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매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Cosmetics Containing Duchesnea indica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6 no.4, 2010년, pp.281 - 288  

양웅석 (이수제약(주)) ,  김용민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  김이화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  서영배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양윤정 (세명대학교 자연약재학과) ,  김현우 (세명대학교 자연약재학과) ,  강세찬 (세명대학교 자연약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에탄올 농도별(0, 30, 50, 70, 100 %)로 추출한 사매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로 평가한 결과 30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30 %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 완화에 관련한 효능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MMP-8 collagenase 억제 활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0 % 에탄올 사매추출물을 섬유아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이 없었고, 20 %의 MMP-8 collagenase 억제 활성을 보였다. 사매 추출물 1 %가 함유된 Di-Wrinkle Free Cream (DWFC)으로부터 35 ~ 50세의 21명 여성을 대상으로 하루에 2번 도포하여 8주간 인체 안전성과 주름개선 임상평가를 수행하였다. 주름 평가 방법은 3차원 입체 측정기(PRIMOS)를 이용하여 평가를 하였다. DWFC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피험자 방문 시 마이상반응,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이나 다른 이상반응이 발생하는지 육안평가와 문진으로 평가하였다. PRIMOS(GFM, Germany)를 이용하여 눈 주변의 주름을 분석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름이 13 % 감소하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사매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effects of Duchesnea indica extracts by us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he extracts were prepared with 0 %, 30 %, 50 %, 70 % and 100 % aqueous ethanol respectively. The 30 % EtOH D. indica extract showed higher ORAC activity than the 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매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 및 화장품 개발의 이용 가능성과 관련하여 주름개선에 대한 효능 및 효과를 평가하였고, DWFC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 임상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 사매추출물의 항산화, 콜라게네이즈 억제 활성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이중 항산화 활성 및 콜라게네이즈 억제활성이 우수한 30% 에탄올 추출물이 1 % 함유되어 있는 Di-Wrinkle Free Cream을 제조하여 인체적용시험을 통해서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피부 주름 개선에 있어 reactive oxygen species(ROS)와 같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이나 콜라게네이즈의 작용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소재의 발굴이 중요하다. 현재 주름 개선에 이용되고 있는 비타민 A, 비타민 C와 비타민 A, C 유도체 등 다양한 항산화제가 있지만,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점이 있어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는 인체의 약 16 %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유해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1].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피부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과 신축성이 큰 엘라스틴 단백질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7].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타입 Ⅰ, Ⅱ, Ⅲ, 그리고 Ⅳ이다. 콜라겐 타입 Ⅰ과 Ⅲ은 진피층의 세포간질의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Ⅳ는 dermal epidermal junction (DEJ)의 주요 구성 물질이 된다.
피부의 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분류되는데 이중에서 외인성 노화는 무엇인가? 피부의 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분류하고,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 결이 거칠어지고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다[1].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reactive oxygen 및 스트레스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를 말한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노화 현상이 진행되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이 발생하여 주름은 증가하고, 피부 탄력은 감소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 A. Gilchrest, Skin aging and photoaging :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1, 610 (1989). 

  2. Y. M. Janssen, B. Van Houten, P. J. Borm, and B. T. Mossman, Cell and tissue responses to oxidative damage, Lab. Invest., 69, 261 (1993). 

  3.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al B. Biol., 63, 41 (2001). 

  4. S. K. Karin, P. Brenneisen, and J. Wenk, Photoaging of the skin from phenotype to mechanism, Exp. Gerontol., 35, 307 (2000). 

  5. M. Yaa and B. A. Gilchrest, Photoag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 874 (2007). 

  6. J. Y. Seo, H. R. Choi, G. E. Rhie, C. S. Youn, W. W. Choi, J. A. Kim, J. H. Chung, K. H. Kim, K. H. Cho, and H. C. Eun, The effect of retinoic acid and vitamin C on the expression of the procollagen a1 (I), tropoelastin, an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 Kor. J. Invest. Dermtaol., 8, 23 (2001). 

  7. R. W. Moskowit, Role of collagen hydroiysate in bone and joint disease, Semin Arthritis Rheu, 30(2), 87 (2000). 

  8. M. Pei, C. Yu, and M. Qu,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 II and III in loose body of osteoarthitis, J. Orthop. Sci., 5, 288 (2000). 

