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e beam CT 영상과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을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 평가
The assessment of dentoalveolar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integration of cone beam CT and laser scanned dental cast images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40 no.6, 2010년, pp.373 - 382  

송효경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손우성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박수병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김성식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김용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BCT 영상파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하여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을 3차원적으로 계측하고 비교하였다. 안면비대칭자 3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CBCT 영상에서 두개악안면 골격에 대한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견치와 제1대구치의 3차원적 위치와 각도를 계측하여 그 차이(dev.-ndev.)를 구하였다.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고 이부 편위랑과의 상관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안면비대칭군의 편위측 상악 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2.73{\pm}4.07\;mm$ 협측에 위치하였고, 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 측에 비해 $3.83{\pm}0.12\;mm$ 협측에 위치하였으며, $8.26{\pm}6.82^{\circ}$ 협측 경사되어 있었다. 비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의 협측교두는 편위측에 비해 $1.76{\pm}0.11\;mm$ 정출되어 있었다. 편위측 하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6.01{\pm}0.14\;mm$ 설측에 위치하였고, 비편위측에 비해 $8.31{\pm}7.07^{\circ}$ 설측경사되어 있었다 (p < 0.01). 안면비대칭자는 이부 펀위량이 증가할수록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에서 협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하악 제1대구치는 편위측에서 설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상악 제1대구치의 모든 교두와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설측 교두의 수직적 위치는 비편위측에서 더 정출되는 경향을 보이며, 하악 견치와 제1대구치의 횡적 위치도 편위측에서 좀 더 설측으로 위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안면비대칭군에서 편위측의 견치와 대구치가 비편위측에 비해 횡적으로 기울어져 있고, 수직적 위치 및 각도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entoalveolar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using an integration of a CBCT image and a laser scanned dental cast image.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adults with asymmetric mandibles and 20 adults with symmetric mandib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이부 편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CBCT 영상과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을 결합하여, CBCT 영상에서 두개악안면 골격에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개별 치아의 3차원적 위치와 각도를 평가하였다.
  •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군에서 치성보상양상을 이해하고, 이부편위 정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orms FW, Isaacson RJ, Speidel TM.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profile analysis and mandibular surgery. Angle Orthod 1976;46:1-25. 

  2. Tani M, Iketani M, Watanabe M, Suda S, Fujimura N, Miyazawa M, et al. Posterior-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ies. J Jpn Stomatol Soc 1989;35:1749-59. 

  3. Kim DW, Son W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asymmetry and maxillary dental arch shape. Korean J Orthod 1997;27:445-56. 

  4. Sung JH, Son WS, Kim S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discrepancy in class III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2003;33:41-9. 

  5. Fukushima K, Yasui K, Otsuka Y, Matsui S, Hirase N, Takayanagi J,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jaw deformities -frontal cephalometric evaluation of facial symmetry-. Meikai Univ Dent J 2003;32:118-23. 

  6. Kusayama M, Motohashi N, Kuroda T. Relationship between transverse dental anomalies and skeletal asym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329-37. 

  7. Nojima K, Yokose T, Ishii T, Kobayashi M, Nishii Y. Tooth axis and skeletal structures in mandibular molar vertical sections in jaw deformity with facial asymmetry using MPR images. Bull Tokyo Dent Coll 2007;48:171-6. 

  8. Park SB, Park JH, Jung YH, Jo BH, Kim YI.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dental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using cone-beam CT. Korean J Orthod 2009;39:300-9. 

  9. West J, Fitzpatrick JM, Wang MY, Dawant BM, Maurer CR Jr, Kessler RM, et 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etrospective intermodality brain image registration techniques. J Comput Assist Tomogr 1997;21:554-66. 

  10. Sander G. The Graz hemisphere splint: a new precise, non-invasive method of replacing the dental arch of 3D-models by plaster models. J Craniomaxillofac Surg 1998;26:169-73. 

  11. Terai H, Shimahara M, Sakinaka Y, Tajima S. Accuracy of integration of dental casts in three-dimensional models.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662-5. 

  12. Gateno J, Xia J, Teichgraeber JF, Rosen A. A new technique for the creation of a computerized composite skull model. J Oral Maxillofac Surg 2003;61:222-7. 

  13. Nkenke E, Zachow S, Benz M, Maier T, Veit K, Kramer M, et al. Fusion of computed tomography data and optical 3D images of the dentition for streak artefact correction in the simulation of orthognathic surgery. Dentomaxillofac Radiol 2004;33:226-32. 

  14. Cha BK, Lee JY, Jost-Brinkmann PG, Yoshida N. Analysis of tooth movement in extraction cases using three-dimensional reverse engineering technology. Eur J Orthod 2007;29:325-31. 

  15. Swennen GR, Barth EL, Eulzer C, Schutyser F. The use of a new 3D splint and double CT scan procedure to obtain an accurate anatomic virtual augmented model of the skull.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7;36:146-52. 

  16. Swennen GR, Mommaerts MY, Abeloos J, De Clercq C, Lamoral P, Neyt N, et al. The use of a wax bite wafer and a double computed tomography scan procedure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virtual skull model. J Craniofac Surg 2007;18:533-9. 

  17. Swennen GR, Mommaerts MY, Abeloos J, De Clercq C, Lamoral P, Neyt N, et al. A cone-beam CT based technique to augment the 3D virtual skull model with a detailed dental surface.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9;38:48-57. 

  18. Swennen GR, Mollemans W, De Clercq C, Abeloos J, Lamoral P, Lippens F, et al.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triple scan procedure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virtual skull model appropriate for orthognathic surgery planning. J Craniofac Surg 2009;20:297-307. 

  19. Choi JY, Song KG, Baek SH. Virtual model surgery and wafer fabrication for orthognathic surger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9;38:1306-10. 

  20. Park JW, Kim NG, Chang Yl. Formulation of a reference coordinate system of three-dimensional (3D) head and neck images: Part I. Reproducibility of 3D cephalometric landmarks. Korean J Orthod 2005;35:388-97. 

  21. Kim GW, Kim JH, Lee KH, Hwang HS. Reproducibility of asymmetry measurements of mandible in three-dimensional CT imaging. Korean J Orthod 2008;38:314-27. 

  22. Andrews LF. The six keys to normal occlusion. Am J Orthod 1972;62:296-309. 

  23. Hwang HS, Hwang CH, Lee KH, Kang BC. Maxillofacial 3-dimensional image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30:7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