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2, 2014년, pp.271 - 288  

박경진 (전북대학교) ,  정덕호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미래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미래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개발한 후 37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산출된 과학영재의 해결 아이디어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들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물 층으로 인한 햇빛의 양 변화, 지구의 온도 변화, 기압의 변화, 바람 및 날씨 변화'순의 개념 연결을 주로 보이고 있었다. 한편 미래문제해결에 대한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과학영재들은 대기권에 대한 하위요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생물권, 지권, 수권 요소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구시스템 관련 하위요소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생물권, 지권, 수권 관련 요소가 네트워크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시스템 관련 요소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th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future problem solving (FP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s. In order to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thirty sev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FPS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를 주제로 선정하여 과학영재에게 제시한 후 이들이 산출한 해결 아이디어를 지구시스템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 주위를 물 층이 감싸고 있는 상황이 지속될 때 미래 지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바람과 날씨 등과 관련된 기후는 어떻게 변화할지 지구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구시스템 사고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후변화에 대한 문제에서 보이는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물 층이 지구 주위를 감싸는 상황이 지속될 때 미래 지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라는 과학적 상상이 요구되는 문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생각을 제시하였다.
  • 이번 연구는 FPS 과정에서 산출된 과학영재들의 해결 아이디어에 대한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의 목적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FPS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는 다시 예비 단계를 제외한 도전문제 확인, 핵심문제 선정, 해결아이디어 선정, 판단준거 선정, 판단준거의 적용, 실행계획의 개발 등 여섯 단계로 구성된다(김영채, 2009). 이번 연구는 FPS에서 도출된 최선의 해결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실천적인 활동 계획을 설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과학영재들이 산출한 해결 아이디어에서 나타나는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특히 FPS의 여러 단계 중 핵심문제에 대한 다양하고 독특한 해결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단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지구시스템의 특성에 대한 수업을 실시한 후 개발된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과정을 통해 다양한 해결 아이디어를 산출하게 하였으며, 이렇게 산출된 아이디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활동지에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미래의 지구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이 많아져서 물 층이 지구 주위를 감싼다고 할 때 바람과 날씨 등과 관련된 기후는 어떻게 변화하겠는지에 대해 지구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개발하였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로 인해 물 층이 지구 주위를 둘러싼 상황을 문제로 제시한 이유는 기후변화에 대해 과학영재들의 다양한 관점을 알아봄과 동시에 특정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이게 될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개발된 연구 문제는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박사과정 3인, 석사과정 2인과의 논의를 거쳐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수정된 문항은 다시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의 논의를 거쳐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FPS의 주제로 적합한 ‘기후변화’를 주요 이슈로 선정한 후 김세현(2014)이 제안한 미래장면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였다. 즉, 과학영재들이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해결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지구시스템 관점에서 대기권의 변화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다른 하위 요소의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미래의 지구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이 많아져서 물 층이 지구 주위를 감싼다고 할 때 바람과 날씨 등과 관련된 기후는 어떻게 변화하겠는지에 대해 지구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개발하였다.
  • 한편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난 아이디어를 SNA를 통해 알아본 것이다. 제시된 연구 문제에 따라 나타나는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각 지구시스템 구성요소의 사용 빈도로 볼 때 선행연구 결과와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주어진 주제는 미래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정 상황을 가정하여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정해진 답이 있는 것은 아니며,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두 가지 변화 모두 나름대로의 과학적인 논증 과정을 통해 접근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시한 두 가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가정은 물 층의 두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물은 대기에 비해 햇빛을 산란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물 층의 두께에 따라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깊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표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환경적인 변화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로 인해 엄청난 양의 눈과 우박과 같은 것이 내리게 될 것이다. 또한 지구에서 일어나는 바람의 세기는 약해질 것이다. 왜냐하면 바람은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있어야 생성되는데 지구의 온도가 내려가면 찬 공기 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바람의 세기가 약해질 것이라 생각된다.
  • 학생 A: 만약 물이 지구 주위를 감싸고 있다면 태양 빛이 물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지구의 온도는 급격히 떨어질 것이다. 그로 인해 엄청난 양의 눈과 우박과 같은 것이 내리게 될 것이다.
  • 학생 B: 대기를 물이 감싸고 있다면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오는 햇빛의 양이 물에 의해 줄어들고, 바람은 원래 온도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햇빛으로부터 받게 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면서 온도 차이가 잘 나지 않으며 바람이 많이 불지 않게 될 것이다. 또한 바다나 호수 등 증발한 수증기가 구름이 되는 곳에서는 물이 많이 증발하지 않아서 비가 내리지 않기 때문에 건조기후 지역이 늘어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들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영재들이 가지는 창의성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박선옥, 정덕호, 2011; 박신규 외, 2011; 손충기, 김명철, 2007;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다른 한편으로는 영재들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최은열, 문성환, 2010; 황요한, 박종석, 2010; 김미숙, 2004).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CPS)과 미래문제해결(Future Problem Solving; FPS)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CPS와 FPS는 근본적으로 뿌리가 같지만 CPS가 현실 문제를 다루는데 반해 FPS는 미래 지향적인 상상을 하고 미래를 위한 창의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김영채, 2004).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대체로 영재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것은? 이런 측면에서 창의적인 영재의 조기 발견 및 육성을 목표로 하는 영재교육은 국제 경쟁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시대적 추세라 할 수 있다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 2008). 그러나 영재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창의성은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대체로 영재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Reis & Small, 2005). 이는 그만큼 창의성이 영재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영재교육에서 중요한 것이 창의성 교육이라 는 것을 의미한다(김희수 외, 2002).
현대의 지식 기반 사회에서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노력이 강조되는 이유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모습은 변화하기 마련이다. 현대의 지식 기반 사회는 한 사람의 창의적 인재가 수백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진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손충기, 김명철, 2007). 이런 측면에서 창의적인 영재의 조기 발견 및 육성을 목표로 하는 영재교육은 국제 경쟁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시대적 추세라 할 수 있다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대성, 이용섭 (2012). 미래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51-59. 

