준을 평가하고 조리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조리원 위생교육 개선항목을 선정하고 조리원의 위생관리 수행도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Means : The food safety and sanitation performance scores were based on the mean scores measured on a Likert-type scale from 1 to 5 (1: strongly disagree ~3: neither ~5: strongly agr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도 학교급식 실시현황은 어떠한가? 2009년도 학교급식 실시현황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특수학교 11,312교 중 99.9%인 11,303교에서 급식이 실시되고 있다(MEST 2010). 1일 평균 학교급식 대상자는 총 743만명으로 초등학교는 1997년, 중학교는 2002년, 고등학교는 1999년부터 전면적으로 급식이 실시되면서 외형적으로는 빠른 성장을 해왔으나 급식대상 학생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식단의 제공이나 쾌적한 식사환경 조성,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사공급 등의 질적 개선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원 440명을 대상으로 위생 지식을 평가하고 조리원의 개인특성과 위생지식 수준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조사대상 조리원 중 연령은 40세 이상~50세 미만이 전체의 66.1%였으며,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전체의 6.4%였고, 자녀가 다니고 있는 학교에 근무하는 비율은 28.6%였다. 또한 전체의 40.4%가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하고있었다. 2. 조리원의 위생지식 평균 점수는 75.9점(100점 만점)이었고, 연령(p<0.05),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1), 조리사자격증 수(p<0.05), 학부모 여부(p<0.01)에 따라 위생지식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조리원의 위생지식 평가항목별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육류가열조리 시 내부중심온도 측정 후 기록, 세척한 물컵의 자외선 소독기 보관방법, 식중독균 증식온도, 냉동실 온도관리 기준, 비누로 수세 시 유해 미생물 완전 제거가능 항목에 대한 정답율이 평균 이하로 낮았다. 4. 조리원 위생지식 수준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도 차이분석결과 소화기 질환자⋅손상처자⋅화농성 질환자를 조리작업 시 배제, 가열조리식품 중심온도 74℃ 이상 탐침 온도계로 3곳 이상 측정⋅일지 기록, 칼⋅도마의 용도별 분리 사용, 보존식 적정 보관 등의 항목에서 위생지식점수가 높은 조리원의 수행도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5. 조리원 근무시간이 8시간이나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8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조리원이 학부모인 경우가 학부모가 아닌 경우에 비해 일부 항목에서 위생관리수행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급식소 식중독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급식소 식중독의 주요 원인은 오염된 식재료, 음식의 부적절한 냉각이나 재가열, 부적절한 보관, 조리원의 감염 또는 비위생적인 조리습관, 부적절한 기기세척과 이로 인한 교차오염 등이라고 하였다(Weingold SE 등 1994, Bryan FL 1998, Collins JE 2001). 특히 급식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조리원이 급식생산과 분배과정에서 식품과 밀접하게 접촉하므로(Farkas D 1996, Walkers E 등 2003, Kim JG 2004) 조리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위생적인 작업 수행이 식중독 발생의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Koh MS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HJ. 2005. Evaluation of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 in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1(1):105-113 

  2. Bae HJ, Lee HY. 2010. Importance evaluation about the remedies for improve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by foodservice manag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2):266-274 

  3. Bryan FL. 1991. Teaching HACCP techniques to food processors and regulatory officials. Dairy Food and Environ Sanit 11: 562-568 

  4. Bryan FL. 1998. Risks of practices, procedures and processes that lead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J Food Prot 51:663- 673 

  5. Burch NL, Sawyer CA. 1991. Food handling in convenience stores: the impact of personnel knowledge on facility sanitation. J Environ Health 54:23-27 

  6. Choi SH, Kim SH, Kwak TK. 2003. The survey of perception on obstacles in implementing generic HACCP plan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9(3):209-218 

  7. Collins JE. 2001. Impact of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on the emergence/reemergence of foodborne pathogens. Emerg Infect Dis 3(4):1-13 

  8. Eo GH, L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es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1):56-64 

  9. Farkas D. 1996. Creating awareness. Food Mgt 31:562-568 

  10. Hong WS. 2004.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second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7(1):7-28 

  11. Hong WS. 2005.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8(1):127-143 

  12.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an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part 1. Korean J Env Hlth 30(2):173-183 

  13. Kim SH, Lee YW.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Pusan. J Fd Hyg Safety 16(1):1-10 

  14. Kim SH, Lee KA, Yu, CH, Song YS, Kim WK, Yoon HR, Kim JH, Lee JS, Kim MK. 2003. Comparison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in middle schools by foodservice management types. J Korean Nutr 36(2):211-222 

  15.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Korean Home Ecomomics Assoc 43(11):127-140 

  16. Koh MS, Jung LH, Lee JO. 2004. Performance status of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in the Jeonnam area. Korean J Human Ecology 7(1):51-67 

  17.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Annual foodborne illness outbreaks. Available from http://http://e-stat.kfda.go.kr/ Accessed July 10, 2010 

  18. Kwak TK, Hong WS, Moon HK, Ryu K, Chang HJ. 2001. Assessment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Seoul. J Fd Hyg Safety 16(3):168-177 

  19. Lee HO, Shin JY, Kim YK, Cho MH, Choi HS, Om AS. 2001. Assessment on HACCP recognition and sanitary management of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r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542-548 

  20. Lee KE,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9(5):597-605 

  21. Lee OS, Lee YM, Oh YJ. 2007.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he school foodservice cooks' job satisfactions between dietitian and cook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3(2): 183-193 

  22.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2(1):68-81 

  23. Lee YE. 2008.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Koran J Food Culture 23(1):105-114 

  24.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1):22-31 

  25. Lim YH, Kwak H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Korean J Food Culture 21(4):381-387 

  26. Lyu ES. 1999.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of Pusan and Ky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4):942-947 

  27.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3):274-281 

  28. Lyu ES, Jeong DK. 1999.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398-1404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4. Guideline of sanitation management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Available from http://www.mest.or.kr. Accessed April 30, 2007 

  30.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e_kor/inform/info_data/school/1262543_10821.html. Accessed July 10, 2010 

  31. Moon HK, Ryu K. 2004. Usage status survey on some essential facilities, equipment, and documentary records for HACCP implementation in contract foodservices. J Korean Food Sci Nutr 33(7):1162-1168 

  32. Nam EJ, Lee YK. 2001. Evaluation of sanitary management based on HACCP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Taegu and Kyungpook area. J Korean Diet Assoc 7(1): 28-37 

  33. Shin SM, Bae HJ. 2010. Survey on menu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347-357 

  34. Rennie DM. 1995. Health education models and food hygiene education. J Royal Soc Healths (April):75-79 

  35. Yang IS, Park MK. 2008. Identifying the quality attribute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by city and province: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J Korean Diet Assoc 14(3):302-318 

  36. York VK, Brannon LA, Shankin CW, Roberts KR, Howells AD, Barrett EB. 2009. Foodservice employees benefit from interventions targeting barriers to food safety. J Am Diet Assoc 109(9):1576-1581 

  37. Walker E, Pritchard C, Forsythe S. 2003. Food handlers' hygiene knowledge in small food business. Food Control 14: 339-343 

  38. Weingold SE, Guzewich JJ, Fudala JK. 1994. Use of foodborne disease data for HACCP risk assesment. J Food Prot 57: 820-8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