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3, 2010년, pp.831 - 84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vel of study habits and test anxiety between gifted middle-school students and non-gifted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study habits and test anxiety in two groups. The total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7 middle school students. One h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사이버교육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교 수 과학 영재와 일반 중학생의 학습습관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 및 학습습관과 시험불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 연구 대상은 KAIST 사이버과학영재교육센터 수강생 중 중학교 1~3학년 영재 183명(남 127명, 여 56명),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3학년 254명(남 128명, 여 126명)이다. 연구결과, 영재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학습습관이 더 우수하여, 학습과정에서 주의집중을 잘하고 학습 방법이나 요령이 더 능률적이며, 예습이나 복습을 더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험불안의 경우 영재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더 낮게 측정되어 시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나타나는 염려나 걱정 등을 덜 하고, 시험 상황에서 초조와 긴장과 같은 신체적 반응이 덜 나타났다. 또한 학습습관과 시험 불안은 전체집단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여 학습습관이 우수할수록 시험불안이 낮은 경향성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집단에서 시험불안과 학습습관의 하위변인인 학습기술적용행동 및 자율학습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 |
시험불안의 장점은 무엇인가? | 영재집단이 학업성취는 높지만, 영재들의 완벽주의 성향이나 주위사람들의 영재들에 대한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 등으로 시험불안이 높을 수도 있다. 또한 시험불안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기도 한다(최진승 외, 1991). 이에 영재집단, 특별히 사이버 상에서 업로드 된 과제를 자발적으로 수행해야하는 사이버 센터의 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
학습습관이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들로 알 수 있는 것은? | 학습습관이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들(구병두, 1989; 김기석, 1968; 김억환, 1992; 김완석, 2000)을 바탕으로, 영재들은 일반아보다 학업성취가 높기 때문에 학습습관이 양호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기존의 영재선발 방법 외 다른 방법으로 선발된 학생까지 포함된 사이버 상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수 ․ 과학영재들 역시 일반아보다 학습습관이 양호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구병두 (1989).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대한 Meta 분석.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구병두 (1996). 학업성취 관련 변인. 서울: 양서원.
김기석 (1968). 학습습관 검사해설 및 시행요강. 서울: 코리안 테스팅 센터.
김억환, 구병두, 변호걸, 김부국 (1992). 학업성취와 관련된 자아개념 변인, 불안 변인, 학습습관 변인, 성취동기 변인, 인성 변인에 대한 종합 분석. 서울: 건국대 부설 교육 연구소.
김완석 (2000). 학습습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김은숙 (1990). 한국 학생들의 연령에 따른 시험불안도의 추이.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경숙, 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경애 (1997). 인지.정서.행동치료. 학지사.
박광관 (1997). 검사의 빈도가 교과영역별 학업성취도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박영희 (1997). 시험불안, 원인귀속 및 학업성취와 자기주의집중과의 상관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박찬원, 박상학, 조용래 (1999). 의과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38(5), 985-996.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 (2002).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5인성 요인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13(1), 43-63.
변창진 (1987). 학습습관의 측정 및 평가: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서울: 중앙교육평가원.
윤영화 (2002). 자기조절 학습상담이 학습전략사용, 학습습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용승 (2000). 범불안장애. 서울: 학지사.
이종승 (1980). 영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행동과학연구소.
임미순 (2008). 학습기술과 학습습관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교육대학원.
임지향, 박래준 (1998). 시험불안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학생생활연구, 8, 113-131.
최진승, 박영희 (1991). 시험불안의 특성과 불안감소 이론 연구. 학생연구, 19, 5-28.
표경식 (1998).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한상철, 이수연 (2003). 가출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행동에 대한 상담학적 개입전략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52-165.
허정원 (2006).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에 따른 학습방법.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Y: McGrew-Hill Book Company.
Brown, W. F. (1965). Evidence for coding processes in "Rote" paired-associate learn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Berbal Behavior, 5(2), 177-181.
Brown, W. F., & Holtzman, W. H. (1955) A study-attitudes questionnaire for predicting academic succ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6(2), 75-84.
Brown, W. F., & Holtzman, W. H. (1967). Form C and H in survey of study habits and attitudes. NY: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Culler, R. E., & Holahan, C. (1980). Test anxiety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effect of study related behavio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 23-38.
Greist J. H., & Jefferson J. W. 저, 김청자 역 (1998). 심리불안과 자기치료, 서울: 학지사.
Hodapp, V., & Henneberger, A. (1983). Test anxiety, study habit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dvances Test Anxiety Research, edited by Van der Ploeg, Netherlands. Swtes and Zeitlinger, 119-128.
Hilgard, E. R., & Bower, G. H. (1966). Theories of learning. (pp. 661). NY: Appleton- Century- Crofts.
Horney K. 저, 김재은, 김현옥 공역 (1991). 현대인의 이상성격, 서울 : 배영사.
Liebert, R. M., & Morris, L. W. (1967).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est anxiety: A distinction and some initial data. Psychological Reports, 20, 975-978.
Mandler, G., & Sarason, S. B. (1952). A study of anxiety and learning.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7, 166-173.
Munn, N. (1946). Psychology. NY: Houghton Mifflin.
Robyak, J. E., & Patton, M. J. (1977). The effectiveness of a study skills course for students of different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200-207.
Sarason, S. B., Davidson, K. S., Lighthall F. F., & Waite, R. R. (1958). A test anxiety scale for children. Children Development, 29, 105-113.
Sarason, I. G. (1957). The effect of anxiety and two kinds of failure on serial learning. Journal of Personality, 25, 282-392.
Sarason, S. B., Davidson, K. S., Lighthall, F., Waite, R. R., & Ruebush, B. K. (1960).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NY: John Wiley. & Sons.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 D. Speilberger (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Y: Academic Press.
Spielberger, C. D., Gonazales H. P., Taylor C. J., Anton W. D., & Algaza B. (1978). Examination stress and test anxiety. In CD Spielberger & IG Sarason (Ed.). Stress and anxiety, Vol 5 (pp. 167-191). Washington, DC: Hemisphere.
Spielberger, C. D., Gonazales H. P., Taylor C. J., Anton B., Algaza W. D., Ross, G. R., & Westberry, L. G. (1980). Preliminary manual for the tes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Tobias, S. (1980). When do instructional methods make a difference. Educational Researcher, 11, 4-10.
Tolman, R. M., & Jansen, J. (1984). "I really can't do it, anyway": The treatment of test anxiety, Advances in test anxiety research, 3, edited by Van der Pioeg H. M., Schwarzer R., Spieberger. C. D., Lisse/Hillsdale: Swets and Zeirlinger/Erlbaum, 243-254.
Wine, J. D. (1971). Test Anxiety and Direction of Attention. Psychologic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 91-93.
Wrenn, C. G., & Humber, W. J. (1941). Study habits associated with high and low scholarship.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2(8), 611-616.
Zeidner, M., & Schleyer, E. J. (1998).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for Academic Self-Concept, Test Anxiety, and School Grades in Gifted Childre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4, 305-32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