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압요법이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오심·구토와 혈청세로토닌 수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Chemotherapy-induced Nausea, Vomiting, and Serum Serotonin Level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30 - 340  

권순조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serum serotonin level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 Methods: The research was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26 patients for th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압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부인암 환자의 오심·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 본 연구는 이압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의 오심 강 도, 오심 ․ 구토 정도, 혈청세로토닌 수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인암 환자에게 이압요법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오심 강도, 오심·구토 정도 및 혈청세로토닌 수치에 효 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압요법을 실시하여 오심 강도, 오심 · 구토 정도와 혈청 세로토 닌 수치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이압요법을 받 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사후 오심 강도 및 오심 · 구토 정도 및 혈청 세로토닌이 유의하게 낮아 이압요법이 항암화학요 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 혈청 세로토닌 수치는 효소면역분석법으로 검사하였다. 효소면역분석법은 효소를 표식자로 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하는 실험기술의 하나로 반응산물은 형광 측정기 또는 광측정기로 검출한 방법을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압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오심·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을 선정하고 눈가림법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오심·구토 및 세로토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이압요법을 사용한 부인암 환자(이하 실험군)은 귀 스티커만 부착한 부인암 환자(이하 대조군)보다 오심 강도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오심·구토 정도가 낮을 것 이다.
  •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혈청 세로토닌 수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화학요법제로 인한 오심과 구토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Cisplatin, Carboplatin, Doxorubicin, Docetaxel과 5-Fluorouracil 등의 항암화학요법제는 투여 후 1~2일 동안 상당히 심한 오심과 구토를 일으키는데, 그 중 Cisplatin은 오심과 구토를 가장 심하게 일으키는 약제로써 투여 후 5~7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tonarakis & Hain, 2004). 항암화학요법제로 인한 오심과 구토는 음식 섭취 불량으로 인한 영양장애를 유발하고, 적절한 스케줄에 따른 항암치료 진행을 어렵게 하며, 암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부인암 환자에게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이나, 종괴가 큰 조기암, 국소 진행암,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재발, 골반 내 또는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는 국소치료만으로 완치율이 낮으므로 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이 중요하다. 항암화학요법은 암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독성을 미쳐 환 자들은 치료 전·후 오심과 구토, 구내염, 변비, 설사,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증, 탈모, 신장 기능장애, 호흡기 장애 등과 같은 부장용을 경험한다(Kim et al., 2011; Park, Bang, & Ha, 2012).
오심과 구토 관리를 위한 비약물요법의 효과를 검증하여 약물요법과 병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임상적으로 항암화학요법 환자들은 오심 및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및 중추신경 억제제,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항구토제를 투여 받고 있다. 이 중 세로토닌 길항제는 항암화학요법제 치료 시 오심과 구토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기준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Jeon et al., 2009). 또한 미국임상암학회에서는 오심의 고위험이 있는 환자들에게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전에 항구토제인 세로토닌수용체 길항제와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함께 복용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항구토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대상자들의 60%는 여전히 오심을 경험하고 있으며, 35%는 구토로 인해 심한 고통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Ezzo, Streitberger, & Schneider, 2006). 그러므로 오심과 구토 관리를 위한 비약물요법의 효과를 검증하여 약물요법과 병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rews, P. L., Naylor, R. J., & Joss, R. A. (1998). Neuropharmacology of emesis and its relevance to anti-emetic therapy. Support Care Cancer, 6, 197-203. 

  2. Antonarakis, E. S., & Hain, R. D. (2004).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cancer chemotherapy: Drug management in theory and in practice. Archives of Disease Childhood, 89, 877-880. 

  3. Baek, G. S. (2008). Effects of meridian acupressure therapy using sticker needles for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caused by chemotherapy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4. Benjamin, P. J., & Tappan, F. M. (2005). Tappan's handbook of healing massage techniques: Classic, holistic and emerging methods(4th ed). Boston: Prentice Hall. 

  5. Ezzo, J., Streitberger, K., & Schneider, A. (2006). Cochrane systematic reviews examine P6 acupuncture-point stimulation for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2, 489-495.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7. Han, S. H., Kim, Y. H., Seo, H. S., Hwang, G. D., Jung, H. C., Son, J. H., et al. (2003). The study on 5 cases of patient with vomiting and nausea. Korean Journal Oriental Internal Medicine, 24, 1023-1029. 

  8. Hesketh, P. J. (2008).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6, 2482-2494. 

  9. Jeon, S. J., Kim, K. M. J., Kim, H. K., Park, S. O., Bae, Y. S., Jo, K., S., et al. (2009).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Hyunmoonsa. 

  10. Kim, D. Y., & Camilleri, M. (2000) Serotonin: A mediator of the brain-gut conne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95(10), 2698-2709. 

  11. Kim, E. H., Kim, Y. J., Lim, B. V., Jang, M. H., Chung, J. H., & Kim, C. J. (2001).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on neuronal activities in the brain of sprague dawley ra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8(1), 21-28. 

  12. Kim, H. J., & Kim, H., S. (2005). Nausea/vomiting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ancer on chemotherapy. Journal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2), 180-185. 

  13. Kim, Y. H., Kwon, I. K., Kim, J. H., Seol, M. E., Jeon, M., H., Ham, Y. H., et al. (2011). Cancer symptom management . Seoul: Hyunmoonsa. 

  14. Kim, Y. J. (2009). The effect of meridian acupressure therapy using sticker needles for nausea, vomiting caused by chemotherapy in lung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im, Y. J., & Seo, N. S. (2010).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nausea, vomiting,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Korean Oncology Nursing, 10, 171-179. 

  16. Kim, Y. J., Kim, J. Y., Choi, I. L., Kim, M. W., & Rhodes, V. (2000).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 278-285. 

  17. Kim, Y. S., Kim, C. W., & Kim, K. S. (2003). Clinical observations on postoperative vomiting treated by auricular acupuncture.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31, 475-480. 

  18.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Academy. (2012).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eoul: Jipmoondang. 

  19. Lee, H. S., Sung, K. W., Son, B. K., Kim, S. S., Lee, H. J., & Lee, S. Y. (2006). Effects of hand massage through Korean hand acupuncture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induced by chemotherapy in cancer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11, 7-19. 

  20. Lee, K. J. (2004). Yichim story of Lee Gyeong Je. Seoul: Gimmyoungsa. 

  21. Ma, L. (2009). Acupuncture as a complementary therapy in chemotherapy induced nausea vomiting. Baylor University Medical Center Proceedings, 22, 138-141. 

  22. Middleton, J., & Lennan, E. (2011). Effectively managing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7), 7-15.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2009. Retrieved November. 06, 2013,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album/gallery.jsp?spage1&boardId31817& boardSeq179615&mcategoryId&idcancer_050207000000# 

  24.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 Exploring the sci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Retrieved November. 06, 2013, from http://nccam.nih.gov/sites /nccam.nih.gov/files/about/plans/2011/NCCAM_SP_508.pdf. 

  25. Park, E. J. (2007).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serotonin, TNF- $\alpha$ & IL-6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6. Park, J. G., Bang, Y. J., &, Ha, S. H. (2012). Oncology. Seoul: Ilchokak. 

  27. Rhodes, V. A., & McDaniel, R. W. (1999).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26, 889-894. 

  28. Sahmeddini, M. A., & Fazelzadeh, A. (2008). Does auricular acupuncture reduce postoperative vomiting after cholecystectomy?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4, 1275-1279. 

  29. Taspinar, A., & Sirin, A. (2010). Effect of acupressure on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in Turke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 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