  2. 김미숙 (2004).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영재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3(1), 5-31. 

  3. 김세현 (2014). 미래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창의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김영채 (2004). CPS: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박영사. 

  5. 김영채 (200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 수업을 위한 코칭 가이드. 경기: 교육과학사. 

  6.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제3판). 서울: 박영사. 

  7.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 (2008).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1-21. 

  8. 김희수, 김종헌, 윤근철, 이희권, 김정민, 이봉재 (2002). 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영재교육연구, 12(4), 27-45. 

  9.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10.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84-696. 

  11. 박선옥, 정덕호 (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75-191. 

  12. 박신규, 정원우, 박영관, 홍순천, 박경미, 김중욱 (2011).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4), 885-905. 

  13.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2013).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방송통신연구, 통권82호, 36-74. 

  14. 손동원 (2008).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15. 손충기, 김명철 (2007). 초.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연구. 영재교육연구, 17(2), 307-337. 

  16. 오준영, 김상수, 조운행 (2009).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대안개념 특성. 과학영재교육. 1(1), 65-78. 

  17. 유은정, 고선영 (2013). 과학영재들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글쓰기분석. 영재교육연구, 23(6), 861-879. 

  18. 이명숙, 박상범 (2011). FPSP를 활용한 과학과 프로젝트 수업이 통합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5(2), 367-390. 

  19. 이승해, 이혜자 (2012).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3), 143-173. 

  20.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21. 이효녕, 권영륜 (2008).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75-188. 

  22. 전명남, 박상범 (2013). FPSP 팀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3(2), 5-27. 

  23. 조규성, 정덕호, 서은선, 박경진 (2013).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영재교육연구, 23(6), 881-898. 

  24. 최은열, 문성환 (2010).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4(2), 411-431. 

  25.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 영재들의 과학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24-333. 

  26. 황요한, 박종석 (2010).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영재교육연구, 20(3), 847-866. 

  27. Benzvi-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8. Cramond B. L. (2009). Future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In L.V. Shavinina (Ed.),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pp. 1143-1156). New York: Springer. 

  29.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30. Heitger, M., Ronsse, R., Dhollander, T., Dupont, P., Caeyenberphs, K., & Swinnen, S. (2012) Motor learning-induced changes in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as revealed by means of graph theoretical network analysis. Neuroimage, 61, 633-650. 

  31. Kali, Y., Orion, N., & Eylon, B. 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45-556. 

  32. Reis, S. M., & Small, M. A. (2005). The varied and uniqu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diverse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3-32. 

  33. Torrance, E. (1972).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4), 236-252. 

  34. Treffinger, D. J. (2011).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international: Catalyst for talent recognition and development. Center for Creative Learning, Inc. 

  35. Treffinger, D. J., Solomon, M., & Woythal, D. (2012). Four decades of creative vision: Insights from an evaluation of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international (FPSPI).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6(3), 209-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