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영향요인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187 - 195  

박민정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수면유형 및 건강생활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7년 4월 5일부터 6일까지 전북의 4개 대학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 수면의 질은 여학생(3.06점)이 남학생(2.7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에 있어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및 운동 여부 이었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25.4% 이었다. 여학생에 있어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및 음주 여부이었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39.2% 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상담 등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quality of sleep (PSQI) an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4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성의 특성을 고려한 수면의 질과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성 차이에 따른 효율적 중재방안을 모색하 고자 하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도 제고 및 수면의 질을 높이고 수면의 질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결과의 축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수면의 질 향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생은 사춘기 청소년과 달리 하루 일정이 비교적 자유롭고 밤 늦은 시간까지 학업과 관련된 과제 수행이나 아르바이트, 사교모임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수면습관이 불규칙해지기 쉽다[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수면유형 및 생활양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이었고 성별에 따라 다른 요인은 남학생의 경우 운동여부, 여학생은 음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수면유형, 생활양식과 수면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의 장점은 무엇인가? 수면은 피로회복 뿐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회 복시키고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데 매우 중요 하다[1]. 따라서 충분한 수면은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이나 현대의 정보화 사 회에서 수면 문제가 초기 성인(young adult)과 후기 청소 년(later adolescent)에 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 고 있다[1,2].
대학 재학기간의 수면 양상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이러한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학업적응, 대인관계, 취업준비 등 실질적인 연관 정도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 으며 이로 인해 흡연 및 음주 등에 쉽게 노출되고, 생활 리듬이 깨지면서 만성피로, 불안 등으로 수면장애 및 수 면의 질이 저하된다[6]. 또한 이 시기는 사회적·학업 적으 로 할 일이 증가하여 야간에 늦게까지 깨어 있고 컴퓨터 등 전자 제품 사용과 카페인 섭취 증가 등과 같은 생활습 관 요인으로 인해 야간 수면 부족, 주간졸음증 증가 등의 전체적인 수면 양상 변화가 나타난다[2].
대학 재학기간의 스트레스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 재학기간은 개인의 성장 및 발달에 있어 특별한 시기로, 발달적 관점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찾기 위해 가 족에서 분리되고 독립성과 사회적 욕구, 학업에 대한 부 담이 증가하여[5]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학업적응, 대인관계, 취업준비 등 실질적인 연관 정도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 으며 이로 인해 흡연 및 음주 등에 쉽게 노출되고, 생활 리듬이 깨지면서 만성피로, 불안 등으로 수면장애 및 수 면의 질이 저하된다[6]. 또한 이 시기는 사회적·학업 적으 로 할 일이 증가하여 야간에 늦게까지 깨어 있고 컴퓨터 등 전자 제품 사용과 카페인 섭취 증가 등과 같은 생활습 관 요인으로 인해 야간 수면 부족, 주간졸음증 증가 등의 전체적인 수면 양상 변화가 나타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H. Lee & K. J. Lee (2013). The effects of stress, rumination, dysfunctional beliefs and boundary on university students' sleep qual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1), 121-142. DOI: 10.17315/kjhp.18.1.008 

  2. H. R. Yi, M. K. Shin & J. S. Won. (2012). Sleep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4), 425-433. DOI: 10.7739/jkafn.2012.19.4.425 

  3. J. K. Kim, H. S. Song & M. Y. Yeon.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s,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3), 617-632. DOI: 10.17315/kjhp.2009.14.3.009 

  4. J. K. Kim & H. S. Song. (2007). The relation of circadian sleep phase preference to sleep habi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3), 631-648. DOI: 10.17315/kjhp.2007.12.3.010 

  5. J. J. Arnett.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DOI: 10.1037//0003-066x.55.5.469 

  6. S. H. Jung & J. Park. (2013).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2), 345-353. DOI: 10.13067/JKIECS.2013.8.2.345 

  7. G. A. Kerkhof. (1985).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human circadian system: a review. Biological. Psychology, 20(2), 83-112. DOI: 10.1016/0301-0511(85)90019-5 

  8. K. H. Suh. (2009). The relations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deprivation to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 247-254. 

  9. H. S. Kim., M. R. Eom & E. K. Kim. (2010).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43-51. DOI: 10.4040/jkan.2010.40.1.43 

  10. H. R. Ryu & S. Y. Suh. (2016). Differences in insomnia, depression, night eating and binge-eating based on chronotyp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2), 151-73. DOI: 10.21509/kjys.2016.02.23.2.151 

  11. S. Y. Park. (1999). Stress and my health. Gwangju Metropolitan City Seo-gu Health News, 11(84), 7-9. 

  12. C. S. Smith, J. Tisak, T. Bauman & E. Green. (1991). Psychometric equivalence of a translat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 implications for between-and within-population assess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628-636. DOI: 10.1037//0021-9010.76.5.628 

  13. S. H. Kook, J. S. Yoon & H. Y. Lee. (1997). A preliminary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KtCS) to measure morningness- eveningnes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6(1), 122-134. 

  14. D. Buysse, C. Reynolds, T. Monk, S. Berman & D. Kupfer.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8(2), 193-213. DOI: 10.1016/0165-1781(89)90047-4 

  15. Y. W. Cho. (2004). The sleep scale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1(1), 13-25. 

  16. P. R Brooks, A. A. Girgenti & M. J. Mills. (2009). Sleep patterns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 Journal, 43(2), 464-472. 

  17. H. G. Lund, B. D. Reider, A. B. Whiting & J. R. Prichard. (2010).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isturbed sleep in a larg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6(2), 124-132. DOI: 10.1016/j.jadohealth.2009.06.016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Statistic by topic_2014 sleep tim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 page. http://kosis.kr/stat Html/statHtml.do?orgId101&tblId DT_1TM1021Y&conn_pathI2 

  19. H. M. Cho. (2015).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erceived stress among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J. S. Kang & E. H. Hwang. (2014).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810-819. DOI: 10.5392/jkca.2014.14.11.810 

  21. A. M. Angelone, A. Mattei, M. Sbarbati & O. F. Di. (2011). Prevalence and correlates for self-reported sleep problem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2(4), 201-208. 

  22. L. L. Tsai & S. P. Li. (2004). Sleep patterns in college students: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6(2), 231-237. DOI: 10.1016/s0022-3999(03)00507-5 

  23. E. Y. Yu. (2009).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 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9(12), 718-729. DOI: 10.5392/jkca.2009.9.12.718 

  24. E. A. Lucassen et al. (2013). Evening chronotype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eating behavior, more sleep apnea, and increased stress hormones in short sleeping obese individuals. PLoS One, 8(3), 1-10. DOI: 10.1371/journal.pone.0056519. 

  25. S. H. Kim, U. S. Kim, Y. H. Jang, J. Park & S. Y. Ruy.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quality and body mass index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5(1), 51-58. 

  26. M. Y. Choi. (2012). Sleeping duration and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Y. B. Kim. (2015). Health factors related to drinking problems and high-risk drinking behavior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6(1), 55-68. DOI: 10.15524/ksas.2015.16.1.055 

  28. S. H. Yang & J. W. Yoon. (2015). Drinking problem and mental health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3), 137-145. DOI: 10.17547/kjsr.2015.23.3.137 

  29. H. S. Ryu & M. J. Baek.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307-315. DOI: 10.12799/jkachn.2012.23.3.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