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중년여성과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의 건강통제위, 우울, 안녕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Depression,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 Middle Aged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57 - 165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소애영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숙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Health Locus of Control (HLOC), depression,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 between middle aged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Methods: Data from 80 Korean-American women living in Los Angeles, USA and 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계속 살고 있는 중년 여성들과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살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들의 정신건강 지각, 건강통제위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비교하여, 두 그룹 간의 문화적 차이를 밝히며, 건강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또한 세계관, 사회구조, 그리고 기타 인용된 차원과 관련된 건강 돌봄 다양성과 보편성을 찾고, 비슷하거나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각각의 문화에 적합한 방식으로 웰빙 또는 건강의 회복 유지 및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문화적으로 일치하는 돌봄 제공을 받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Tommey & Allgood, 2006).
  • 본 연구는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국인 중년여성과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의 건강통제위, 우울, 안녕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비교하기 위해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한국인 중년여성과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건강통제위 및 건강증진행위를 비교 하여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된 비교 연구이다. 한국의 W시에 살고 있는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한국인 중년여성 82명과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살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 8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그룹 간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 중년 여성과 한국계 미국인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건강통제위 및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한 본 연구의 결론은? 한국의 W시에 살고 있는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한국인 중년여성 82명과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살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 8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그룹 간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인 중년여성이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보다 안녕감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고, 건강통제위에서는 우연통제위에서만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으로 조사한 건강증진행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한국인 중년여성이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보다 건강책임을 제외한 전체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유의하게 적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계 미국인 여성들이 미국의 문화와 사회 제도에 동화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에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서 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한국인 중년여성들에게서 건강증진행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취약점에 따른 건강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간호사는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문화적으로 근거하고 이해 되는 중재 프로그램들을 운영할 때, 중년여성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에 따르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에 따르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이 행동특성 및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행위에 대해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및 자기효능감 뿐 아니라 대인관계 영향 및 상황적 영향요인이 행위계획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즉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개인적 영향요인 뿐 아니라 문화적, 환경적 영향요인들이 함께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통제위란 무엇이고, 누가 고안하였으며, 어떻게 구분되는가? 건강통제위는 건강유지 및 관리에 대한 책임 및 기대가 어디에서 결정되는가를 구분하는 것으로 Wallston, Wallston과 DeVelis (1978; Wallston, 2005)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자신의 행위가 자신의 건강을 결정한다는 내적통제위, 외부 요인이 자신의 건강을 결정한다는 타인 통제위와 운이나 운명에 의해 결정된다는 우연통제위로 구분된다. 이러한 통제위는 상황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며, 특히 특별한 사연으로 인하여 이민을 간 사람들에겐 기존의 기대가치와 변화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rews, M. M., & Boyle, J. (2008). Transcultural concepts in nursing care. Lippincotts, Williams & Wilkins. 

  2. Bech, P., Rasmussen, N.-A., Olsen, L. R., Neorholm, V., & Abildgaard, W. (200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 using the present state examination as the index of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6 , 159-164. 

  3. Berstein, K. S. (2007). Mental health issues among urba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8(2), 175-180. 

  4. Choe, M. A., & Im, E. O. (2007). Difference in needs for physical activity among healthy women, women with physical limitations and Korean immigrant women. Asian Nursing Research, 1(1), 48-60. 

  5.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 Figueras, J., McKee, M., Lessof, S., Duran, A., & Menabde, N. (2008). Health systems, health and wealth: Assessing the case for investing in health system. WHO. 

  7. Glanz, K., Rimer, B. K., & Lewis, F. M. (2002). Health Behaviors and Health Education. Josse-Bass A Wiley Imprint. 

  8. Han, K. S. (2000). A study of stress reaction, symptoms of stres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immigrant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606-618. 

  9. Im, E. O., Meleis, A. I., & Lee, K. A. (1999). Cultural competence of measurement scales of menopausal symptoms: Use in research among Korea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6, 455-463. 

  10. Jang, Y., Kim, G., Chiriboga, D., & King-Kallimanis, B. (2007). A bidimensional model of acculturation for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Studies, 21, 267-275. 

  11. Kong, E. H. (2007).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Korean American, and Caucasian-American family caregivers of frail older adult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2), 213-220. 

  12. Lee, K. J., Chang, C. J., Yoo, J. H., & Yi, Y. J. (2005).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3), 494-502. 

  13. Lee, E. E., & Farren, C. J . (2004). Depression among Korean, Korean American, and Caucasian American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5(1), 18-25. 

  14. Lee, E. O., 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 Bae, J. I.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unSa. 

  15. Lee, S. J., Park, E. S., & Park, Y. J. (1996).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middle aged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320-336 

  16. Oh, B. J. (1995). A predicting mod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Park, G. J., & Lee, K. H. (2002).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8(1), 69-84. 

  18. Park, H. S., Kim, S. K., & Cho, G. Y. (2003). A study on climatric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9(4), 479-488. 

  19. Park, S. Y., & Bernstein, K. S. (2008). Depression and Korean American immigran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2(1), 12-19. 

  20. Rock, D. L., Meyerowitz, B. E., Maisto, S. A., & Wallston, K. A. (1987). The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six multidimen 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cluste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 185-195. 

  21. Seo, H. M., & Hah, Y. S. (200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288-1297. 

  22. Shin, H. S., Han, H. R., & Kim, M. T. (2007).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st Kore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A structured interview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415-426. 

  23. Shin, K. R., & Shin, C. (1999).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Immigrant women acculturating into the United States. Health Care Women International, 20(6), 603-617. 

  24. Sohn, L., & Harada, N. D. (2005). Knowledge and use of preventive health practice among Korean women in Los Angele county. Preventive Medicine, 41, 167-178. 

  25. Song, M. S., Kim, S. M., Kim, J. I., & Cho, N. O. (2007). Measurement in gerontology research. Seoul: KoonJa. 

  26. Sung, M. H. (2000).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ric symptoms and depression of mu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6(4), 465-476. 

  27. Tommey, A. M., & Allgood, M. R. (2006). Nursing theorist and their work (6th ed.). Mosby. 

  28. Walker, S. N., & Hill-Polerecky, D. 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profile 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Retrieved from http://app1.unmc.edu/nursing/conweb/view_profile.cfm?lev1facstf& lev2fac& lev3facswal ker&PubStat(none)&webpub 

  29. Wallston, K. A., Wallston, B. S., DeVelis, R. (1978).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MHLC) scales. Health Education Monographs, 6, 160-170. Retrieved from http://www.vanderbilt.edu/nursing/kwallston/mhlcscales.htm 

  30. Wallston K. A. (2005). The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4), 623-631. Retrieved from http://www.vanderbilt.edu/nursing/kwallston/mhlcscales.htm 

  31.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Inquiry Group (2010). Women's health nursing care. Seoul: Soo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