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탄산음료 섭취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1, 2018년, pp.115 - 124  

박지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of 65,528 adolescents were derived from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1st Ju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이루어진 탄산음료 섭취와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음료가 치아의 부식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험연구[20]였으며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21]과 청소년[18]의 치아부식증 유병률과 관련된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가 있기는 하였지만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탄산음료 섭취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올바른 구강보건행태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부식증을 유발시키는 내인성 요인은 무엇인가? 치아부식증은 내인성 요인 및 외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데 외인성 요인에는 감귤류, 산성음료 및 일부 의약품(발포성 비타민 C 제제와 씹어 먹는 비타민 C정제)과 같이 치아에 탈회를 일으키는 산성 식품이 포함된다[12]. 내인성 요인에는 위장관 이상으로 인한 위산 역류나 거식증 및 폭식증과 같은 심리적 장애의 결과로써 나타나는 반복되는 구토가 포함된다[13]. 또한 낮은 타액 분비량도 중요한 요인이며, 치면에 탈회를 일으키는 산의 불충분한 청정작용과 완충작용으로 이어진다[14].
우리나라 청소년도 주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율은 어떠한가? 지난 몇 년 동안 탄산음료 섭취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섭취가 크게 증가하였다[1]. 우리나라 청소년도 주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율이 2009년 24.0%, 2013년 25.5%, 2017년 33.7%로 증가하고 있다[2]. 탄산음료 섭취와 같은 생활양식의 변화는 전신건강 및 구강건강 모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3], 이전 연구들은 탄산음료 중 특히 가당 탄산음료의 섭취는 체중증가[4]와 제2형 당뇨병[5], 골다공증[6], 여성의 관상동맥질환[7], 남성의 통풍[8], 치아부식증(dental erosion)[9] 및 치아우식증(dental caries)[10]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탄산음료 섭취의 영향은 무엇인가? 7%로 증가하고 있다[2]. 탄산음료 섭취와 같은 생활양식의 변화는 전신건강 및 구강건강 모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3], 이전 연구들은 탄산음료 중 특히 가당 탄산음료의 섭취는 체중증가[4]와 제2형 당뇨병[5], 골다공증[6], 여성의 관상동맥질환[7], 남성의 통풍[8], 치아부식증(dental erosion)[9] 및 치아우식증(dental caries)[10]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aska A, Bountziouka V, Trichopoulou A. Soft drinks: time trends and correlates in twentyfour European countries. A cross-national study using the DAFNE (Data Food Networking) databank. Public Health Nutr 2010;13(9):1346-55. https://doi.org/10.1017/S1368980010000613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main outcomes of thirteenth Korea youth behavior web-based survey, 2017[Internet]. [cited 2017 October 17].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new/pages/news1.asp 

  3. Johansson AK, Omar R, Carlsson GE, Johansson A. Dental erosion and its growing importance in clinical practice: from past to present. Int J Dent 2012;2012:632907. https://doi.org/10.1155/2012/632907 

  4. Malik VS, Schulze MB, Hu FB.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06;84(2):274-88. 

  5. Schulze MB, Manson JE, Ludwig DS,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et al. Sugarsweetened beverages, weight gai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 and middle-aged women. J Amer Medical Assoc 2004;292(8):927-34. https://doi.org/10.1001/jama.292.8.927 

  6. Tucker KL, Morita K, Qiao N, Hannan MT, Cupples LA, Kiel DP. Colas, but not other carbonated beverages, are associated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Am J Clin Nutr 2006;84(4):936-42. 

  7. Fung TT, Malik V, Rexrode KM, Manson JE, Willett WC, Hu FB. 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Am J Clin Nutr 2009;89(4):1037-42. https://doi.org/10.3945/ajcn.2008.27140 

  8. Choi HK, Curhan G. Soft drinks, fructose consumption, and the risk of gout in men: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2008;336(7639):309-12. https://doi.org/10.1136/bmj.39449.819271.BE 

  9. Li H, Zou Y, Ding G.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erosion: a meta-analysis. PLoS One 2012;7(8):e4262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42626 

  10. Llena C, Forner L. Dietary habits in a child population in relation to caries experience. Caries Res 2008;42(5):387-93. https://doi.org/10.1159/000154784 

  11. Ganss C. Definition of erosion and links to tooth wear. Monogr Oral Sci 2006;20:9-16. https://doi.org/10.1159/000093344 

  12. Lussi A, Jaeggi T, Zero D. The role of diet in the aetiology of dental erosion. Caries Res 2004;38(Suppl 1):34-44. https://doi.org/10.1159/000074360 

  13. Holbrook WP, Furuholm J, Gudmundsson K, Theodors A, Meurman JH. Gastric reflux is a significant causative factor of tooth erosion. J Dent Res 2009;88(5):422-6. https://doi.org/10.1177/0022034509336530 

  14. Piangprach T, Hengtrakool C, Kukiattrakoon B, Kedjarune-Leggat U. The effect of salivary factors on dental erosion in various age groups and tooth surfaces. J Am Dent Assoc 2009; 140(9):1137-43. 

