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폭음 및 문제음주 영향 요인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1, 2010년, pp.91 - 103  

전경숙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간호학과) ,  이효영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pattern and prevalence of drinking. Secondly, we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성을 확보한 200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음주율, 폭음 및 문제음주의 유병수준을 확인하고, 둘째로 폭음 및 문제음주에 영향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 요인을 성별로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경험, 폭음 및 문제음주 수준을 확인하고 폭음 및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기준, 15세 이상 국민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얼마인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허용적인 음주문화를 가지고 있는데다 경제성장 및 산업화와 더불어 주류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생활양식의 변화까지 가세하여 15세 이상 국민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가 2001년 8.0L에서 2007년 8.5L로 증가하였다(대한보건협회, 2010). 그 결과 음주로 인한 폐해 역시 증가하는 추세인데, 2007년 우리 나라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
2007년 우리 나라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얼마인가? 5L로 증가하였다(대한보건협회, 2010). 그 결과 음주로 인한 폐해 역시 증가하는 추세인데, 2007년 우리 나라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6%로 2002년 8.5%보다 1.
폭음 및 문제음주 행태는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기존 연구에 의하면 폭음 및 문제음주는 연령, 경제상태 및 결혼상태 등의 다양한 삶의 조건의 차이에 영향을 받으며(van Oers 등, 1999; Alati 등, 2004; Dawson 등, 2004) 성에 따라 삶의 조건 및 경험하는 심리적 경험이 다른 점 또한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친다(Dawson 등, 2004). 또한 폭음 및 문제음주의 성별차이 양상과 이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정도는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광기. 음주폐해 예방과 감소를 위한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보건과 사회과학 2008;24:103-119. 

  2. 김종성 외 5명. 한국에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를 통한 알코올리즘의 선별기준. 가정의학회지 1999;20(9):1152-1159. 

  3. 남경아.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와 사회심리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9;18(4):501-511. 

  4. 노영주. 이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01;6(2):43-63. 

  5. 대한보건협회. 음주관련 통계 시스템: 알코올 생산과 소비. http://stat.kpha.or.kr/stat/ t1/stat.php?sid1_7 (Accessed on February 5, 2010). 

  6.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총괄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7. 보건복지가족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2006. 보건복지가족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7. 

  8. 성정환 외 8명. 일차진료에서 문제음주자 선별을 위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AUDIT-C)의 타당도 조사. 가정의학회지 2009;3 0:695-702. 

  9. 손정연, 한경혜. 결혼의 질, 이혼 장애 요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이혼 후 적응: 성별차이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지 2006;24(1):83-102. 

  10. 정슬기.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 남자 대학생과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7;27(12):176-198. 

  11. 주정. 한국의 음주실태와 알코올 관련 정책 방향. 복지행정논총 2009;19(1):73-115. 

  12. 질병관리본부.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보도자료. 2009.3.26. 

  13.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질병관리본부/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07. 

  14. 통계청.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통계결과. 통계청. 2008. 

  15.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http://kosis.kr/ (Accessed on February 5, 2010). 

  16. Alati R and 5 others.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tobacco and mental health in patients attending an emergency department. Alcohol & alcoholism 2004; 39(5):463-469. 

  17. Allamani A, Voller F, Kubicka L, Bloomfield K. Drinking cultures and the position of women in nine European countries. Substance Abuse 2000;21:231-247. 

  18. Blazer DG, Wu LT. The epidemiology of at-risk and binge drink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community adults: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9;166(10):1162-1169. 

  19. Brewer RD, Swan MH. Binge drinking and violence. JAMA 2005;294:616-618. 

  20. Bush K, Kivlahan DR, McDonell MB, Fihn SD, Bradley KA.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 an effectiveness brief screening test for problem drinking. Ambulatory care quality improvement project(ACQUIP).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rchive of International Medicine 1998;158:1789-1795. 

  2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in binge drinking among adults: 14 States, 200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09;58(12):301-304. 

  22. Chun S et al. A comparison of alcohol secondhand effects among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26(5):115-127. 

  23. Cooper ML, Russell M, Skinner JB, Frone MR, Mudar P. Stress and alcohol us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coping and alcohol expectanci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2;101(1): 139-152. 

  24. Dawson DA, Grant BF, Ruan WJ.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drinking: Modifying effects of gender and vulnerability. Alcohol & Alcoholism 2005;40(5):453-460. 

  25. French MT, Maclean JC. Underage alcohol use, delinquency, and criminal activity. Health Economics 2006;15:1261-1281. 

  26. Gmel G, Rehm J. Harmful alcohol use. Alcohol Research & Health: The Journal of the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 Alcoholism 2003;27:52-62. 

  27. Gordon AJ et. al. Three questions can detect hazardous drinkers.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01;5:313-320. 

  28. Hawks RD, Bahr SH. Religion and drug use. Journal of Drug Education 1992;22:1-8. 

  29. Jeon GS, Jang SN, Rhee SJ, Kawachi I, Cho SI.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mental health among elderly Korean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2007;62B(5):S323-S329. 

  30. Kim JH. et. al. Prevalence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alcohol abuse, and Alcohol dependence: A population study of Chinese adults in Hong Kong. Alcohol & Alcoholism 2008;43(3):360-370. 

  31. Krause N. Stress,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 in late life. The Gerontologist 1995;35(3):296-307. 

  32. Lemke S, Schutte K, Brennan P.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Influences and Stressors Linked to Increased Drink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2008;69:695-702. 

  33. Leonard KE, Kearns J, Mudar P. Peer networks among heavy, regular and infrequent drinkers prior to marriag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2000;61:669-673. 

  34. Linda JC. Educating women about the hidden dangers of alcohol.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2004;42(6):24-31. 

  35. Marmot MG, North F, Feeney A, Head J. Alcohol consumption and sickness absence: from the Whitehall II study. Addiction 1993;88(3):369-382. 

  36. Naimi TS et. al. Binge drinking among US adults. JAMA 2003;289(1):622-636. 

  37. Neumark YD, Rahav G, Jaffe DH. Socio-economic status and binge drinking in Israel. Drug and Alcohol Dependence 2003;69(1):15-21. 

  38. Parker DA, Parker ES, Wolz MW, Harford TC. Sex roles and alcohol consumption: A research not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1980;21:43-48. 

  39. Skaff MM, Finney JW, Moos RH. Gender differences in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Different "Vulner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99;27(1):25-54. 

  40. van Oers JAM, Bongers IMB, van de Goor LAM, Gerretsen HF. Alcohol consumption, alcohol-related problems, problem drinking, and socioeconomic status. Alcohol & Alcoholism 1999;34:78-88. 

  41. Wechsler H, Issac N. "Binge" drinkers at Massachusetts colleges: Prevalence, drinking style, time trends, and associated problems. JAMA 1992;267:2929-2931. 

  4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2004. WHO.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Abuse. Geneva,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