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evaluation, and the possibility for globalizing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different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71 foreigners (eastern Asian, southeastern and central Asian, European, and American). The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및 약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약선의 효능, 약선 개발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한식을 이용한 약선의 세계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식과 약이 되는 음식인 약선의 세계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가별 한식과 약선의 인식 및 선호도를 파악하고 약선의 효능, 약선 개발의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및 약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약선의 효능, 약선 개발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한식을 이용한 약선의 세계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음식 최고의 가치는 무엇인가? 한국음식 최고의 가치는 음식의 맛과 색이 자연의 법칙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동양철학 사상인 음양 오행에 입각하여 음(식물성 식품)과 양(동물성 식품)의 조화를 이루고, 오색(적, 황, 청, 흑, 백색)과 오미(단 맛, 신 맛, 짠 맛, 매운 맛, 쓴 맛)의 조화로움을 추구하는 가장 자연에 가까운 음식이라는 것이다(황 1998; 王 등 2000).
한식이 가지고 있는 건강상의 이점은? 한식은 육류보다 채소류, 해산물을 주로 사용하는 저 열량식이며, 튀기기 보다 찌거나 삶는 건강형 조리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김치, 장류 등 발효음식의 기능성은 맛뿐만 아니라 질병예방에도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Chang & Cho 2000; Joo 등 2001; Kim 2006). 따라서 Seo & Ryu(2009)는 한식의 세계화를 이루기 위해서 건강과 관련된 기능성을 강조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지적하였으며, Sul 등(2007)은 외국인에게 한식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음식의 효능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식의 주요 조리법은? 또한, 한식의 재료와 조리법은 세계인의 웰빙 욕구에 부합하여 세계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평가되었다(Lee 등 2005; Kim 2006). 한식은 육류보다 채소류, 해산물을 주로 사용하는 저 열량식이며, 튀기기 보다 찌거나 삶는 건강형 조리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김치, 장류 등 발효음식의 기능성은 맛뿐만 아니라 질병예방에도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Chang & Cho 2000; Joo 등 2001; Kim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재수. 2006. 한국음식 세계인의 식탁으로. 서울. 백산출판사 

  2. 김호철. 2000. 한약재를 이용 의학식품. 제1회 동서협진 임상영양 워크숍, 경희대학교 임상영양연구소 

  3. 설원식, 이동훈, 고경일, 주규희. 2007. 재한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영향 요인 간 상호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1(3):713-734 

  4. 최웅, 고재윤, 박희자. 2007. 웰빙관심의 시장세분화 및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약선메뉴 선택속성의 차이. 호텔관광연구, 9(1):104-119 

  5. 황안국. 1998. 한방영양학. 서울. 한올출판사 

  6. 王燦華, 兒惠珠. 中國傳統 飮食宜忌全書. pp 1-11, 江蘇科學技術出版社, 南京, 2000 

  7. Byun JO, Han JS, Oh OH.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I) -preference and frequenc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140-150 

  8. Ch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Korean J. Food Culture, 15(3):215-221 

  9. Choi JA,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Korean J. Food Culture, 25(2):126-133 

  10. Choi W, Park HJ, Park IS.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Yaksun cuisin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2(3):149-169 

  11. Health magazine. 2006. World healthiest foods: Kimchi (Korea), 인터넷판(http://www.health.com, 2006. 3. 24일자) 

  12.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13. Jang SC, Ha A, Silker CA. 2009. Perceived attributes of Asian fo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merican custo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8(2):63-70 

  14. Joo NM, Kennon LR,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6):19-23 

  15. Kim SA, Lee MA, Kim EM,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619-629 

  16.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17. Kye SH, Yoon SI. 1988. Food preference of foreign athlete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1):78- 79 

  18.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19. Lee KJ, Cho MS, Lee JM. 2007.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from 1980 to 2005. Koran J. Food Culture, 22(2):289-298 

  20. Lee SM, Hwang DU. 2007 Acknowledgement of Herbal Foods in Foodservice Industr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11):65-73 

  21.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283-291 

  22. Lim HJ, Kim YY, Jung JU, Choue RW. 2008. Study of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oriental medicinal menu, and development of oriental therapeutic menu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4(1):36-50 

  23. Moon SJ, Shon KH, Lee YM, Ahn KM. 1986. Food preference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4(2):67-73 

  24. Park GT, Kim DW. 2003.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focusing on the relevant Chinese literatur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4):191-202 

  25.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A focus on visiting experience and frequency of Visits-. Korean J. Food Culture, 24(2):126-136 

  26. Sim YJ, Jung BM, Kim ES, Joo NM. 2000.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 S. Korean J. Soc. Food SCI., 16(3):210- 215 

  27.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3):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