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무 싹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assica rapa Sprou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669 - 676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태만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순무 싹이 in vivo에서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 및 체중저하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고지방식이와 순무싹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은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순무 싹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식이섭취량은 감소하였다. 체중 당 간조직의 무게는 순무 싹 분말의 첨가로 간조직의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부고환조직 및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식이와 순무 싹 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 모두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LT, ASTALP 활성은 순무 싹 분말의 혼합식이로 감소되었다. ALT 활성은 고지방식이와 10% 순무 싹 분말 첨가군(HF-BRH)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과 유의차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AST 및 ALP 활성은 고지방식이와 순무 싹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 모두 고지방식이군(HF)과 유의차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이와 순무 싹 분말첨가군들(HF-BRL, HF-BRH)은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와 순무 싹 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 모두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순무 싹 분말의 급여로 인하여 고지방식이로 감소된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되었고,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혈청 LDL-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위험지수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와 순무싹 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 모두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간조직 중 중성지방함량은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고지방식이와 10% 순무싹 분말 첨가군(HF-BRH)에서 유의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순무 싹 분말 첨가로 유의적인 감소 효과는 없었다.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식이와 순무 싹 분말 첨가군들(HF-BRL, HF-BRH)은 고지방식이군(HF)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순무 싹이 흰쥐의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 효과와 체내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시키는 등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나 이와 관련된 기능성분 및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ssica rapa (BR) sprouts on weight reduction and cholesterol-lowering action in rats fed high fat diet for 4 weeks. Weight-match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dietary fat levels (10% or 20% of diet wt.).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이러한 순무 싹의 생리활성 효능의 검증을 함으로써 순무 싹의 이용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재배되는 발아채소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콩, 녹두, 메밀 씨앗을 발아시켜 채소로 이용해 왔다(5). 현재 재배되는 발아채소의 종류는 메밀, 보리, 무, 알팔파, 브로콜리, 양배추 등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으며 발아채소는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청정채소로 연중 신선한 채소를 필요한 시기에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물 종자는 발아가 진행되면서 생리활성이 증대되고 성분의 변화가 일어나 성숙한 채소에 비하여 훨씬 많은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등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게 되며, 특히 발아채소에 많은 식이섬유소는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담즙을 통한 콜레스테롤의 배설이 촉진되기 때문에 고지혈증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효과가 보고되고 있다(5-8).
새로운 기능성 채소로 주목받는 발아채소의 식이섬유소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현재 재배되는 발아채소의 종류는 메밀, 보리, 무, 알팔파, 브로콜리, 양배추 등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으며 발아채소는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청정채소로 연중 신선한 채소를 필요한 시기에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물 종자는 발아가 진행되면서 생리활성이 증대되고 성분의 변화가 일어나 성숙한 채소에 비하여 훨씬 많은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등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게 되며, 특히 발아채소에 많은 식이섬유소는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담즙을 통한 콜레스테롤의 배설이 촉진되기 때문에 고지혈증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효과가 보고되고 있다(5-8).
발아채소란? 발아채소(seed sprouts)는 싹이 발아 후 1주 남짓 된 잎이 1∼3개 정도 되는 어린잎의 채소를 총칭하며, 다량의 생리활 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콩, 녹두, 메밀 씨앗을 발아시켜 채소로 이용해 왔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7 Summary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 Wu JH, Kao JT, Wen MS. 1993.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predicted by plasma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AI, apolipoprotein B, and lipoprotein(a) in a general Chinese population. Clin Chem 39: 209-215. 

  3. Kim NJ, Jung EA, Kim DH, Lee SI.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hyperlipidemic drugs from oriental herbal medicines ( I ). Kor J Pharmacogn 30: 368-376. 

  4. Kim NJ, Jung EA, Kim DH, Lee SI. 2000.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hyperlipidemic drugs from oriental herbal medicines ( II ). Kor J Pharmacogn 31: 190-195. 

  5. Woo N, Song ES, Kim HJ, Seo MS, Kim AJ. 2007. The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routs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0: 356-362. 

  6. Fernandez ML, Lin ECK, Trejo A, McNamara DJ. 1992. Prickly pear (Opuntia sp.) pectin reverses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suppression induced by a hypercholesterolemic diet in guinea pig. J Nutr 122: 2330-2340. 

  7. Kim YS, Min BY, SB GB. 1983. Effects of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of albino rats. Korean J Food & Nutr 12: 310-315. 

