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직접의료지도 이용경험과 관련요인
Utilization of Medical Oversight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119 Rescue Worker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3, 2016년, pp.124 - 132  

주미현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접의료지도란,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의사에게 전문적인 지도와 자문을 제공받는 행위를 말한다. 본 연구는 직접의료지도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광주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 1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3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약 82%가 최근 한 달 이내 직접의료지도 경험이 있었고,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혼자인 경우(OR = 3.87, 95% CI = 1.22~12.27), 1급 응급구조사인 경우(OR = 2.87, 95% CI = 1.02~8.09), 심혈관계 응급환자를 처치한 경우(OR = 9.19, 95% CI = 1.87~45.08)에 직접의료지도 이용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향후 직접의료지도 내용과 제도 개선 시 119 구급대원의 특성과 처치하는 환자의 질병상태를 고려한다면 직접의료지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al oversight (MO) means the advice and direction provided by a physician to rescue workers who provide medical care or carry patients at the scene of an emer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MO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119 rescue workers in Gwangju. A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직접의료지도란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송하는 구급대원에게 환자의 상담, 이송 및 응급처치 등에 관하여 의사에게 전문적인 지도와 자문을 제공받는 행위를 말한다.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들의 직접의료지도의 이용실태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또한 자가보고형 설문조사 방식을 이용해 건강행태 등에서 과대 혹은 과소 추정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자면, 직접의료지도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직접의료지도 이용현황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제도 정착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119 구급대원의 자격요건에 따른 이용률 정도만 조사가 되어 있고, 구체적인 현황이나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 전 단계에서 119 구급대원들의 직접의료지도의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119 구급대원이 병원 전 응급의료 단계에서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송하는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환자에게 응급처치로 인한 위험성 및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업무수행에 법률적 보호를 받기위해 직접의료지도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접의료지도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직접의료지도 제도가 더 폭넓게 정착되고 활성화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의 특성은 무엇인가? 응급의료는 시간적 급박성과 신체에 가해지는 침습성 등으로 인해 생명의 위험성과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1). 그러나 응급의학과 의사를 포함하는 응급의료종사자가 모두 현장 및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 투입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의료지도는 직접 의료지도와 간접 의료지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간접 의료지도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의료지도는 직접 의료지도와 간접 의료지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접 의료지도는 의료지도의가 구급대원과 함께 직접 현장에 출동하여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현장 응급의료제공자와 유무선통신상으로 의료지시를 수행하는 것이다(3). 간접의료지도는 직접의료지도가 아닌 모든 형태의 의료지도로 지침개발 및 적용, 교육, 훈련 및 평가, 질 관리 등이 있다(4).
직접의료지도란 무엇인가? 직접의료지도란,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의사에게 전문적인 지도와 자문을 제공받는 행위를 말한다. 본 연구는 직접의료지도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 S. Kwak and H. O. Shin,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Medical Care in Legislative Process", J. Korean Assoc. Law Poli, Vol. 7, No. 1, pp. 65-93 (2007). 

  2. H. A. Bae, "Medical Direction an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Korean Criminol. Rev., Vol. 20, No. 3, pp. 87-125 (2009). 

  3. N. G. Kim, "Awareness and Performance for Medical Control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h University, Busan, Korea (2013). 

  4. B. S. Do, H. J. Park, S. P. Jeong, S. J. Hwang, T. Heo and J. Y. Lee, "EMSS"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NEMC) (2007). 

  5. J. H. Park, "Recognition and Request for Medical Direction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Vol. 15, No. 3, pp. 31-44 (2011). 

  6. H. Y. Seo and K. Y. Lee, "Analysis of Direct Medical Control Conducted to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Korean J. Emerg. Med. Ser., Vol. 16, No. 3, pp. 29-43 (2012). 

  7. S. G. Jeong, K. S. Kim, S. H. Cho, M. G. Kang and M. A. Han,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J. Agri. Med. Community Health, Vol. 34, No. 3, pp. 346-358 (2009). 

  8.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NEMC), "2010 Research and Outcome Report for Provider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art 4, p. 152 (2011). 

  9. J. Y. Park, K. Y. Jung and H. A. Bae, "Indications and Estimations of the Needs for Direct Medical Control in the Patients Transported by 119 Rescuers", J. Korean Inst. Fire Sci. Eng., Vol. 20, No. 3, pp. 42-47 (2006). 

  10. J. M. Im, S. J. Yun, K. S. Lim, S. G. Kang, Y. S. Choi and K. H. Seo, "Psychological Burden for Legal Responsibility of 119 Emergency Personnels", Korean J. Emerg. Med. Ser., Vol. 13, No. 1, pp. 87-96 (2009). 

  11. B. Y. Kim and S. H. Lee, "The Educational Need of Forensic Medicin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119 Rescue Service", J. Fore Investig. Sci., Vol. 2, No. 2, pp. 50-66 (2007). 

  12. J. D. Yeo and B. G. Jeon, "A Study on Radiologis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ospotal Infection Preventino", Korean J. Soc. Radiol., Vol. 6, No. 5, pp. 321-333 (2012). 

  13. S. E. Kim and Y. M. Lee, "A Study on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for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Infection Control of the Medical Memb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3, No. 4, pp. 1881-189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