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Uncertainty Scale for Infertile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370 - 380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  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uncertainty scale for infertile women.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12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and extrac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불임 여성이 불임의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확실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서울시 C병원 불임센터에서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의 불임 시술 과정에 있는 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경험 및 전문가 집단 토의를 근간으로 하여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개념틀을 마련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한 후 대상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예비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후 예비조사를 통해 도구 형식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문항 분석,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완성된 최종도구는 개인적 측면 6문항과 관계적 측면 4문항,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의 자가보고 형식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여성을 위한 불확실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측정도구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계수가 높은 순으로 문항을 정렬했을때, CVI값이 80% 이상인 문항 수는 개인적 측면의 불확실성에서 6개, 관계적 측면의 불확실성에서 4개가 선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항,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과 관련이 적다고 판단되는 문항,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측정에 있어 중요하지 않은 문항, 혼돈스러운 문항 또는 수정이 필요한 문항, 극소수의 대상자에게만 적용 되는 문항 등이 있는지에 대해 개방적 질문을 하면서 계속해서 첨가되어야 할 문항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다시 간호학 교수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거쳐총 1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내용타당도 검정을 위한 전문가 수는 3인에서 10인 정도가 적당하다는 Lynn (1986)의 이론에 근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임 여성들이 불임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확실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불임 여성들에게 적합한 불확실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7년까지의 불임 관련 연구는 어떠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인가? 불임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불임 관련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불임여성의 경험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와 스트레스와 불안 등 심리·정서적 요인을 다루는 상관관계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Bae, Ro, & Kim, 1999; Kim, 1999; Weaver, Clifford, Hay, & Ronibson, 1997). 그러나 불임 부부의 급격한 증가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심각한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지금, 불임 관련 임상 실무자들은 불임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바탕이 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 또한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불확실성이란 무엇인가? 불확실성은 질병의 치료과정 및 경과와 관련된 상황적 자극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하거나 모호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Mishel, 1988), 사건의 의미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상태 또는 사건에 대해 명확한 가치를 정할 수 없을 때 생기며,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것이다(Mishel & Braden, 1988). 현재까지는 급 ․ 만성질환과 관련된 불확실성에 대한 것으로 Mishel (1981)에 의해 개념화되고 개발된 불확실성 도구가 주로 쓰여져 왔는데, Mishel (1981)은 모호성(Ambiguity), 복합성(Complexity), 정보부족(Deficient information), 불예측성(Unpredictability)의 4가지 요인으로 질병의 상황적 경험 내에서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Hilton과 Mishel의 불확실성 측정도구는 공통적으로 어떤 제한점이 있다고 여겨지는가? 즉, Hilton (1994)의 도구는 정서적 결과를 수반한 불확실성을 측정하도록 한 반면, Mishel (1981)은 불확실성을 그에 따른 정서적 결과와 분리하여 측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두 도구 모두 질병 상태에서의 불확실성을 측정한 것으로 현재의 질병 상태와 경과, 치료과정에 대한 예측 및 질병의 예후 등이 주를 이루고있으므로 불임 여성이 경험하는 발달적·상황적 위기로써의 불임의 진단과 치료과정의 경험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K. J., Ro, S. O., & Kim, J. A. (1999). The study of loneliness in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6), 1379-1391. 

  2. Burns, L. H., & Covington, S. N. (1999). Infertility counseling: A comprehensive handbook for clinicians, New York: Parthenon. 

  3. Cho, J. J. (2005). Biotechnology and women's behavior: between test-tube baby and a study on cloning embryos.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5 (1), 93-123. 

  4. Cho, N. O., & Park, Y. S. (1996). Socio-cultural mechanism of infertile women's experience and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 (2), 191-202. 

  5. Covington, S. N., & Burns, L. H. (2006). Infertility counseling: A comprehensive handbook for clinicians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Cousineau, T. M., & Domar, A. D. (2007).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21 (2), 293-308. 

  7. Daniluk, J., & Mitchell, J. (2003). Themes of hope and healing: infertile couples' experiences of adop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1 (4), 389-399. 

  8. Domar, A. D. (2007). The mind/body connection: The boston IVF handbook of infertility, Boston. Informa Healthcare. 

  9. Gibson, D. M., & Myers, J. E. (2002). The effect of social coping resources and growth-fostering relationships on infertility stress in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4, 68-80. 

  10. Gerrity, D. A. (2001). A biopsychosocial theory of infertility. The Family Journal, 9 (2), 151-158. 

  11. Hilton, B. A. (1994). The uncertainty stress scale: Its relevance to life-threatening and chronic illness. Critical Care Nurse, 12 (2), 70-73. 

  12. Hirsch, A. H., & Hirsch, S. M. (1998).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riage and self-concep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8 (1), 13-20. 

  13. Han, H. S. (2003). A study on korean women infertility experiencing: grounded theory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4. Hwang, S. S. (2000).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experience of infertile wom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5. Jung, B. J., Lee, S. H., Pai, D. H., & Kie, B. S. (1993). A study on psychological strain in IVF.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6 (6), 800-811. 

  16. Kang, H. S., & Kim, M. J. (2004). Experiences of infertile women in unsuccessful In Vitro Fertilization (IVF).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2), 119-127. 

  17. Kim, H. J. (1999).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in IVF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Kim, S. H. (2007, August). Data analysis of epidemiology of infertility: 2002-2006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Donga,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8250004 

  19. Kwon, K. S. (2004). A study on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of sterile women: principally based on a medical social work approa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 Knapp, T. R., & Brown, J. K. (1995). Ten measurement commandments that often should be brok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8, 465-469. 

  21.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22. Mishel, M. H. (1981).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30 (5), 258-263. 

  23. Mishel, M. H. (1988).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 225-232. 

  24. Mishel, M. H., & Braden, C. J. (1988). Finding meaning: Antecedents of uncertainty. Nursing Research, 37, 98-103. 

  25.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26. Park, H. S., Park, E. S., & Kang, I. S. (2000).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Seoul: Jeongdam Publishing Company. 

  27. Park, Y. J. (1993). The experience of the infertil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Sherrod, R. A. (1999). Give me children or I'll die-Easing the spiritual pain of infertility.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6 (3), 30-33. 

  29.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HarperCollins. 

  30. Yi, M. S., Lee, S. W., Choe, M. A., Kim, K. S., & Kim, Y. M. (2001). Experience of Mothers with babies by in vitro fer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1), 55-67. 

  31. Weaver, S., Clifford, E., Hay, D., & Ronibson, J. (1997). Psychosocial adjustment to unsuccessful IVF and GIFT treatmen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1, 7-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