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우식 제품인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를 포함하는 치아크림, 불소 바니쉬, 저농도 불소 양치액을 치아에 도포하는 것이 단시간 탄산음료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을 예방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법랑질 시편에 다음과 같은 항우식 제품을 도포하였고, 인공타액에 24시간 보관한 후, 콜라에 1분 증류수에 1분씩 5회 번갈아 처리하였다. 1군: 대조군(무처치) 2군: CPP-ACP 치아크림군 3군: 불소 바니쉬군(1,000 ppm F) 4군: 저농도 불소 양치액군(227 ppm F) 5군: 불소 바니쉬 + CPP-ACP 치아크림군 6군: 저농도 불소 양치액 + CPP-ACP 치아크림군 미세경도와 침식깊이를 측정하였고,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안정된 형광 격자에 대한 부피 형광 변화인 ${\Delta}Q$를 측정하여 무기질 감소량을 평가하였다. 6일 동안 실험을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경도는 1군$\leq$2군$\leq$4군<6군<3군$\fallingdotseq$5군 순이었다. 2. 평균 침식깊이는 5군$\fallingdotseq$3군<6군<4군$\fallingdotseq$2군$\fallingdotseq$1군 순이었다. 3. ${\Delta}Q$는 1군$\fallingdotseq$2군$\leq$4군$\leq$6군$\leq$3군$\fallingdotseq$5군 순이었다. ${\Delta}Q$의 감소율은 1군과 2군, 4군과 6군, 3군과 5군이 각각 유사하였다. 4. ${\Delta}Q$는 미세경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96, p<0.05), 침식깊이와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6, 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cariogenic products, specifically, the tooth cream containing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 fluoride varnish and low-level fluoride mouthrinse on enamel erosion induced by carbon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 침식증은 두 개의 특징적인 영역으로 어떻게 구별되는가? 치아 침식증은 미생물의 개입 없이 화학적 작용에 의해 치아의 경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소실되는 것을 의미한다1). 치아 침식증은 두 개의 특징적인 영역으로 구별되는데, 첫 번째 층은 치아 표면이 실질적으로 소실되어 형성된 분화구(crater)이고, 두 번째 층은 분화구 하방의 연화되고 탈회된 치질층으로 계속적인 침식 자극이나 마모, 교모에 의해 쉽게 상실되어 분화구를 형성하기 쉬운 부위이다2). 연화층은 가역적인 상태여서 남아있는 무기물 골격은 타액에 의해 재광화될 수 있으나, 공격적인 탈회가 지속된다면 치질이 대량 소실되어 비가역적인 상태가 된다3).
치아 침식증은 무엇인가? 치아 침식증은 미생물의 개입 없이 화학적 작용에 의해 치아의 경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소실되는 것을 의미한다1). 치아 침식증은 두 개의 특징적인 영역으로 구별되는데, 첫 번째 층은 치아 표면이 실질적으로 소실되어 형성된 분화구(crater)이고, 두 번째 층은 분화구 하방의 연화되고 탈회된 치질층으로 계속적인 침식 자극이나 마모, 교모에 의해 쉽게 상실되어 분화구를 형성하기 쉬운 부위이다2).
pH가 2.5~3.5인 산성음료수가 치아 침식의 위험을 초래하고 있는데 이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산성 음료에 의한 치아 침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접촉시간을 줄이고, 침식작용이 적은 대체음료를 개발하거나 재광화를 돕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4). 현재 시판되는 재광화에 도움을 주는 약제로는 불소, 치아크림과 치약 등이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Imfeld T : Dental erosion.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links. Eur J Oral Sci, 104:151-155, 1996. 

  2. Lennon AM, Pfeffer M, Buchalla W, et al. : Effect of a casein/calcium phosphate containing tooth cream and fluoride on enamel erosion in vitro. Caries Res, 40:154-157, 2006. 

  3. Fowler C, Willson R, Rees GD : In vitro microhardness studies on a new anti-erosion desensitizing toothpaste. J Clin Dent, 17:100-105, 2006. 

  4. Amaechi BT, Higham SM : Dental erosion: possible approaches to prevention and control. J Dent, 33:243-252, 2005. 

  5. 장기택 : 수종 음료수의 법랑질과 상아질 침식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719-726, 1997. 

  6. Reynolds EC, Black CL, Cai F, et al. : Advances in enamel remineralization: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J Clin Dent, 2:86-88, 1999. 

  7. Wiegand A, Attin T : Influence of fluoride on the prevention of erosive lesion- a review. Oral Health Prev Dent, 4:245-253, 2003. 

  8. Sorvari R, Meurman JH, Alakuijala, et al. : Effect of fluoride varnish and solution on enamel erosion in vitro. Caries Res, 28:227-232, 1994. 

  9. Jeremy R, Theresa L, Barbara C : Pronamel and tooth mousse: an initial assessment of erosion prevention in vitro. J Dent, 35:355-357, 2007. 

  10. Meurman JH, Frank R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of the effect of salivary pellicle on enamel erosion. Caries Res, 25:1-6, 1996. 

  11. Gao XJ, Elliott JC, Anderson P : Scanning and contact microradiographic study of the effect of degree of saturation on the rate of enamel demineralization. J Dent Res, 70:1332-1337, 1991. 

  12. Meurman JH, Frank RM : Progression and surface ultrastructure of in vitro caused erosive lesions in human and bovine enamel. Caries Res, 25:81-87, 1991. 

  13. Ganss C, Klimek J, Schaffer U, et al. : Effectiveness of two fluoridation measures on erosion progression in human enamel and dentine in vitro. Caries Res, 35:325-330, 2001. 