  15.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Over consumption of sweet drinks in summer, youth health warnings![Internet].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cited 2017 August 14].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b/16/9879/?page1 

  16. Kim HR, Cho JH, Kim SU, Kang YH. Study on prevention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52. 

  17. Hasselkvist A, Johansson A, Johansson AK. Associ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oral health and some lifestyle factors in Swedish adolescents. Acta Odontol Scand 2014;72(8): 1039-46. https://doi.org/10.3109/00016357.2014.946964 

  18. Noh TH, Lee GL, Kim JY, Kim S. A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risk indicators of dental erosion among 13-15 year old adolescents in Yangsan, Korea.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6;43(3):264-74. https://doi.org/10.5933/JKAPD.2016.43.3.264 

  19. Han DH, Kim DH, Kim MJ, Kim JB, Jung-Choi K, Bae KH. Regular dental checkup and snack-soda drink consumption of preschool children are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caries in Korean caregiver/preschool children dyad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4;42(1): 70-8. https://doi.org/10.1111/cdoe.12065 

  20. Kim EJ, Lee HJ, Lee EJ, Bae KH, Jin BH, Paik DI. Effect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on the erosive potential of acidic drink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1):13-9. 

  21. Yu SG, Lee CH, Jeong TS, Kim S.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dental erosion in 9- and 10-year-old children in Busa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3;40(1):11-20. https://doi.org/10.5933/JKAPD.2013.40.1.11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Internet]. [cited 2016 December 30]. Available from: https://yhs.cdc.go.kr/new/pages/use2.asp 

  23. O'Sullivan EA, Curzon ME. A comparison of acidic dietary factor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ntal erosion. ASDC J Dent Child 2000;7(3):186-92. 

  24. Bere E, Glomnes ES, te Velde SJ, Klepp KI. Determinants of adolescents' soft drink consumption. Public Health Nutr 2008;11(1):49-56. 

  25. Edwards M, Ashwood RA, Littlewood SJ, Brocklebank LM, Fung DE. A videofluoroscopic comparison of straw and cup drinking: the potential influence on dental erosion. Br Dent J 1998;185(5):244-9. 

  26. Grobler SR, Jenkins GN, Kotze D. The effects of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drinking of soft drinks on plaque pH. Br Dent J 1985;158(8):293-6. 

  27. Johansson AK, Lingstrom P, Imfeld T, Birkhed D. Influence of drinking method on toothsurface pH in relation to dental erosion. Eur J Oral Sci 2004;112(6):484-9. https://doi.org/10.1111/j.1600-0722.2004.00172.x 

  28. Scott BJ, Bajaj J, Linden RW. The contribution of mechanoreceptive neurones in the gingival tissues to the masticatory-parotid salivary reflex in man. J Oral Rehabil 1999;26(10):791-7. 

  29. Zero DT. Etiology of dental erosion-extrinsic factors. Eur J Oral Sci 1996;104(2(Pt 2)):162-77.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safety of beverage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17. 

  31. Sohn W, Burt BA, Sowers MR. Carbonated soft drinks and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J Dent Res 2006;85(3):262-6. https://doi.org/10.1177/154405910608500311 

  32. Bibby BG, Huang CT, Zero D, Mundorff SA, Little MF. Protective effect of milk against in vitro caries. J Dent Res 1980;59(10):1565-70. 

  33. Attin T, Koidl U, Buchalla W, Schaller HG, Kielbassa AM, Hellwig E. Correlation of microhardness and wear in differently eroded bovine dental enamel. Arch Oral Biol 1997;42(3):243-50. https://doi.org/10.1016/0003-9969(06)00073-2 

  34. Jaeggi T, Lussi A. Toothbrush abrasion of erosively altered enamel after intraoral exposure to saliva: an in situ study. Caries Res 1999;33(6):455-61. https://doi.org/10.1159/000016551 

  35. Meurman JH, Frank RM.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effect of salivary pellicle on enamel erosion. Caries Res 1991;25(1):1-6. 

  36. Jung SH. Dental 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among children in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8-2013. J Kor Dent Assoc 2016;54(11):8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