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이 항암화학요법환자의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Nausea, Vomiting,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0 no.2, 2010년, pp.171 - 179  

김영재 (조선간호대학) ,  서남숙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nausea, vomiting,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래주사실에서 일일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여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가정에서의 자가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여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유사실험연구이다.
  •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은 근육의 긴장상태를 이완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익히게 함으로써 근육만이 아니라 심신전체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 관리기법으로서 기본적인 이완요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고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에게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적용한 연구들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연구방법 및 성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외래 암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에서도 대상자들이 스스로 실천하면서 손쉽게 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란 무엇입니까? 피로란 개인이 신체적, 정신적 작업능력의 감소를 인지한 상태이며, 충분한 수면이나 휴식 후에 없어지는 것이 아닌 압도적이고 지속적인 소진감의 주관적인 경험이다.14)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들이 약물독성과 부작용을 초래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들은 흔히 정맥을 통한 전신 적인 방법으로 투여되어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동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주기에 따른 치료를 일정기간 꾸준히 지속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약물독성과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은 약물의 종류, 투여량과 투여방법,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다양하지만 오심과 구토, 구내염, 빈혈, 피로, 불안, 우울, 수면장애, 무력감 등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초래하며, 암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은 어떠한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까? 근육이완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킴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신체는 불안한 생각에 근육긴장으로 반응하며, 긴장된 근육은 불안감정을 더욱 증가시킨다는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점진적 근육이완법은 근육의 반복적인 긴장과 이완을 통해 근육만을 이완시키는 것이 아니라 교감신경항진으로 인한 심신의 긴장을 함께 저하시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May 28, 2010, from http://stat.mw.go.kr/homepage/news/press_content.jsp?ctrl_commanddoNothing&curr_page1&menu_id33&seq_no9914. 

  2. Song MS, Shin GY. Efficacy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in reducing nausea and vomiting,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of cancer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1987;17: 195-203. 

  3. Jung KH.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anxiety of children with chemotherapy.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0;6:60-8. 

  4. Ream E, Richardson A, Alexander-Dann C. Supportive intervention for fatigu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ain Symptom Manage 2006;31:148-61. 

  5. So WK, Marsh G, Ling WM, Leung FY, Lo JC, Yeung M, et al.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adjuvant therapy. Eur J Oncol Nurs 2010; 14:17-22. 

  6. Burish TG, Lyles JN. Effectiveness of relaxation training in reducing the adverseness of chemotherapy in treatment of cancer. J Behav Med 1981;4:65-78. 

  7. Cheung YL, Molassiotis A, Chang AM. The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after stoma surger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02;12:254-66. 

  8. Yoo HJ, Ahn SH, Kim SB, Kim WK, Han OS. Efficacy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and guided imagery in reducing chemotherapy side effect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in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Support Care Cancer 2005;13: 826-33. 

  9. Jacobson E. Progressive relax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10. Holland JC, Morrow GR, Schmale A, Derogatis L, Stefanek M, Berenson S,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lprazolam versus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in cancer pati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J Clin Oncol 1991;9:1004-11. 

  11. Molassiotis A. A pilot study of the use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in the management of post-chemotherapy nausea and vomiting. Eur J Cancer Care 2008;9:230-4. 

  12. Lehrer PM. How to relax and how not to relax: A re-evaluation of the work of Edmund Jacobson-I. Behav Res Ther 1982; 20:417-28. 

  13. Rhodes VA.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Nurs Clin North Am 1990;25:885-900. 

  14. Carpenito LJ. Nursing diagnosi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JB. Lippincott;1992. 

  15.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NY Academic Press;1972. 

  16. Beck AT, Ward CH, Mel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 4:561-71.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New York:Academic Press;1988. 

  18. Rhodes VA, McDaniel RW.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 Nurs Forum 1999;26:889-93. 

  19. Kim YJ, Kim JY, Choi IR, Kim MW, Rhodes VA.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Korean transla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2000;12:278-85. 

  20. Suh EY, Lee EO. The effects of rhythmic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strength,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adjuvant chemotherapy. J Korean Acad Adult Nurs 1997;9:422-37. 

  21. Bang KA. The effect of hand reflexology on nausea, vomiting, and fatigu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dissertation]. Daegu, Korea:Keimyung Univ;2003.- 

  22. Kim JY,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SI for Korea. Newest Med J 1987;21(11):69-75. 

  23. Han HM, Yum TJ, Shin YW, Kim GH, Yun DG, Jung GJ. A study of standard Beck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1986;25:487-502. 

  24. Molassiotis A, Yung HP, Yam BM, Chan FY, Mok TS. The effectivenes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in managing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in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upport Care Cancer 2002; 10:237-46. 

  25. Kim YJ, Cho IS, So HS. Changes on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2004;34:1326-33. 

  26. Donovan KA, Jacobsen PB. Fatigue, depression, and insomnia: evidence for a symptom cluster in cancer. Semin Oncol Nurs 2007;23:127-35. 

  27. Kwon YE.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Adult Nurs 1999;11:820-30. 

  28. Yang JH.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nausea, vomiting and fatigu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2005;35:1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