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대장용종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군으로 다수의 용종으로 인한 출혈, 복통, 장중첩증 등이 반복될 수 있고 용종의 악성화나 장외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나 아직은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대장용종증의 임상 양상과 내시경적, 조직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에서 1987년부터 2009년까지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2,956명의 소아 환자중에서 대장용종증으로 진단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장용종증 환자들의 진단 시 평균나이는 8세였다. 결 과: Peutz-Jeghers 증후군이 22예로 가장 많았으며 연소성 용종증 7예,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6예, 림프성용종증 2예이었다. 내원 시 가장 흔한 주소는 혈변이었다. 50% 이상의 환자에서 혈변과 복통이 동반되었고 일부에서 항문종괴, 설사, 변비가 동반되었다. 용종의 수와 크기는 다양하였고 위장과 소장에 용종이 동반된 환자는 각각 21명, 17명이었다. Peutz-Jeghers 증후군 환자에서는 주로 다엽성의 목이 있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연소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둥글고 목이 있는 용종이 대부분이었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작고 둥글며 목이 없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림프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목이 없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는 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시행받았고 14명(38%)은 수술적 용종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부분장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13명(35%)이었고,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 4명은 전대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Peutz-Jeghers 증후군 환자 중 일부에서 장외 종양이 발생하였으나 용종의 악성화는 없었다. 결 론: 소아의 대장용종증 환자는 출혈,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장중첩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용종의 악성화나 장외 종양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olonic polyposis is less common in children than in adults. The clinical data pertaining to colonic polyposis in children are limited. Children with colonic polyposis hav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numerous polyps,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polyps, and extraintestinal neoplas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 중 14세와 12세에 진단된 2예는 진단 직후 전대장절제술을 시행받았고, 8세와 6세에 진단된 2예는 Cox-2 억제제를 복용하면서 경과 관찰한 후 10세 이후에 전대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림프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목이 분명하거나 큰 용종에 한하여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 그러나 점막 연관성 림프조직 림프종 등의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조직소견을 확인해야 하고21) 장폐쇄, 장중첩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용종 절제술이 필요하다22).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환자 모두 혈변을 보이며 목이 있고 크기가 큰 용종이 동반되어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시행하였다.
  • 목 적: 대장용종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군으로 다수의 용종으로 인한 출혈, 복통, 장중첩증 등이 반복될 수 있고 용종의 악성화나 장외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나 아직은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대장용종증의 임상 양상과 내시경적, 조직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소아에서 대장용종증은 단일 용종에 비해 드문 질환이며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본 연구기관에서 경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국내에는 이러한 대장용종증 중 일부 질환의 증례보고9,10)만 되고 대장용종증 전반에 관한 연구가 없을 뿐 아니라 소아 대장용종증의 특징을 비교한 임상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한국 소아의 대장용종증 환자의 임상적, 내시경적, 조직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장에 다수의 용종이 발생하는 질환은 크게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그러나 다수의 대장 용종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군인 대장용종증은 이와는 다른 임상양상을 보인다. 대장에 다수의 용종이 발생하는 질환은 크게 과오종성 대장용종증과 선종성 대장용종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과오종성 대장용종증의 대표적인 예로는 Peutz-Jeghers 증후군과 연소성 용종증(juvenile polyposis syndrome)이 있고 선종성 용종증의 예로는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을 들 수 있다. 각 질환별로 임상증상과 내시경 소견 및 조직학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며 임상경과도 다양하다.
대장의 단일 용종은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가? 대장의 단일 용종은 학동전기 혹은 학동기 소아의 약 1%에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로 복통이나 직장출혈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1). 단일 용종일 경우에 연소종(juvenile polyp)이 가장 많으며2) 종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3,4).
대장용종증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환자들은 정기적인 내시경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의 대장용종증은 Peutz-Jeghers 증후군, 연소성 용종증,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림프성 용종증 등 다양한 질환이 포함된 질환군으로 각각의 진단에 따라 임상 경과와 합병증, 유전경향의 차이가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종양으로 진행 가능성을 고려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대장용종증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환자들은 정기적인 내시경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SJ, Kim SM, Kim YJ, Jeong DC, Lee WB, Chung SY, et al. Colonic polyps; experience of 34 cases in two hospitals. Korean J Pediatr 2004;47:756-61. 

  2. Gelb AM, Minkowitz S, Tresser M. Rectal and colonic polyps occurring in young people. N Y State J Med 1962; 62:513-8. 

  3. Mestre JR. The changing pattern of juvenile polyps. Am J Gastroenterol 1986;81:312-4. 

  4. Poddar U, Thapa BR, Vaiphei K, Singh K. Colonic polyps: experience of 236 Indian children. Am J Gastroenterol 1998;93:619-22. 