  9. X. Li and X. Yin, Seed dispersal by birds in Nanjing botanical garden mem, Acta. Ecological Sinica., 24, 142 (2004). 

  10. X. Luoand and M. Dong, Architectural plasticity of the stoloniferous herb, Duchesnea indica in response to different elevation, Chin. J. Appl. Ecol., 13, 399 (2002). 

  11. S. Wilkes and H. Glas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systematic significance of 2-pyrone-4,6-dicarboxylic acid in rosaceae, Phytochem, 58, 441 (2001). 

  12. H. J. Xue, M. Egas, and X. K. Yang, Development of a positive preference-performance relationship in an oligophagous beetle: adaptive learning, Entomol. Experiment Appl., 125, 119 (2007). 

  13. A. E. Marta, E. L. Camadro, J. C. Diaz-Ricci, and A. P. Castagnaro, Breeding barriers between the cultivated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and related wild germplasm, Euphytica. Neth. J. Plant. Breeding, 136(2), 139 (2004). 

  14. J. S. Chen, N. F. Lei, D. Yu, and M. Dong, Differential effects of clonal integration on performance in the stoloniferous herb Duchesnea indica, as growing at two sites with different altitude, Plant. Eco., 183, 147 (2006). 

  15. H. Lee and J. Y. Lin,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 Res., 204, 229 (1998). 

  16. Y. Liu, X. Nie, and L. Xu,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ree wild and shade tolerant ground cover plants, Prata. Cul. Sci., 21, 77 (2004). 

  17. C. P. Osborne, B. G. Drake, and J. LaRoche, Dose long-term elevation of CO2 concentration increase photosynthesis in forest floor vegetation (indiana strawberry in maryland forest), Plant. Physiol., 114, 337 (1997). 

  18. M. Shoemaker, B. Hamilton, and S. H. Dairkee,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twelve chinese medicinal herbs, Phytothera Res., 19, 649 (2005). 

  19. W. D. Xu, H. W. Lin, and F. Qiu, Studies on chemical constituents of Duchesnea indica Focke, Chin. Pharm. J., 42, 981 (2007). 

  20. L. Ye and J. S. Yang, New ellagic glycosides and triterpenoids from Duchesnea indica Focke, Acta. Pharm. Sinica., 31, 844 (1996). 

  21. I. R. Lee and Y. H. Kim, Studies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Duchesnea indicae herba, Arch. Pharm. Res., 9, 1 (1986). 

  22. B. Peng, Q. Chang, and L. Wang, Suppression of human ovarian SKOV-3 cancer cell growth by Duchesnea phenolic fraction is associated with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Gynecologic oncology, 108, 173 (2008). 

  23. Y. Q. Wang, J. Y. Si, and X. M. Liu,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llagic acid and brevifolincarboxylic acid in Duchesnea indica by RP-HPLC, Natural product R & D, 20, 667 (2008). 

  24. Z. Jianzhong, Physiological response of Duchesnea indica to aluminum stress. Journal of Anhui agricultural sciences, 36, 426 (2008). 

  25. G. Lan, R. Lei, and F. An, Study on community dynamic of Pinus armandii in the Qinling mountains. Journal of Northwestern College of Forestry, 20, 48 (2005). 

  26. Z. X. Zhang and X. S. Bo, Effect of Duchesnea indica on extracorporeal esophageal cancer cells, Chinese journal of modern developments in traditional medicine, 8, 221 (1988). 

  27. L. Zhao, S. L. Zhang, and J. Y. Tao,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a folk herbal medicine. Duchesnea indica (Andr.) Focke at RAW264.7 cell line, Immunological investigations, 37, 339 (2008). 

  28. W. S. Yang, H. W. Kim, Y. J. Jeong, W. C. Lim, and S. C. Kang,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J. Food Nat. Pro. Sci., 1, 44 (2010). 

  29. S. C. Kang and M. G. Choung,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olored potatoes, Hongyoung and Jayoung cultivar. Korean J. Crop Sci., 53, 233 (2008). 

  30. N. S. Kim and Y. M. Kim, Development of noncontact image measuring technique are evaluating micro-relief, J. Soc. Cosmet. ScientisM. Korea, 31, 2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