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탄소전극조합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기발생량 및 미생물 군집변화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variation in Microbial Fuel Cell with various Electrode Combination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2 no.1, 2010년, pp.87 - 96  

권재형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최수정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차재환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효수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예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유재철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창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극소재는 전기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전극의 두께 구조가 미생물 연료전지전력밀도 미생물 형성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 전극조합의 능률적인 구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탄소전극으로 이루어진 7개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가 연속식 공정으로 운전되었다. 반응기의 안정화 상태에서 구멍이 있는 흑연펠트(6 mm 두께) 조합이 전기발생량 238 mV, 그리고 쿨롱효율이 37%로 가장 높은 셀 성능을 나타내었다. 산화전극 표면에 미생물의 생성을 관찰하기 위해 SEM 촬영을 실시한 결과, 니트형태의 탄소섬유와 흑연펠트의 표면에 미생물양의 생성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식종 슬러지와 산화전극 부착성장 미생물의 우점종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PCR-DGGE를 통한 미생물 군집해석 결과, 식종슬러지내의 미생물 군집과 운전 후 각 전극에 우점화 된 미생물의 군집에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흑연펠트의 탄소섬유에 전기활성 박테리아로 알려진 eobacter 종이 우점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ode material i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ower production of microbial fuel cell. In this study, effects of carbon electrode material, thickness and configuration on the power density, biofilm form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diversity of microbial fuel cell were investigat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가공형태에 따른 물리적 특성이 다른 탄소재질 전극의 조합 및 구조에 따른 전극소재에 의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탄소재질 전극조합 및 구조를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연료전지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전극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현재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양한 다공성 탄소재질의 전극을 4가지 조합으로 구성 후 전기 화학적인 성능 및 유기물 제거 효율, 에너지 효율을 통한 셀 성능 평가를 실시하여 각 탄소재질전극 간의 성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 이에 현재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양한 다공성 탄소재질의 전극을 4가지 조합으로 구성 후 전기 화학적인 성능 및 유기물 제거 효율, 에너지 효율을 통한 셀 성능 평가를 실시하여 각 탄소재질전극 간의 성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최적의 성능을 보인 전극을 두께와 형태를 달리 하였을 때 변화된 구조가 셀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미생물이 부착 되는 산화전극 표면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산화전극 표면의 SEM 촬영을 통해 각 전극표면을 관찰 후 미생물의 순응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흥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세계인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미치는 영향은? 지금과 같이‘에너지 다소비 체제’가 지속될 경우 지구촌이 치러야 할 경제적 손실이 매년 세계 GDP의 5�20%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올 정도다.1) 여기에 신흥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세계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에너지∙자원 부족 현상을 부추기게 되고 이에 따라 에너지의 가격상승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선진국들은 이미 자원의 효율적∙환경 친화적 이용에 국력을 집중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현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녹색산업’, ‘녹색기술’이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자리 잡아 가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미생물 연료전지란? 미생물 연료전지는 미생물을 촉매로 이용하여 하∙폐수와 같은 유기물질에서 직접적으로 전력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기술이다.2) 이는 차후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에너지 생산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의 획기적인 환경오염 저감기술이다.
물리적 특성이 다른 탄소재질 전극의 조합 및 구조에 따른 전극소재에 의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탄소재질 전극조합 및 구조를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1) 4가지 탄소재질전극(흑연섬유, 민무늬 타입의 탄소섬유, 니트타입의 탄소섬유, 흑연펠트)을 이용하여 4가지 조합을 구성 후 셀 성능평가를 실시 한 결과 흑연펠트 재질의 전극조합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흑연펠트를 이용한 산화전극의 SEM 사진에서 보면 전극 표면의 거칠기가 거칠고, 공극의 크기도 다른 전극에 비해 큼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미생물이 전극에 부착되어 산화반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 같은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쓰이는 탄소전극은 같은 재질이라도 가공방법에 따라 나타낼 수 있는 성능의 차이가 다름을 판단할 수 있다. 2) 전극조합에 따른 셀 성능평가 실시 후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흑연펠트 전극 구조를 변화(5 mm의 구멍이 있는 두께 6 mm 흑연펠트, 두께 3 mm 흑연펠트, 두께 6 mm 흑연펠트)하여 셀 성능평가를 실시를 하였다. 구조가 다른 5 mm구멍이 있는 두께 6 mm 흑연펠트와 구멍이 없는 두께 6 mm 흑연펠트의 성능을 비교하면 구멍이 있는 흑연펠트의 성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극의 구멍으로 수소이온이 빠르게 환원전극부로 전달 되어 원활한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이라 추측 된다. 두께 6 mm 흑연펠트와 두께 3 mm 흑연펠트의 성능을 비교 하였을 때 두께 3 mm 흑연펠트의 성능이 높았다. 이는 앞선 결과와 마찬가지로 산화전극에서 환원전극으로의 수소이온 전달이 얇은 두께가 훨씬 용이하여 셀 성능이 높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위의 실험결과를 통해 전극을 선정함에 있어서 전극 종류뿐만 아니라 두께 및 형상 역시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판단 할 수 있다. 3) 다양한 종류의 탄소재질 전극을 산화전극으로 이용 후 전극표면의 미생물을 추출하여 군집을 분석한 결과 식종 슬러지와 운전 후 산화전극에 부착된 미생물의 군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우점화 된 미생물 군집을 보면 Pseudomonas, Geobacter sulfurreducens등 전기화학적 활성 박테리아로 알려진 미생물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흑연펠트에 우점화 된 A밴드의 Geobacter sulfurreducens는 대표적인 전기활성 박테리아로써 흑연펠트를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유기물 제거효율 그리고 에너지 효율이 실험에 사용된 탄소전극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감안한다면 이는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Geobacter종이 전기화학적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군집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tern review,"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2006). 