  8. Aro A, Unsitupa M, Voutilaninen E, Korhonen T. 1984. Effects of guar gum in male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m J Clin Nutr 39: 911-916. 

  9. Yook CS. 1981. An Illustrated Guide of Korean Medicine Flora. Jin Myoung Press, Daegu, Korea. p 120. 

  10. Kang IH. 1991. Korean Food Culture History. 2nd ed. Sam Young Sa, Masan, Korea. p 197. 

  11. Choi AR, Lee GS, Chae HJ. 2008. Effects of ultrasonication on the analysis of sulforaphane content in vegetables. KAIS 9: 794-799. 

  12. Bang MH, Lee DY, Oh YJ, Han MW, Yang HJ, Chung HG, Jeong TS, Lee KT, Choi MS, Baek NI. 2008.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 X II. Isolation of indole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and their hACAT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65-69. 

  13. Choi HJ, Han MJ, Baek NI, Kim DH, Jung HG, Kim NJ. 2006.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rassica rapa (turnip) on d-galactosamine induced liver injured rats. Korean J Pharmacogn 37: 258-265. 

  14. Rhee YH, Lee EU, Park SY, Lee HJ, Yoon BJ, Yoon JH, Yoon SH. 2005. Effects of Brassica rapa L. extracts and ${\beta}$ -sitosterol o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 19: 1528-1533. 

  15. Kim IS, Han SH, Han KW. 1997.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58-1062. 

  16. Kim IS, Kwon TB, Oh SK. 1988.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88-193. 

  17. Kwon TB. 1994. Changes in rutin and fatty acid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ition 7: 124-127. 

  18. Lee MH, Woo SJ,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ition 7: 274-283. 

  19.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121-129. 

  20.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ne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7. 

  21. Kim SH, Lee EY, Ham SS. 2007. Antioxidation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buckwhea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55-959. 

  22. Cui CB, Lee EY, Ham SS, Lee DS. 2008.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d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12-218. 

  23. Woo N, Song ES, Kim HJ, Seo MS, Kim AJ. 2007. The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routs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0: 356-362. 

  24. Lee JS, Park SJ, Sung KS, Han CK. 2000. Effects of germinated-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06-211. 

  25. Reeves PG, Nielson FH,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26. Friedwald W, Levy R,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7.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28.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9. Zlatkis A, Zak B. 1969.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30. Biggs HG, Erikson TM, Moorehead WR. 1975.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ical Chem 21: 437-441. 

  31. Artiss JD, Brogan K, Brucal M, Moghaddam M, Catherine Jen KL, 2006. The effects of a new soluble dietary fiber on weight gain and selected blood parameters in rats. Metab Clin Exp 55: 195-202. 

  32. Pellizon M, Busion A, Jen KL. 2000. Short-term weight cycling in aging female rats increases rate of weight gain but not body fat content. Int J Obes 24: 236-245. 

  33. Kang YH, Park YK, Ha TY, Moon KD. 1996.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 367-373. 

  34. Shin MK, Han SH. 2006. Effe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 rats. Korean Food Culture 21: 202-208. 

  35. Kim ES, Kim MY. 1999.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ition 32: 337-352. 

  36. Shin MK, Kim DH, Han SH. 2003. Effects of dried green tea leaf powder of serum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Korean J Food Culture 18: 226-234. 

  37. Jayasooriya AP, Sakono M, Yukizaki C, Kawano M, Yamamoto K, Fukuda N. 2000.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fed with lipid param-free and lipid param enriched diets. J Ethnopharmacame 72: 331-336. 

  38. Lee JJ, Lee YM, Shin HD, Jeong YS, Lee MY. 2007.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d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65-974. 

  39. Kim EJ, Kim YE, Kim GY. 2007. The anti-obesity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and Gastrodia elata on the obesity rats induced high-fat diet. Korean J Exerc Nutr 11: 61-68. 

  40. Choi YS. 2002. Characteristics of mayonnaise quality by addition of sterol.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1. Koo BS, Lee JW. 2004. Effect of phytosterol treatment on plasma lipids and glucose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429-434. 

  42. Choi JS, Lee JH, Young HS. 1995.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Phragmites communis and its active principles. J Korean Soc Food Nutr 24: 523-529. 

  43. Nam BS, Lye YJ, Jin HH, Ha KY. 2002. Effects of green tea consumption on serum lipid profiles. Korean J Nutr 35: 854-862. 

  44. Kang HJ, Song YS. 1997.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58-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