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on Hamstring Flexibility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2, 2010년, pp.67 - 74  

성재현 (유성웰니스병원 재활센터) ,  최종덕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ute effects of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on the flexibility of hamstring muscles and their surface electromyographic (EMG) responses to passive stretches in poststroke hemiparesis.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정적신장기법과 유지-이완기법과 더불어 신경가동기법이 신경생리학적 효과 이외에 유연성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이 슬괵근 유연성과 근육의 신장 시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슬괵근 유연성 증진 방법과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이 슬괵근 유연성과 근육의 신장 시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슬괵근 유연성 증진 방법과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randomized cross-over trial)을 이용하여 슬괵근 신장기법들이 슬괵근 유연성과 슬괵근의 수동적 저항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교차설계의 형태 중 무작위로 배정된 치료법을 시행하고 이월효과를 막기 위해 24시간 이상이 경과된 후 다음 순서의 치료를 받는 방법을 시행하여 각각의 치료 전 슬괵근 유연성(p=.
  • 본 연구는 신경가동기법과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의 변화와 근 저항도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신장 기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편마비 환자 14명에게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전, 실험 직후, 실험 30분 후의 슬괵근 유연성 검사와 근전도 검사로 평가하였다.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을 적용 후 슬괵근 유연성 검사와 근전도 검사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적신장기법이란 무엇인가? 신경가동(nerve mobilization)기법은 신경계의 가동성이라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개념은 정상적인 근 긴장을 유지하고 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경계도 적절히 신장 및 수축이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신경 역동성이라 하며 신경계가 생체역학적, 생리학적 그리고 형태적 기능이 통합된 용어로 인정되고 있다(Shacklock, 1995). 정적신장(static stretching)기법은 일정 시간동안 통증이 없이 최대한 신장된 연부조직의 길이를 유지하는 운동으로 근육이 견딜 만큼 천천히 늘려 이완하도록 하며 길이가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Anderson과 Brukner, 1991). 정적신장기법은 적용하기가 쉽고 비교적 조직손상의 위험성에 대해 낮기 때문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Hedrick, 2000).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선행 실험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선행 실험방법에는 냉치료, 온열치료, 마사지, 전기치료, 능동운동,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 등이 있다(Barlow 등, 2007; Brodowicz 등, 1996; Burke 등, 2001; Chan 등, 2001). 신경가동(nerve mobilization)기법은 신경계의 가동성이라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개념은 정상적인 근 긴장을 유지하고 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경계도 적절히 신장 및 수축이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신경 역동성이라 하며 신경계가 생체역학적, 생리학적 그리고 형태적 기능이 통합된 용어로 인정되고 있다(Shacklock, 1995).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randomized cross-over trial)을 이용하여 슬괵근 신장기법들이 슬괵근 유연성과 슬괵근의 수동적 저항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가 14명의 적은 인원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각 기법에 따른 단기간의 초기 효과만을 측정한 것이기에 장기간의 지속적인 효과를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대상자에게 신장 시 가해지는 힘의 결정을 수치화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연구자 한명이 모든 대상자들에게 신장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인지능력이 충분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장 시 통증이 없는 최대 범위를 개인마다 일정하도록 하여 가해지는 힘의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용정.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수축-이완기법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보건 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2. 윤장순. 편마비 환자의 슬건근의 근력의 차이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05;12(4):69-77. 

  3. 이창렬, 신경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저측굴근 경직에 미치는 영향. 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4. 주민, 권기준, 강성국 등. 1개 초등학교 3학년생의 슬괴근 유연성 평가.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2(1):73-78. 

  5. Anderson B, Burke ER. Scientific, med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tretching. Clin Sports Med. 1991;10(1):63-86. 

  6. Bandy WD, Irion JM, BriggIer M. The effect of time and frequency of static stretching on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Phys Ther. 1997;77(10):1090-1096. 

  7. Barlow A, Clarke R, Johnson N, et al. Effect of massage of the hamstring muscles on selected eIectromyographic characteristics of biceps femoris during sub-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Int J Sports Med. 2007;28(3):253-256. 

