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지식, 건강신념, 골다공증성 골절예방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revention Behavior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Patients receiving Osteoporosis Treatment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47 - 156  

문은숙 (광주기독병원) ,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revention behavior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outpatients with osteoporosis. Methods: The subjects were 120 outpatients receiving osteoporosis treatment on K hospital in G city from Dec. 2007 to Feb. 2008.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의 골절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골절예방행위 정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 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를 중점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개인이 어떤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질병을 예방하거나 조기발견하려는 목적으로 취하는 행위를 말한다(Hisley, 1998). 본 연구에서는 Lee (2006)가 번안한 Grady(2000)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도구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개인이 질병을 통제하기 위하여 지니고 있는 신념으로서 자신이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고, 특정질환이 자신에게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리라고 믿으며, 질병에 대한 건강행위 수행이 자신에게 유익할 것으로 지각하며, 건강행위 수행에서 오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Rossenstock, 1974). 본 연구에서는 Lee (2006)가 번안한 Kim, Horan과 Gendler (1991)의 골다공증 건강신념 도구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골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 없이 단위 용적 내 골 량이 감소되고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될 수 있는 미세 구조의 손상이 동반된 상태인 자이다(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00). 본 연구에서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계측기(DEXA)로 측정한 척추골과 대퇴골 골밀도의 T-Score가 -2.5 이하인 자(WHO, 1994)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 정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골다공증성 골절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골절예방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다공증성 골절 환자가 얼마나 발생하였는가? 골다공증은 최근 노령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그 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Kim & Yun, 2005; Seon, 2003). 미국의 경우 50세 이상의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의 발생 수가 매년 약 150만명 정도이며 우리나라도 약 7만 5천명 이상 발생하여 골다공증성 골절예방은 주요한 건강관리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Jang, 2001; NOF,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골다공증 환자는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 특성 때문에 수 년 동안 뚜렷한 자각증상을 느끼지 못한 채 생활하다가 심한 요통, 골 기형, 골절 발생으로 인해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서 이를 중한 질환으로 간주하게 된다.
환자에게 골다공증 치료제 복용 이외에 강조해야하는 점은? 더군다나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의 량 증가보다는 골 파괴를 감소시킴으로써 골 소실 정도를 낮추기 때문에 의료인은 환자에게 치료제 복용 이외에 칼슘과 비타민 D의 균형식이 섭취,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낙상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 및 환경개선 등의 골절예방행위를 강조해야 한다(Ali & Twibell, 1995; Hisley, 1998; Kim & Yun, 2005). 그러나 본 연구자의 임상 경험에 의하면 골다공증 환자는 치료제 복용방법, 식이와 운동요법 등에 대한 지식 위주의 교육을 제공받을 뿐 낙상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생활습관 및 환경개선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해 일상생활에서의 골절예방행위 정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골다공증 환자란? 골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 없이 단위 용적 내 골 량이 감소되고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될 수 있는 미세 구조의 손상이 동반된 상태인 자이다(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00). 본 연구에서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계측기(DEXA)로 측정한 척추골과 대퇴골 골밀도의 T-Score가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i, N. S., & Twibell, R, K. (1995). Health promotion and osteoporosis prevention among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Geriatric Nursing, 15(4), 528-534. 

  2. Chapurlat, R. D., Garnero, P., Sornay-Rendu, E., Arlot, M. E., Claustrat, B., & Delmas, P. D. (2000). Loss in Pre-and Perimenopausal Women: Evidence for Bone Loss in Peri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 493-498. 

  3. Choo, S. O. (2001). Comparative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of women over 50 years old related with age, weight and hei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4. Chrischilles, E., Shireman, T., & Wallace, R. (1994). Costs and health effects of osteoporotic fracture.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15(4), 377-386. 

  5. Drugay, M. (1997). Breaking the silence; A health promotion approach to osteoporosi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3(6), 36-43. 

  6. Grady, J. L. (2000). Factors influating stage of change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University of Pittsburgh Doctor's Dissertation. 

  7. Hisley, S. M. (1998). Osteoporosis Prevention; A Conceptual Model. Texas Woma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8. Jang, J. S. (2001). Osteoporotic fracture - Introduction and physiology and pathology. Korean Orthopaedic Associatin Honam Office. Osteoporosis Symposium, 13-17. 

  9. Kang, Y. M.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10. Kim, E. G. (1993). Survey on the education for patients discharging from hospital after open heart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im, M. H., & Kim,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cognitive factor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1), 52-57. 

  12. Kim, K., Horan, M., & Gendler, P. (1991). Refinement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Columbus, Ohio. 

  13. Kim, S. J. (2002). A study on the osteoporosis in Korean middleaged & elderly women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S. N., & Lee, H. R. (2001). Effect of education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patients with bone fracture. Jour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2). 

  15.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00). Osteoporosis. Seoul: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16. Lee, H. Y. (2001).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the knowledge of the dis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female patients with osteopor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Lee, J. G. (2003). The effect of the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14(4), 14-4. 

  18. Lee, S. H. (2006). Prediction model of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9.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03). Osteoporosis Online. http://www.nof.org/osteoporosis/index.htm. 

  20. Oh, S. A. (1997). A study on climacteric women's risk of osteopor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Park, C. Y.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elderly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Rosenstock, I. M. (1974).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Therefare, New Charles B. Slac, Inc, Jersey, 1-8. 

  23. Seon, G. S. (2003). The effect of web-based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self efficacy, health belief, stage of change on female college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4. Shin, G. R., & Gang, Y. M.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lief of women in an islan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1), 89-99. 

  25. Seo, H. M., & Ha, Y. S. (2004).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ng lifesty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288-1297 

  26. Waller, J., Eriksson, O., Foldevi, M., Kronhed, A .C., Larsson, L., ILofman, O., et al. (2002). Knowledge of osteoporosis in a Swedish municipality-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4(4), 485-91. 

  27. WHO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Yoon, E. J. (1998). A study on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osteoporosis in adul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1), 27-42. 

  29. Yoon, E. J. (2001). The model explaining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osteoporo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0. Yoon, S. H., & Kim, J. G. (2005). Current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4), 844-8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