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산욕기 산모의 피로와 산후우울이 지각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2, 2011년, pp.118 - 125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원) ,  구혜자 (청암대학 간호과) ,  류은정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early postpartum mother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mothers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J and M metropolitan cities. Instrument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tudy wer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 측정 도구(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를 사용하여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피로, 산후우울 및 지각된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이들 변수들이 산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지 규명함으로써 추후 산모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 성인 여성과는 다르게 측정되고 다루어져야 하는 산모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검증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무작위 추출 방법이 아니라 임의추출 방법에 의한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산후우울이나 피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상자의 특성들을 모두 통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초기 산욕기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피로와 산후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기 산욕기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은 평균 19.
  • 본 연구는 초기 산욕기 산모의 피로, 산후우울 및 지각된 삶의 질 정도를 사정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 후 피로와 산후우울이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초기 산욕기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은 평균 19.
  • 본 연구는 초기 산욕기 산모의 피로, 산후우울 및 지각된 삶의 질(MAPP-QOL)정도를 측정하고 산모의 피로와 산후 우울이 산모의 지각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 2006), 산모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측정할 수 있는 도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기반으로 Hill 등 (2006)은 Ferrans와 Powers (1985)의 Quality of Life Index (QLI)를 바탕으로 초기 산욕기산모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도구를 사용하여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산욕기는 산모의 신체적 회복, 모성으로서의 역할 변화 등 신체 심리 재통합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Inquiry Group,2010).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산후 3주까지의 초기 산욕기 기간을 삼칠일 이라고 명명하면서 이 시기는 산모가 절대적으로 타인의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하는 중요한 기간으로 간주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Song, 2007).
삶의 질은 무엇인가? , 2006). 삶의 질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성적 그리고 영적 안녕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개념이므로(Choe, Padilla, Chae, & Kim, 2001), 대상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산모의 삶의 질은 산모가 거주하는 공동체의 문화적 맥락 내에서 측정되어져야 하며 산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그들의 지각과 만족 정도를 측정해야 한다(Hill, Aldag, Hekel, Riner, & Bloomfield, 2006).
산욕기 기간에 산모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산후 3주까지의 초기 산욕기 기간을 삼칠일 이라고 명명하면서 이 시기는 산모가 절대적으로 타인의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하는 중요한 기간으로 간주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Song, 2007). 이 시기의 산모들은 급속한 호르몬 변화, 유즙분비, 산후통, 회음절개 부위 통증, 극심한 피로 등의 신체적인 문제와 신생아를 돌봐야 하는 부담과 역할긴장 등의 정서적 문제들을 경험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산모의 삶의 질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McGovern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zoky, I., & Corwin, E. J. (2002). Fatigue as a predi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 , 436-443. 

  2. Choe, M. A., Padilla, G. V., Chae, Y. R., & Kim, S. (2001). The meaning of health-realated quality of life in a Korean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8 , 557-566. 

  3.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 , 155-159. 

  4. Corwin, E. J., Brownstead, J., Barton, N., Heckard, S., & Morin, K. (2005). The impact of fatigue on the develop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4 (5), 577-586. 

  5.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 782-786. 

  6. Da Costa, D., Dritsa, M., Rippen, N., Lowensteyn, I., & Khalife, S. (2006).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depressed women. Archives Women's Mental Health, 9, 95-102. 

  7. Dennis, C. L. (2004). Can we identify mothers at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immediate postpartum in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78 , 163-169. 

  8. Ferrans, C., & Powers, M. (1985). Quality of life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1), 15-24. 

  9. Hill, P. D., & Aldag, J. C. (2007).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6 , 328-334. 

  10. Hill, P. L., Aldag, J. C., Hekel, B., Riner, G., & Bloomfield, P. (2006). Maternal postpartum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 (3), 205-220. 

  11. Jansen, A. J., Duvekot, J. J., Hop, W. C., Essonk-Bot, M. L., Beckers, E. A., Karsdorp, V. H., et al. (2007). New insights into fatigu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delivery.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86 , 579-584. 

  12. Kim, J. I. (2006).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3), 204-209. 

  13. Kim, J. W., Kim, J. H., Eun, D. S., & Kim, H. (2005). Psychosocial and obstetric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t postpartum 4 week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 (4), 901-909. 

  14. Lee, J. Y. (2006). Fatigue, parenting stress and sleep patterns of women according to period of postpart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Lee, S. O., Yeo, J. H., Ahn, S. H., Lee, H. S., Yang, H. J., & Han, M. J. (2010). Postpartum depressive score and related factors pre- and post-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1), 29-36. 

  16. McGovern, P., Dowd, B., Gjerdinben, D., Gross, C. R., Kenney, S., & Ukestad, L., et al. (2006). Postpartum health of employed mothers 5 weeks after childbirth. Annals Family of Medicine, 4, 159-167. 

  17. Milligan, R. L., Lenz, E. R., Parks, P. L., Pugh, L. D., & Kitzman, H. (1997). Postpartum fatigue: Clarifying concepts in nursing research (pp, 97-109). New York: Springer. 

  18. Moon, J. M. (2009). Menopause symptoms,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ost-chemotherapy breast cancer surviv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Park, Y. J., Shin, H. J., Ryu, H., Cheon, S. H., & Moon, S. 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729-738. 

  20. Pugh, L. C. (1993). Childbirth and measurement of fatigu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1), 57-66. 

  21. Pugh, L. C., Milligan, R., Parks, P. L., Lenz, E. R., & Kitzman, H. (1999). Clinical approaches in the assessment of childbearing fatigu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8 (1), 74-80. 

  22. Rychnovsky, J., & Hunter, L. P.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haracteristics and fatigue in healthy postpartum women. Women's Health Issues, 19 , 38-44. 

  23. Song, J. E. (2006). (A) structural model of postpartum fatigue of the primipara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Song, J. E. (2007).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 -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4), 299-309. 

  25.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Inquiry Group (2010). Women's health nursing care. Seoul: Soomoonsa. 

  26. Yang, Y. H. (2002). The relationship of symptoms of side effects,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stomach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4 (2), 205-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