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Gifted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3, 2010년, pp.721 - 741  

이지향 (장호원중학교) ,  김동진 (한국교원대학교) ,  황현숙 (한국교원대학교) ,  박세열 (한국교원대학교) ,  백인환 (한국교원대학교) ,  박국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verb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fter observations on teachers' questioning and feedback, students' response types and frequency analysis at middle-school class of average and gifted students. As for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발문이란 무엇인가?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교수의 단서이자, 학습자들의 참신하고 계속적인 사고활동을 유발시켜주기 위한 물음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에게 학습내용들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도록 도우며, 학습자의 학습내용 습득을 심사하고 사고과정을 촉진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박성익 등, 2004; 정민수 등, 2007; Viiri & Saar, 2006).
수업을 잘 가르치는 교사란 무엇인가? 수업을 잘 가르치는 교사란 곧 발문을 잘 하는 교사이며, 수업에 대한 흥미를 고조 시키고 학생들의 답을 확장시켜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유발시킨다(Carin, 1997). 교사의 발문과 조언은 질에 따라서 학생들의 사고활동의 질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엄규한 등, 1998).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 한 결과는?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2. 김은진 (2006). 과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들의 사고 특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25(2), 179-190. 

  3.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4.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 (2008).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1-21. 

  5. 김형도, 김동진, 박광서, 김은숙, 진동주, 박국태 (2009).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 변화 및 일반 학급 학생과의 비교. 대한화학회지, 53(2), 189-201. 

  6. 박기영 (2005). 고등학교 1학년 과학 수업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박성익, 김연경 (2004). '발문'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고찰.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68, 59-79. 

  8. 박세아 (2002).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중학교 전기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9. 박은주 (1998). 교실수업에서 안내된 상호 질문 활동이 중학생의 힘 관련 단원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6).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11. 박철웅 (2004). 지리교사의 발문 실태와 효율적 발문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1), 149-168. 

  12. 성숙경, 최병순 (2007). 과학 실험에서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연구. 대한화학회지, 51(4), 375-386. 

  13. 성진숙 (2002).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수: 확산적사고, 과학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환경.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4. 엄규한, 임청환 (1998). 학습 단계별 발문 모형의 구안적용을 통한 탐구적 사고력 신장방안. 현장교육연구논문집, 3(2), 5-44. 

  15. 오경애, 김성원 (1995). 중학교 과학영재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 및 과학 영재아의 행동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91-302. 

  16.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17. 이승택, 김진국, 정재구, 정진우 (2005). 과학 계발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과학 성적우수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4(1), 77-85. 

  18. 장진아, 이경희, 박소영, 김동진, 최병순, 박국태 (2009). 7학년 분자의 운동 단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업의 효과와 학생들의 인식. 교원교육, 25(3), 312-328. 

  19. 정민수 (2008).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유형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982. 

  21.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조연실, 주희영,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8). 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진화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1-10. 

  23. 주희영, 동효관,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발생학 수업프로그램 적용 효과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57-268. 

  24.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25. 최진희 (1997). 수업 담화 분석을 통한 교사와 학생 발화의 특성에 관한 탐색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6. Blosser, P. E. (1973).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Worthington, OH: Education Associates, Inc. 

  27.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8th Ed.). Upper Saddle River: Merill Publishing Company. 

  28. Edward,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NY: Routledg 

  29. Flanders, N. A. (1960). Interaction analysis in the classroom: Manual for observers. Minnesota College of Education. 

  30. Phelan, A. M., & McLauhin, H. J. (1995). Educational discourses, the nature of the child, and the practice of new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6(3), 165-174. 

  31. Viiri, J., & Saari, H. (2006). Teacher talk patterns in science lessons: Use i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 347-3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