  2. B. E Logan., Aelerman. P., Hamelers. P., Rozendal. R., and Schroeder. U., Keller. J, Freguiac. S, Verstratete. W. & Rabaey. K.,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 Sci. Technol. 40, 5181-5192 (2006). 

  3. V. Fedorovich, S., D. Varfolomeev., A. Sizov., and I. Goryanin., "Multi-electrode microbial fuel cell with horizontal liquid flow," Water sci. & Technol., 60(2), 347-355(2009). 

  4. Rabaey K., and Verstraete W., "Microbial fuel cells: novel biotechnology for energy generation,"Trends Biotechnol, 23(6), 291-298(2005). 

  5. B. E Logan., Microbial Fuel cells, john Wiley & Sons, Inc., 62-76 (2008). 

  6. Ouitrakul, S., Sriyudthsak M., Charojrochkul S., and Kakizono T., "Impedance analysis of bio-fuel cell electrodes,"Biosens. Bioelectron., 23(6), 721-727(2007). 

  7. Pham, T. H., Aelterman, P., and Verstraete, W., "Bioanode performance in bioelecrochemical systems: recent improvements and prospects,"Trends in biotechnol., 27(3), 168-178(2009). 

  8. H. Tsai., C. Wu., C. Lee., and E. shih., "Microbial fuel cell performance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on carbon cloth as electrodes,"J. Power Source, 194, 199-205(2009). 

  9. G. Chen., S. Choi., T. Lee., G. Lee., J. Cha., and C. Kim., "Application of biocathode in microbial fuel cells : cell performance and microbial community,"Biotechnol. Proc., 79, 379-388(2008). 

  10. J. Cha., S. Choi., H. Yu., H. Kim., and C. Kim., "Directly applicable microbial fuel cells in aeration tank for wastewater treatment,"Bioelectrochemistry, in press(2009). 

  11. 김응인, 박옥현, 정인경," 생물여과를 이용한 TCE/PCE제거및 DGGE법을 이용한 관련미생물 군집변화에 관한 연구,"대한환경공학회지, 30(11), 1161-1169(2008). 

  12. H. S. Park., B. H. Kim., H. S. Kim., H. J. Kim., G. T. Kim., M. Kim., I. S. Chang., Y. K. Park., and H. I. Chang., "A Novel Electrochemically Active and Fe(III) - reducing Bacterium Phylogenetically Related to Clostridiumbutyricum Isolated from a Microbial Fuel Cell,"FEMS microbiology letters, 223(1), 297-306(2001). 

  13. T. H. Pham., N. Boon., K. D. Maeyer., M. H. fte., K. Rabaey., and W. Verstraete., "Use of Pseudomonas species producing phenazine-based metabolites in the anodes of microbial fuel cells to improve electricity generation,"microbiol. biotechnol., 80(6), 985-993(2008). 

  14. S., Ishii, K. Watanabe.,. S. Yabuki., B. E. Logan., and Y. Sekiguchi., "Comparison of Electrode Reduction Activities of Geobacter sulfurreducens and an Enriched Consortium in an Air- Cathode Microbial Fuel Cell,"Environ. Microbiol., 23(74), 7348-7355(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