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수손상환자들의 폐기능 향상을 위한 흡기 및 호기 호흡운동 방법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Breathing Exercises on Pulmonary Function of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1, 2010년, pp.9 - 16  

전용진 (성모자애복지관 치료교육팀 물리치료실) ,  오덕원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경모 (분당차병원 물리치료실) ,  이영정 (분당제생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2 protocols recommended to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each protocol included breathing exercises (inhalation-oriented or exhalation-oriented) and facilitation maneuver for the accessory respiratory muscles. Seventee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흡기 및 호기 호흡운동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경수손상 환자들의 폐기능 증진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호흡 운동방법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수손상 환자들의 폐기능에 대한 흡기 호흡운동과 호기 호흡운동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 폐기능 저하는 신체 전반적인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호흡운동들이 임상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수손상 환자들의 폐기능 향상을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호흡운동 방법을 알아내기 위하여 호흡운동을 흡기와 호기형태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호기 호흡운동을 하였던 환자군에서 치료 후 호흡지표들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기 호흡운동군에 비해 호기 호흡운동군이 호흡지표들의 향상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들에 대해 두 가지 호흡운동 형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많이 포함되지 못하였고 호흡운동을 단지 4주 동안에만 적용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켜서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한점이 따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흡기 및 호기 호흡운동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경수손상 환자들의 폐기능 증진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호흡 운동방법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수손상 환자들의 폐기능에 대한 흡기 호흡운동과 호기 호흡운동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 손상 후 9주에서 18주가량 경과하게 되면 초기에 비해 호흡기능은 상대적으로 많이 향상되지만, 그 이후에 호흡기능은 더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치료전략이 필요하다(McMichan 등, 1980).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흡기성 호흡운동과 호기성 호흡운동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호흡재활치료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 기능에 있어서 흡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호흡 기능에 있어서 흡기는 횡격막과 늑간근과 같은 일차적인 호흡근의 작용과 더불어 흉쇄유돌근, 대․소흉근, 승모근, 전거근, 사각근 등과 같은 흉곽 및 견관절 주위의 다양한 호흡 보조근들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척수손상 수준이 높을수록 흡기 동안 호흡 보조근들이 더욱 많이 관여하게 된다.
과거에 척수손상 환자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무엇이었나? 과거에 척수손상 환자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신부전과 요로계 합병증이었으나 적극적인 치료의 결과로 신장요로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되었다. 반면에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척수손상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이현숙과 박영옥, 1994; DeVivo 등, 1992).
과거의 척수손상 환자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신부전과 요로계 합병증이었으나 적극적인 치료 결과로 사망률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지금은 주된 사망원인으로 무엇이 나타나고 있는가? 과거에 척수손상 환자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신부전과 요로계 합병증이었으나 적극적인 치료의 결과로 신장요로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되었다. 반면에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척수손상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이현숙과 박영옥, 1994; DeVivo 등, 1992). 호흡기계의 문제는 척수손상 환자의 40∼67%에서 나타나고 있으며(Walker, 1989), 특히 경수손상 환자에서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Edward,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기송. 진행성 근 디스트로피 환자에서 호흡운동치료에 의한 폐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2. 문재호. 호흡계 질환의 재활. 대한재활의학회지. 1992;6(3):209-212. 

  3. 박창일, 박은숙, 김 철 등. 척추손상환자의 호흡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90;14(1):19-26. 

  4. 이재호, 박창일, 전중선. 척수손상 환자의 자세변화 후 시간경과와 확대 사용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7;4(3):17-33. 

  5. 이충휘. 물리치료학. 서울, 정담, 1997:63-65. 

  6. 이충휘, 권오윤, 신헌석. 심호흡계 물리치료학. 서울, 탑메디오피아, 2009:154. 

  7. 이현숙, 박영옥. 척수손상자의 사망원인과 생존기간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3):570-575. 

  8. 정한영, 권희규, 김세주 등. 경수손상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폐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3;17(1):62-69. 

  9. 편성범, 권희규, 김경희. 경수손상 환자에서 호흡운동치료에 의한 폐기능 증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2):302-310. 

  10. Brooks D, O'Brien K, Geddes EL, et al. Is inspiratory muscle training effective for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2005;19(3):237-246. 

  11. Carter RE. Respiratory aspects of spinal cord injury management. Paraplegia. 1987;25(3):262-266. 

  12. Derenne JP, Macklem PT, Roussos C. The respiratory muscles: Mechanics, control and pathophysiology. Part III. Am Rev Respir Dis. 1978;118(3):581-601. 

  13. Derrickson J, Ciesla N, Simpson N, et al. A comparison of two breathing exercise programs for patients with quadriplegia. Phys Ther. 1992;72(11):763-769. 

  14. DeVivo MJ, Stover SL, Black KJ. Prognostic factors for 12-year survival after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1992;73(2):156-162. 

  15. Estenne M, Knoop C, Vanvaerenbergh J, et al. The effect of pectoralis muscle training in tetraplegic subjects. Am Rev Respir Dis. 1989;139(5):1218-1222. 

  16. Estrup C, Lyager S, Noraa N, et al.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 and in normals. Respiration. 1986;50(1):36-43. 

  17. Gross D, Ladd HW, Riley EJ. et al. The effect of training on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diaphragm in quadriplegics. Am J Med. 1980;68(1):27-35. 

  18. Haas A, Lowman EW, Beergofsky EH. Impairment of respir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1965;46:399-405. 

  19. Harber P, SooHoo K, Tashkin DP. Is the MVV:FEV1 ratio useful for assessing spirometry validity? Chest. 1985;88(1):52-57. 

  20. Kang SW, Shin JC, Park CI,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 capacity i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Spinal Cord. 2006;44(4):242-248. 

  21. Kreitzer SM, Saunders NA, Tyler HR, et al. Respiratory muscle func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m Rev Respir Dis. 1978;117(3):437-447. 

  22. Liaw MY, Lin MC, Cheng PT, et al. Resistiv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ts effectiveness in patients with acute complete cervic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0;81(6):752-756. 

  23. Loveridge B, Badoura M, Dubo H. Ventilatory muscle endurance training in quadriplegia: Effects on breathing pattern. Paraplegia. 1989;27(5):329-339. 

  24. Maloney FP. Pulmonary function in quadriplegia: Effects of a corset. Arch Phys Med Rehabil. 1979;60(6):261-265. 

  25. McCool FD, Tzelepis G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the patient with neuromuscular disease. Phys Ther. 1995;75(11):1006-1014. 

  26. McMichan JC, Michel L, Westbrook PR. Pulmonary dysfunction following traumatic quadriplegia. Recogni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JAMA 1980;243(6):528-531. 

  27. Walker J, Cooney M, Norton S. Improved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quadriplegics after pulmonary therapy and arm ergometry. Paraplegia. 1989;27(4):278-283. 

  28. Wang TG, Wang YH, Tang FT, et al. Resistiv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sleep-disordered breathing of traumatic tetraplegia.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491-496. 

  29. Wild LB, Dias AS, Fischer GB, et al. Pulmonary function tests in asthmatic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ison between a microspirometer and a conventional spirometer. J Bras Pneumol. 2005;31(2):97-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