  5. Durno CA. Colonic polyp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J Gastroenterol 2007;21:233-9. 

  6. Latt TT, Nicholl R, Domizio P, Walker-Smith JA, Williams CB. Rectal bleeding and polyps. Arch Dis Child 1993;69:144-7. 

  7. Longo WE, Touloukian RJ, West AB, Ballantyne GH. Malignant potential of juvenile polyposis coli.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Dis Colon Rectum 1990;33:980-4. 

  8. Goh PG, Moon HS, Sung JK, Jeong HY, Song KS. A case of Peutz-Jeghers syndrome with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carcinoma of pancreas.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73-7. 

  9. Kim JO, Kong HP, Park KS, Kim WS, Lee CH. A case of nonfamilial generalized gastrointestinal juvenile polyposis with pancytopenia. Korean J Pediatr 1996;39: 423-9. 

  10. Kwak JW, Kim HY, Park JH. Polypectomy by intraoperative total gut endoscopy in a child with Peutz- Jeghers syndrome.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5;8:76-80. 

  11. Jean-Francois M, Sylviane O, Michel P, Intestinal polyps and polyposis. In: Walker WA, Walker SJ, editors. Pediatric gastrointestinal disease. 5th ed. Hamilton: BC Decker Inc, 2008:637-52. 

  12. Elitsur Y, Teitelbaum JE, Rewalt M, Nowicki M. Clinical and endoscopic data in juvenile polyposis syndrome in preadolescent children: a multicenter experience from the United States. J Clin Gastroenterol 2009;43:734-6. 

  13. Kang BY, Han SJ, Lee JE, Choi SK, Kim JM, Hong YJ, et al. A case of juvenile polyposis presented with protein losing enteropathy.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3;6:208-14. 

  14. Chang MS, Kim YI. Intestinal polyp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28 resected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urgical intervention. Korean J Gastroenterol 1990;23:62-74. 

  15. Farmer RG, Hawk WA, Turnbull RB, Jr. The spectrum of the Peutz-Jeghers syndrome. Report of 3 cases. Am J Dig Dis 1963;8:953-61. 

  16. Calva D, Howe JR. Hamartomatous polyposis syndromes. Surg Clin North Am 2008;88:779-817. 

  17. Jass JR. Colorectal polyposes: from phenotype to diagnosis. Pathol Res Pract 2008;204:431-47. 

  18. Kojima M, Itoh H, Motegi A, Sakata N, Masawa N. Localized lymphoid hyperplasia of the rectum resembling polypoid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a report of three cases. Pathol Res Pract 2005;201:757-61. 

  19. Seo JK. Therapeutic colonoscopy in children: endoscopic snare polypectomy and juvenile polyps. Seoul J Med 1993;34:285-94. 

  20. Howe JR, Ringold JC, Hughes JH, Summers RW. Direct genetic testing for SMAD4 mutations in patients at risk for juvenile polyposis. Surgery 1999;126:162-70. 

  21. Schmid C, Vazquez JJ, Diss TC, Isaacson PG. Primary B-cell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resenting as a solitary colorectal polyp. Histopathology 1994;24:357-62. 

  22. Byrne WJ, Jimenez JF, Euler AR, Golladay ES. Lymphoid polyps (focal lymphoid hyperplasia) of the colon in children. Pediatrics 1982;69:598-600. 

  23. Scully RE. Sex cord tumor with annular tubules a distinctive ovarian tumor of the Peutz-Jeghers syndrome. Cancer 1970;25:1107-21. 

  24. Van Lier MG, Wagner A, Mathus-Vliegen EM, Kuipers EJ, Steyerberg EW, Van Leerdam ME. High cancer risk in Peutz-Jeghers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surveillance recommendations. Am J Gastroenterol 2010; 105:1258-64. 

  25. Barnard J. Screening and surveillance recommendations for pediatric gastrointestinal polyposis syndrome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9;48(Suppl 2):S75-8. 

  26. Attard TM, Young R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intestinal polyps: pediatric considerations. Gastroenterol Nurs 2006;29:16-22; quiz 3-4. 

  27. Park JG, Kim IJ.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5;45:78-87. 

  28. Vasen HF, Moslein G, Alonso A, Aretz S, Bernstein I, Bertario L, et al. Guidelines for the clinical management of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Gut 2008;57: 704-13. 

  29. Merg A, Howe JR. Genet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intestinal juvenile polyps. Am J Med Genet C Semin Med Genet 2004;129C:44-55. 

  30. Volikos E, Robinson J, Aittomaki K, Mecklin JP, Jarvinen H, Westerman AM, et al. LKB1 exonic and whole gene deletions are a common cause of Peutz- Jeghers syndrome. J Med Genet 2006;43:e18. 

  31. Yang HR, Ko JS, Seo JK. Germline mutation analysis of STK11 gene using direct sequencing and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assay in Korean children with Peutz-Jeghers syndrome. Dig Dis Sci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