  14. Bruun C, Givskov H : Formation of $CaF_2$ on sound enamel and caries-like enamel lesions after different forms of fluoride applications in vitro. Caries Res, 25:96-100, 1991. 

  15. Larsen MJ : Prevention by means of fluoride of enamel erosion as caused by soft drinks and orange juice. Caries Res, 35:229-234, 2001. 

  16. Grenby TH : Methods of assessing erosion and erosive potential. Eur J Oral Sci, 104:207-214, 1996. 

  17. Pretty IA, Edgar WM, Higham SM : The valid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o quantify acid erosion of human enamel. Arch Oral Biol, 49:285-294, 2004. 

  18. Shen P, Cai F, Nowicki A, et al. : Remineralization of enamel subsurface lesions by sugar-free chewing gum containing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J Dent Res, 80:2066-2070, 2001. 

  19. Eisenburger M, Addy M, Hughes JA, et al. : Effect of time on the remineralization of enamel by synthetic saliva after citric acid erosion. Caries Res, 35:211-215, 2001. 

  20. Munoz CA, Feller R, Haglund A, et al. : Strengthening of tooth enamel by a remineralizing toothpaste after exposure to an acidic soft drink. J Clin Dent, 10(Spec No 1):17-21, 1999. 

  21. Kuhnisch J, Heinrich-Weltzien R, Rohrig A, et al. : Monitoring of erosive lesions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Caries Res, 35:295-299, 2001. 

  22. Ganss C, Klimek J, Schwarz N : A comparative profilometric in vitro study of the susceptibility of polished and natural human enamel and dentine surfaces to erosive demineralization. Arch Oral Biol, 45:897-902, 2000. 

  23. Hall AF, Sadler JP, Strang R, et al. : Application of transverse microradiography for measurement of mineral loss by acid erosion. Adv Dent Res, 11:420-425, 1997. 

  24. Maupome'G, Aguilar AM, Medrano UH, et al. : In vitro quantitative microhardness assessment of enamel with early salivary pellicles after exposure to an eroding cola drink. Caries Res, 33:140-147, 1999. 

  25. Amaechi BT, Higham SM, Edgar WM :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dental eroded lesions in vitro. J Oral Rehabil, 26:97-102, 1999. 

  26. Lussi A, Jaggi T, Scharer S : The influence of different factors on in vitro enamel erosion. Caries Res, 27:387-393, 1993. 

  27. Wongkhantee S, Patanapiradej V, Maneenut C, et al. : Effect of acidic food and drinks on surface hardness of enamel, dentine, and tooth-coloured filling materials. J Dent, 34:214-220, 2006. 

  28. Amaechi BT, Higham SM, Edgar WM : Use of transverse microradiography to quantify mineral loss by erosion in bovine enamel. Caries Res, 32:351-356, 1998. 

  29. Nekrashevych Y, Stosser L : Protective influence of experimentally formed salivary pellicle on enamel erosion. An in vitro study. Caries Res, 37:225-231, 2003. 

  30. 김정욱 : 산성 음료수에 의한 법랑질 침식과 구강 내 재경화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5:312-322, 1998. 

  31. Collys K, Cleymaet R, Coomans D, et al. : Rehardening of surface softened and surface etched enamel in vitro and by intra-oral exposure. Caries Res, 27:15-20, 1993. 

  32. Lippert F, Parker DM, Jandt KD : In situ remineralization of surface softened human enamel studied with AFM nanoindentation. Surf Sci, 533:105-114, 2004. 

  33. Ingram GS, Edgar WM : Interactions of fluoride and non-fluoride agents with caries process. Adv Dent Res, 8:158-165, 1994. 

  34. Hicks J, Garcia-Godoy F, Flaitz C : Biological factors in dental caries enamel structure and the caries process in the dynamic process of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part 2). J Clin Pediatr Dent, 28:119-124, 2004. 

  35. LeGeros RZ : Calcium phosphates in demineralization/ remineralization processes. J Clin Dent, 10:65-73, 1999. 

  36. Featherstone JD : Prevention and reversal of dental caries: role of low level fluorid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7:31-40, 1999. 

  37. Vieira A, Jager DH, Ruben JL, et al. : Inhibition of erosive wear by fluoride varnish. Caries Res, 41:61-67, 2007. 

  38. Imfeld T : Prevention of progression of dental erosion by professional and prophylactic measures. Eur J Oral Sci, 104:215-220, 1996. 

  39. Vieira A, Ruben JL, Huysmans MC : Effect of titanium tetrafluoride, amine fluoride and fluoride varnish on enamel erosion in vitro. Caries Res, 39:371-379, 2005. 

  40. Arends J, Schuthof J : Fluoride content in human enamel after fluoride application and washing- an in vitro study. Caries Res, 9:363-372, 1975. 

  41. Arends J, Chirstoffersen J : Nature and role of loosely bound fluoride in dental caries. J Dent Res, 69(Spec Iss):601-605, 1990. 

  42. Nelson DGA, Jongbloed WL, Arends J :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enamel surfaces treated with topical fluoride agents: TEM and XRD considerations. J Dent Res, 63:6-12, 1984. 

  43. West NX, Maxwell A, Hughes JA, et al. : A method to measure clinical erosion: the effect of orange juice consumption on erosion of enamel. J Dent, 26:329-335, 1998. 

  44. Hall AF, Buchanan CA, Millett DT, et al. : The effect of saliva on enamel and dentine erosion. J Dent, 27:333-33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