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 청소년 남아에서 복부 지방 분포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in Korean Male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3 no.2, 2010년, pp.172 - 179  

이연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경모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오석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박혜순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  명준표 (충청북도청 보건위생과 건강증진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성인에서 내장 지방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와 밀접한 상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소아 청소년 연령에서의 연구는 미흡하다. 소아 청소년에서의 복부지방의 분포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간에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78명의 남아와 23명의 여아를 포함한 101명의 소아 청소년(평균 연령 10.8${\pm}$2.4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신체 계측과 대사 증후군의 위험 요소에 대한 분석을 개별 환자에서 시행하였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 연령을 보정한 편 상관 분석을 통해 내장 지방, 피하 지방의 양, 신체 계측 지표와 대사 이상의 위험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피하 지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내장 지방보다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아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은 신체 계측 지표와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내장 지방은 낮은 수치의 HDL-C과 피하 지방은 높은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남아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 신체 계측 지표는 모두 대사 이상의 위험요소의 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남아에서 내장 지방은 낮은 수치의 HDL-C과, 피하 지방은 높은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성인에서의 기존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다른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들에 대한 상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Visceral adipose tissue may be strongly linked to increased metabolic risks in adults. However, because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effect of visceral adipose tiss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내장 지방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노인층에 있어 내장 지방과 대사 증후군이나 심혈관계 위험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9). 복부 내장 지방의 양이 체질량 지수를 비롯한 다른 신체계측지표보다 대사 증후군에 더 유의한 위험 요소라는 일본의 대규모 연구를10) 바탕으로 한국 소아 청소년에서의 복부 비만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부 비만 중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양이 대사 증후군의 위험요소와 다른 신체계측 인자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복부 내장 지방의 양이 체질량 지수를 비롯한 다른 신체계측지표보다 대사 증후군에 더 유의한 위험 요소라는 일본의 대규모 연구를10) 바탕으로 한국 소아 청소년에서의 복부 비만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부 비만 중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양이 대사 증후군의 위험요소와 다른 신체계측 인자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에 대한 관용(tolerance)을 잃으며 점차 제2형 당뇨로 진행하는 질환이므로20), 같은 내장 지방의 비율을 가지더라도 연령이 증가하면서 대사 증후군의 위험 요소들과의 상관관계가 뚜렷해 질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이 10.9세로 다른 연구들에 비해 어렸기 때문에 저자들은 이러한 일반적인 경향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 목 적: 성인에서 내장 지방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와 밀접한 상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소아 청소년 연령에서의 연구는 미흡하다. 소아 청소년에서의 복부지방의 분포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간에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 비만은 어떠한 질병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지되는가? 복부 비만은 제2형 당뇨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지되고 있으며, 복부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라고 보고되면서5), 소아 청소년에서도 대사 증후군의 기본 전제 기준으로 허리둘레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6).
소아의 과체중이 성인기에 질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국내에서도 소아 청소년의 과체중과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아의 과체중이 청소년기의 과체중과 비만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 또한 소아에서부터 체중 증가가 많을수록 성인기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코호트 연구에서 보고되었다3). 그만큼 소아의 비만을 관리하고 연령에 맞게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내장 지방은 무엇을 분비하는가? 내장 지방은 아디포카인(adipokine), 혈관 활성 물질, 성장 인자(growth factors) 등을 분비하여 심혈관계 위험을 높이고 대사 질환을 유발시키는 장기의 일종이라고 생각되고 있다8). 일반적으로 내장 지방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노인층에 있어 내장 지방과 대사 증후군이나 심혈관계 위험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McDowell MA, Tabak CJ,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 2006;295: 1549-55. 

  2. Oh K,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et a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51:950-5. 

  3. Sinaiko AR, Donahue RP, Jacobs DR Jr, Prineas RJ. Relation of weight and rate of increase in weigh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body size, blood pressure, fasting insulin, and lipids in young adults. The Minneapolis Children's Blood Pressure Study. Circulation 1999;99:1471-6. 

  4. Barton M. Screening for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Pediatrics 2010;125:361-7. 

  5. Lee S, Bacha F, Gungor N, Arslanian SA. Waist circumference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insulin resistance in black and white youths. J Pediatr 2006;148:188-94. 

  6. Zimmet P, Alberti KG, Kaufman F, Tajima N, Silink M, Arslanian S,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n IDF consensus report. Pediatr Diabetes 2007;8:299-306. 

  7. Park MJ, Boston BA, Oh M, Jee SH.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the Korean NHANES survey, 1998-2005. J Pediatr 2009;155:529-34. 

  8. Wajchenberg BL.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their relation to the metabolic syndrome. Endocr Rev 2000;21:697-738. 

  9. Fox CS, Massaro JM, Hoffmann U, Pou KM, Maurovich- Horvat P, Liu CY, et al.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mpartments: association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7;116:39-48. 

  10. Matsushita Y, Nakagawa T, Yamamoto S, Takahashi Y, Yokoyama T, Noda M, et al. Associations of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with the prevalence of metabolic risk factor clustering in 6292 Japanese individuals: the Hitachi Health Study. Diabetes Care 2010 May 11. [Epub ahead of print] doi:10.2337/dc10-0120. 

  11.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et al.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 Pediatr 2008;51:1-25. 

  12. Cole TJ, Green PJ. Smoothing reference centile curves: the LMS method and penalized likelihood. Stat Med 1992;11:1305-19. 

  13.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1985;28:412-9. 

  14. Weiss R, Dziura J, Burgert TS, Tamborlane WV, Taksali SE, Yeckel CW, et 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 Engl J Med 2004;350:2362-74. 

  15. Bjorntorp P.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rteriosclerosis 1990;10:493-6. 

  16. Fontana L, Eagon JC, Trujillo ME, Scherer PE, Klein S. Visceral fat adipokine secretion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in obese humans. Diabetes 2007; 56:1010-3. 

  17. Caprio S, Hyman LD, McCarthy S, Lange R, Bronson M, Tamborlane WV.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adolescent girls: importance of the intraabdominal fat depot. Am J Clin Nutr 1996;64:12-7. 

  18. Suliga E. Visceral adipose tiss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Nutr Res Rev 2009;22:137-47. 

  19. Kim JA, Park HS. Association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obese Korean adolescents. Diabetes Metab 2008;34:126-30. 

  20. Kahn SE, Hull RL, Utzschneider KM. Mechanisms linking obesity to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Nature 2006;444:840-6. 

  21. Fox KR, Peters DM, Sharpe P, Bell M. Assessment of abdominal fat development in young adolescen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1653-9. 

  22. Kim JA, Ju SY, Yum KS. Cut-off value of visceral fat area at risk of obesity-related disorders in Korean adult population. Korean J Fam Med 2006;27:208-14. 

  23. Jackson AS, Pollock ML, Graves JE, Mahar M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ioelectrical impedance in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J Appl Physiol 1988;64: 529-34. 

  24. Kullberg J, Brandberg J, Angelhed JE, Frimmel H, Bergelin E, Strid L, et al. Whole-body adipose tissue analysis: comparison of MRI, CT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Br J Radiol 2009;82:123-30. 

  25. Stolk RP, Wink O, Zelissen PM, Meijer R, van Gils AP, Grobbee D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ultrasonography for the measurement of intra-abdominal adipose tissu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25:1346-51. 

  26. Blouin K, Boivin A, Tchernof A. Androgens and body fat distribution.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8;108: 27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