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폭풍해일 예측 모델과 검조소 조위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연안 폭풍해일 특성 연구
A Study of Storm Surges Characteristics on the Korean Coast Using Tide/Storm Surges Prediction Model and Tidal Elevation Data of Tidal Station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2 no.6, 2010년, pp.361 - 373  

유승협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이우정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청의 해양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2008년과 2009년의 한반도 주변의 폭풍해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델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델 결과는 한반도 연안의 검조소 자료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석/폭풍해일 모델은 한반도 주변의 폭풍해일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하계의 태풍 영향으로 인한 폭풍해일의 계절변화를 뚜렷이 나타내고 있다. 2008년과 2009년의 48시간 예측 평균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각각 0.272 m와 0.420 m로 나타났다. 한반도 주변의 해역별, 월별 폭풍해일에서는 하계의 강한 해상풍의 영향으로 하계에 높은 폭풍해일고가 2008년에 나타나지만 2009년의 경우에는 하계 이외의 기간에도 매우 높은 폭풍해일고를 나타내었다. 태풍 Kalmaegi(2008)와 Morakot(2009)이 한반도에 접근시 모델의 정확도는 연평균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연평균 검증결과와 같이 2008년 태풍 Kalmaegi에 비해 2009년 태풍 Morakot의 경우가 예측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has been made on the tide/storm surges characteristics near the Korean marginal seas in the 2008 and 2009 years using operational ocean prediction mode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In order to evaluate its performance, it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에서 운영중인 지역 조석/폭풍해일 예측모델(RTSM)의 결과와 2008년과 2009년에 산출된 해수면 높이(천문조+기상조)를 우리나라 연안에 운영중인 국립해양원 검조소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2008년과 2009년에 우리나라에 가장 근접했던 태풍 Kalmaegi와 Morakot이 접근시 예측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폭풍해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8년과 2009년의 지역 조석/폭풍해일(RTSM) 예측모델 결과와 우리나라 주변의 검조소 자료와 비교검증을 실시하여 2년간의 한반도 연안 폭풍해일 특성 및 48시간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한반도 주변 해역별 폭풍해일 월별 특성을 해면기압과 해상풍 등과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우리나라에 가장 근접했던 7호 태풍 Kalmaegi와 8호 태풍 Morakot 기간을 선정하여 해양기상 예측 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조석/폭풍해일고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예측정확도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기상 모델의 정확도 향상 뿐만 아니라 대기 입력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 등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현재 기상청에서는 해양기상 예보를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조석/폭풍해일 모델 뿐만 아니라 지역/연안 파랑 모델을 운영중에 있다. 이러한 해양기상 예측 모델은 대기 모델의 결과를 입력장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해상풍, 해면기압 등의 정확도에 따라 예측정확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해양기상 모델의 정확도 향상 뿐만 아니라 대기 입력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반도 해안지역의 복잡한 해안선과 크고 작은 섬들로 인한 지역적 특성으로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한반도 해안지역의 복잡한 해안선과 크고 작은 섬들로 인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기상 및 해양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매년 태풍, 파랑, 폭풍해일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연안개발과 함께 인구 및 시설 증가로 그 피해규모 및 피해액이 가중되고 있다(국립기상연구소, 2008).
RDAPS에서 생산되는 예측 자료 중 해양모델에 사용되는 자료는? 기상청의 현업 예보용 모델인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Prediction System)에서 생산되는 예측 자료 중 해양모델에 사용하는 자료는 해상풍과 해면기압이다. RDAPS는 현재 수평해상도 30 km 간격의 모델영역(111°E-155°E, 16°N-55°N)을 가지고 있으며 MM5(Mesoscale Model 5)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주환, 박선중, 문승록, 윤종태 (2009). 태풍의 특성변화에 따른 경남해역 해일양상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1), 1-14. 

  2. 권석재, 문일주, 이은일 (2008). 속초와 묵호항의 연간 최대해일고의 장기간 변동성에 대한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6), 564-574. 

  3. 권석재, 박정수, 이은일 (2009). 연간 최대해일고 변동의 일반화 극치분포 적용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3), 241-253. 

  4. 국립기상연구소 (2008). 전지구 해양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5. 오임상, 김성일, 봉종헌 (1988). 한국 남해를 통과하는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3), 3072-3084. 

  6. 오임상, 김성일 (1990). 한국 근해의 폭풍해일 수치 시뮬레이션, 한국해양학회지, 25(4), 161-181. 

  7. 정신택, 김정대, 고동휘, 윤길림 (2008). 한국 연안 최극 고조위의 매개변수 추정 및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5), 482-490. 

  8. 서경덕, 양영철, 전기천, 이동영 (2009). 경험모의기법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의 극치해면 분석, 21(3), 254-265. 

