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to Domestic Violence - Centering around wife abuse -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6 = no.108, 2010년, pp.113 - 123  

황미진 (전북대학교생활과학대학) ,  송기춘 (전북대학교생활과학대학) ,  오광실 (전북대학교생활과학대학) ,  유현숙 (전북대학교생활과학대학) ,  하상희 (전북대학교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ir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6 police officers around Iksan provinc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우리나라는 1998년 7월부터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국가의 책무를 나타내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가정폭력의 예방”방지와 피해자의 보호■지원을 위하여 다음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데, 가정폭력 신고체계를 구축 및 운영하고 가정폭력의 예방과 방지를 위하여 조사.연구.
  • 하지만 실제로 이 법을 집행하여야 할 경찰들이 이 법의 취지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동조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가정폭력 문제에 미온적이고 소극적으로 대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표창원,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폭력에 대하여 경찰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인식과 관련한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경찰들이 가정폭력에 대해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가정폭력의 현장에 종사하는 경찰을 대상으로 가정폭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인식과 관련하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파악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한 정당하고 적극적인 집행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관련 요인들에 대한 개인및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집행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관련 요인들에 대한 개인및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병준(2002).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경찰학회보, (4), 223-245. 

  2. 김영란(2007). 가정폭력사건에 대한 경찰의 개입에 대하여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6, 97-100. 

  3. 김희연(2005).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대전시 인구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여성정책위원회 연구보고서. 

  4. 박인선(2000). 가정폭력 예방전략 개발. 보건복지부의 가정폭력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세계은행프로젝트 자료집, 49-61. 

  5. 서거석.김운희(2002).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실태와 문제점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 형사정책, 14(1), 75-104. 

  6. 성난실(2007). 아내폭력에 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프로그램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손정영(1998). 아내학대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경희재학교 박사학위논문. 

  8. 신보미(2005).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행위자 및 배우자의 갈등대처방안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을 중심으로 -.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신용현(2004).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해섭(2005). 교사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및 개입에 관한연구. 생활과학연구, 10, 112-124. 

  11. 오민호(2009). 경찰의 가정폭력 대응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오세연(2009).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대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유민수(2000). 성장기 부부폭력 관찰경험, 성역할 인식, 가정폭력방지법 인지정도가 아내구타에 대한 왜곡된 신념에 미치는 영향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영아(2005). 아내폭력에 대한 경찰의 인식 및 개입태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춘숙(2000). 가정폭력 피해자의 경찰연계 현황 및 수사상유의점. 한국성폭력상담소, (1), 133-139. 

  16. 정희진(2001).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또 하나의 문화. 

  17. 주명희(2006). 가정폭력 사건에 대한 경찰의 인식에 관한 연구: 체포강제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여성연구, 5-42. 

  18. 표창원(2001). 한국사회의 가정폭력 대응능력 제고방안 - 영국사례의 검토를 통한 경찰상의 개선책을 중심으로 - .한국성폭력상담소, (1), 69-93. 

  19. 허소영(2001).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개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허남순.장희숙.김유순(2000). 아내구타에 대한 경찰의 태도 및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300-324. 

  21. 허소영.허남순(2003). 경찰관의 가정폭력개입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 103-123. 

  22. 황혜숙(1997). 아내구타 문제에 대한 태도조사를 기초로 한사회사업가의 역할.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Stalans, L. J., and Finns, M. A.(1995). How novice and experienced dfficers interpret wifd assaults:Normatice and efficiency frames, Law and Society Review, 29(2), 287-321. 

  24. Thomas Green and Chandrika Kelso(2010). Police Discretion in Domestic Violence incident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Journal, (14), 24-4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