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준이 균형과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2, 2010년, pp.33 - 42  

안승헌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  정이정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세연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TCT, PASS-TC, TIS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 능력에 대한 다각적인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체간 조절 수행 평가 도구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체간 조절에 일반적인 특성과 균형,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립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6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조절 수행 평가 도구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체간 조절에 일반적인 특성과 균형,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행 평가에서 TIS총점은 TCT(r=.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간 조절 수행 평가 도구들(TCT, PASS-TC, TIS-총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체간 조절에 일반적 특성(연령, 진단명, 마비 유형, 유병일)과 균형(BBS), 보행(10 ⅿ 보행 속도) 및 기능적 수행 능력(TUG, MBI-이동 항목, FM-상 · 하지 운동 기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기능적인 회복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인 체간 조절은 일상생활 동작과 기능적인 회복을 예측하는데 몇 퍼센트의 설명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뇌졸중 후 기능적인 회복을 예측 할 수 있는 변수로 체간 조절은 일상생활 동작과 기능적인 회복을 예측하는데 45%~71%의 설명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Duarte 등, 2002; Franchignoni 등, 1997; Hsieh 등, 2002).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등속성 근력 검사(Karatas 등, 2004), 도수 악력계(Bohannon, 1995), 근전도 분석(Dickstein 등, 2004), 컴퓨터 단층 촬영(Tsuji 등, 2003), 동작 분석(Messier 등, 2004) 등이 이용 되고 있다.
TIS는 어떠한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나? TIS는 3가지 항목으로 최소 0점에서 최대 23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비측 하지위에 비마비측 하지를 교차시키고 양발을 지면에 닿은 상태로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정적 앉은 자세 균형 항목(7점), 체간의 외측 굴곡을 통해 체간 상부와 하부의 분리된 움직임을 평가하는 동적 앉은 자세 균형 항목(14점), 수평면에서 견갑대와 골반대의 회전 움직임을 평가하는 협응 평가항목(6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체간 조절 능력이 좋은 것이다. 뇌졸중 환자(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ICC=.
체간 조절 수행 평가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연구에 의하면 체간 조절 수행 평가 도구로 체간 조절 검사(Trunk Control Test; TCT),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체간 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Trunk Control; PASS-TC), 체간 장애 척도(Trunk Impairment Scale; TIS)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Verheyden 등, 2007b). TCT를 이용한 상 · 하지 근력과의 관계(Collen과 Wade, 1990)와 기능적 회복을 예측하는 인과관계 분석(Duarte 등, 2002; Franchignoni 등, 1997)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서현두, 김남조, 정이정.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in patients with stroke.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4):87-96. 

  2. 안승헌, 이제훈. 만성 뇌졸중 환자의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1):9-18. 

  3. Benaim C, Perennou DA, Villy J, et 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I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9):1862-1868. 

  4.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 Can. 1989;41(6):304-311. 

  5. Bohannon RW. Recovery and correlates of trunk muscle strength after stroke. lnt J Rehabil Res. 1995;18(2):162-167. 

  6.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180. 

  7. Collen FM, Wade DT, Bradshaw CM. Mobility after stroke: Reliability of measures of impairment and disability. Int Disabil Stud. 1990;12(1):6-9. 

  8. Davies PM. Right in the middle. New York, Springer-Verlag, 1990:31-65. 

  9. Dietz V. Human neuronal control of automatic functional movements: interaction between central programs and afferent input. Physiol Rev. 1992;72(1):33-69. 

  10. Dickstein R, Shefi S, Marcovitz E,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 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61-267. 

  11. Duarte E, Marco E, Muniesa JM, et al. Trunk control test as a functional predictor in stroke patients. J Rehabil Med. 2002;34(6):267-272. 

  12.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 Ther. 1983;63(10):1606-1610. 

  13. Franchignoni FP, Tesio L, Ricupero C, et al. Trunk control test as an early predictor of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Stroke. 1997;28(7):1382-1385. 

  14.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13-31. 

  15. Gowland C, Stratford P, Ward M, et al. Measuring physical impairment and disability with the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Stroke. 1993;24(1):58-63. 

  16.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I l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154. 

  17. Hsieh CL, Sheu CF, Hsueh lP, et al. Trunk control as an early predictor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11):2626-2630. 

  18. Hunt SM, Mckenna SP,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19. Karatas M, Cetin N, Bayramoglu M, et al.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rv:I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4;83(2):81-87. 

  20. Liaw LJ, Hsieh CL, Lo SK, et al. The relative and absolute reliability of two balance performance measur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8;30(9):656-661. 

  21. Lincoln N, Leadbitter D.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Physiotherapy. 1979;65(2):48-51. 

  22. Liu M, Chino N, Tuji T,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troke impairment Assessment Set (SlA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4):339-351. 

  23. Messier S, Bourbonnais D, Desrosiers J, et al. Dynamic analysis of trunk flex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0):1619-1624. 

  24. Mao HF, Hsueh lP, Tang PF,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ree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4):1022-1027. 

  25.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18. 

  26. Mudge S, Rochester L, Recordon A.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on gait, balance and trunk control in a hemiplegic subject: A single subject design. Disabil Rehabil. 2003;25(17):1000-1007. 

  27. Millington PJ. Myklebust BM, Shambes G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sit-to-stand motion in elderly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1992;73(7):609-617. 

  28.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29. Tsuji T, Liu M, Hase K, et al. Trunk muscles in persons with hemiparetic stroke evalu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J Rehabil Med. 2003;35(4):184-188. 

  30. Thomas JI, Lane JV. A pilot study explore the predictive validity of 4 measures of falls risk in frail elderly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36-1640. 

  31. Verheyden G, Nieuwboer A, Mertin J, et al. The Trunk l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4;18(3):336-334. 

  32. Verheyden G, Nieuwboer A, Feys H, et al. Discriminant ability of the Trunk lmpairment Scale: A comparison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Disabil and Rehabil. 2005;27(17):1023-1028. 

  33. Verheyden G, Nuyens G, Nieuwboer A,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runk assessment for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Phys Ther. 2006;86(1):66-76. 

  34. Verheyden G, Nieuwboer A, De Wit L,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 eye catching predictor of functional outc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7a;78(7):694-698. 

  35. Verheyden G, Nieuwboer A, van de Winckel A, et al. Clinical tools to measur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2007b;21(5):387-394. 

  36. Verheyden G, Willems AM, Ooms L, et al. Validity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as a measure of trunk performance in peolple with parkinson's disease. Arch Phys Med Rehabil. 2007c;88(10):1304-1308. 

  37. Verheyden G, Nieuwboer A, De wit L, et al. Time Course of trunk, arm, leg,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ischem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2):173-179. 

  38. Wang CH, Hsueh lP, Sheu CF,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2 simplified 3-level balance scales used for patients with stroke. Phys Ther. 2004;84(5):430-438. 

  39. Wang CH, Hsueh lP, Sheu CF, et al. Discriminative, predictive, and evaluative properties of a trunk control measure in patients with stroke. Phys Ther. 2005;85(9):887-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