  8. Brodowicz GR, Walsh R, WalIis J. Comparison of stretching with ice, stretching with heat, or stretching alone on hamstring flexibility. J Athl Train. 1996;31(4):324-327. 

  9. Burke DG, Holt LE, Rasmussen R, et al. Effects of hot or cold water immersion and modifi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lexibility exercise on hamstring length. J AthI Train. 2001;36(1):16-19. 

  10. Butler DS. MobiIization of the Nervous System. Churchill Livingstone, 1991:68-69. 

  11. Chan SP, Hong Y, Robinson PD. Flexibility and passive resistance of the hamstrings of young adults using two different static stretching protocols. Scand J Med Sci Sports. 2001;11(2):81-86. 

  12. Davis DS, Ashby PE, McCaIe KL, et al. The effectiveness of 3 stretching techniques on hamstring flexibility using consistent stretching parameters. J Strength Cond Res. 2005;19(1):27-32. 

  13. Decoster LC, CleIand J, Altieri C, et al. The effects of hamstring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5;35(6):377-387. 

  14. Fasen JM, O'Connor AM, Schwartz SL,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amstring stretching: Comparison of four techniques. J strength Cond Res. 2009;23(2):660-667. 

  15. Ford GS, Mazzone MA, Taylor K. The effect of 4 different durations of static hamstring stretching on passive knee-extension range of motion. J Sport Rehabil. 2005;14(2):95-107. 

  16. Funk D, Swank AM, Adams KJ, et al. Efficacy of moist heat pack application over static stretching on hamstring flexibility. J Strength Cond Res. 2001;15(1):123-126. 

  17. Funk DC, Swank AM, Mikla BM, et al. lmpact of prior exercise on hamstring flexibility: A compariso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static stretching. J Strength Cond Res. 2003;17(3):489-492. 

  18. Gajdosik RL, Rieck MA, Sullivan DK, et al. Comparison of four clinical tests for assessing hamstring muscle length.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3;18(5):614-618. 

  19. Gracies JM. Pathophysiology of spastic paresis. I: Paresis and soft tissue changes. Muscle Nerve. 2005;31(5):535-551. 

  20. Halbertsma JP, Mulder I, Goeken LN, et al. Repeated passive stretching: Acute effect on the passive muscle moment and extensibility of short hamstring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4):407-414. 

  21. Handel M, Horstmann T, Dickhuth HH, et al. Effects of contract-relax stretching training on muscle performance in athletes.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7;76(5):400-408. 

  22. Hedrick A. Dynamic flexibility training. Strength Cond J. 2000;22(5):33-38. 

  23. Holt S, Baagoe S, Lillelund F, et al. Passive resistance of hamstring muscles in children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Dev Med Child Neurol. 2000;42(8):541-544. 

  24. Lee GP, Ng GY. Effects of stretching and heat treatment on hamstring extensibility in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nd hypertonia. Clin Rehabil. 2008;22(9):771-779. 

  25. Lundy-Ekman L, Neurosci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3rd ed. Saunders, 2007;483-484. 

  26. Magnusson SP, Simonsen EB, Aagaard P, et al. Viscoelastic response to repeated static stretching in the human hamstring muscle. Scand J Med Sci Sports. 1995;5(6):342-347. 

  27. Patla AE, Prentice SD. The role of active forces and intersegmental dynamics in the control of limb trajectory over obstacles during locomotion in humans. Exp Brain Res. 1995;106(3):499-504. 

  28. Shacklock M. Neurodynamics. Physiotherapy. 1995;81(1):9-16. 

  29.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121-122. 

  30. Spernoga SG, UhI TL, Arnold BL, et al. Duration of maintained hamstring flexibility after a one-time modified hold-relax stretching protocol. J Athl Train. 2001;36(1):44-48. 

  31. Whatman C, Knappstein A, Hume P. Acute changes in passive stiffness and range of motion post-stretching.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6;7(4):195-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