  9. 차은정, 이경희, 박윤호, 박종숙, 심재관, 인희진, 유희동, 권혁조, 신도식 (2007). 2006년 태풍 특징과 태풍 예보의 개선방향, 대기지 17(3), 299-314. 

  10. 차은정, 박윤호, 권혁조 (2008). 2007년 태풍 특징, 대기지, 18(3), 183-197. 

  11. 차은정, 황호성, 양경조, 원성희, 고성원, 김동호, 권혁조 (2009). 2008년 태풍 특징, 대기지, 19(2), 183-198. 

  12. 유승협, 이우정 (2009). 2006-2007년 한반도 인근 폭풍해일 특성. 한국마린엔지니어 링, 33(4), 595-602. 

  13. 유승협, 권지혜, 김정식 (2009). 2006-2007년 해양기상 특성: 해상풍, 대기지, 19(2), 145-154. 

  14. 황진풍 (1971). 한국연안에 있어서 기상 교란에 의한 해면변화 I. 태풍 빌리호(1970년)와 남서해안 이상고조현상, 한국해양학회지, 6(2). 92-98. 

  15. Blain, C. A. and Rogers, E. (1998). Coastal tidal prediction using the ADCIRC-2DDI hydrodynamic finite element model. Formal Report NRL/FR/7322-98-9682, Naval Research Laboratory, Stennis Space Center, MS, 92p. 

  16. Blain, C. A., Preller, R. H. and Rivera, A. P. (2002). Tidal prediction using the Advanced Circulation Model (ADCIRC) and a Relocatable PC-based system, Oceanography, 15(1), 77-87. 

  17. Choi, B. H. (1986). Surge hindcast in the East China Sea. Prog. Oceanogr., 17, 177-192, doi: 10.1016/0079-6611(86)90043-1. 

  18. Dube, S. K., Rao, A. D., Sinha, P. C. and Chittibabu, P. (1994). A real time storm surge prediction model for the east coast of India, Proc. Ind. Nat. Sci. Acad. 60, 157-170. 

  19. Hong, C. H. and Yoon, J. H. (2003).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Typhoon Holly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J. Geophys. Res., 108, 3282, doi: 10.1029/2002JC001563. 

  20. Hubbert, G. D., Holland, G. J., Leslie, L. M. and Manton, M. J. (1991). A real-time system for forecasting tropical cyclone storm surges, Weather and Forecasting 6(1), 86-97. 

  21. Jelesnianski, C. P., Chen, J. and Shaffer, W. A. (1992). SLOSH: Sea, lake and overland surges from hurricanes. NOAA Technical Report NWS 48. Silver Spring, MD: Dept. of Comm. NOAA. 

  22. Konishi, T. (1995). An experimental storm surge prediction for the western part of the Inland Sea with application to Typhoon 9119, Papers in Meteor. And Geophys. 46, 9-17. 

  23. Lane, E. M. and Walters, R. A. (2009). Verification of RiCOM for storm surge forecasting, Marine Geodesy, 32(2), 118-132. 

  24. Lane, E. M., Walters, R. A., Gillibrand, P. A. and Uddstorm, M. (2009). Operational forecasting of sea level heights using and unstructured grid ocean model, Ocean Modeling, 28, 88-96. 

  25. Lee, J.-C., Kwon, J.-I., Park, K.-S. and Jun, K.-C., (2008). Calculations of storm surges, Typhoon Maemi, J. of Kor. Soc. of Coast. and Ocean Eng.. 20(1), 93-100. 

  26. Matsumoto, K., Takanezawa, T. and Ooe, M. (2000). Ocean tide models developed by assimilating TOPEX/POSEIDON altimetry data into hydrodynamic model: A global model and a regional model around Japan. Journal of Oceanography, 56(5), 567-581. 

  27. Mellor, G. L. (1998). Users guide for a three dimensional primitive equation, numerial model. Program in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Princeton University, Princeton, NJ, 41 p. 

  28. Paradis, D., Ohl, P. and Daniel, P. (2009). Operational storm surges forecasting in an Estuary, Marine Geodesy, 32(2), 166-177. 

  29. Park, K.-S., Lee, J.-C., Jun, K.-C., Kim, S.-I. and Kwon, J.-I. (2009).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storm surge prediction system for the Korean Coast, Ocean and Polar Research, 31(4), 369-377. 

  30. You, S. H. and Seo, J. W. (2009). Numerical study of storm surges and tide around Korea using operational ocean model, Marine Geodesy, 32(2), 243-263, DOI : 10.1080/01490410902869656. 

  31. You, S. H. (2010). Predicting Typhoon Induced Storm Surges using the operational ocean forecast system, Terr. Atmos. Ocean. Sci., 21(1), 99-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