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p.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2, 2010년, pp.177 - 182  

조현희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심은정 (한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4월 제주도의 운진항에서 채집한 해양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16SrDNA-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 abata와 Cinachyrella sp.는 각각 7개와 8개의 DGGE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을 적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2-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S. abata의 주요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였으며, Cinachyrella sp.의 경우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와 Actinobacteria에 속하는 세균으로 구성되었다. 두 종의 해면에서 공통되는 공생세균 그룹은 Alphaproteobacteria였으며 이 세균 그룹은 두 종의 해면 모두에서 우점하였다. Delt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Actin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는 Cinachyrella sp.에서만 관찰되었다. 동일지역에서 채집한 서로 다른 두 종의 해면은 각각 다른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two marine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p.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April 2009, was analyzed by 16S rDNA-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DGGE banding patterns indicated 8 and 7 bands for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는 미기록 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 특성이 다른 두 종의 해면이 동일 지역에 서식하는 경우에 있어 공생세균 군집 구조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면이란 무엇인가? 해면은 해양에서 열대, 온대, 극지에 이르기까지 범지구적인 넓은 분포를 나타내는 여과 섭식동물로써 해면 생체량의 40% 이상에 달하는 세균을 함유하며, 해면에 서식하는 공생미생물은 해면의 표면, 혹은 해면 세포내, 혹은 mesohyl에 서식하며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세균은 여과 섭식자인 해면동물의 먹이원이기도 하지만, 해면의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해양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16SrDNA-DGGE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의 공생 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16SrDNA-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 abata와 Cinachyrella sp.는 각각 7개와 8개의 DGGE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을 적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2-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S. abata의 주요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였으며, Cinachyrella sp.의 경우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와 Actinobacteria에 속하는 세균으로 구성되었다. 두 종의 해면에서 공통되는 공생세균 그룹은 Alphaproteobacteria였으며 이 세균 그룹은 두 종의 해면 모두에서 우점하였다. Delt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Actin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는 Cinachyrella sp.에서만 관찰되었다. 동일지역에서 채집한 서로 다른 두 종의 해면은 각각 다른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내었다.
해면 공생세균에 관한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어떤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해면 공생세균에 관한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ydization), ARDRA (amplified rDNA restriction analysis), T-RFLP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DGGE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등을 포함하는 분자적 방법에 의해(4, 5)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면 미생물 군집과 다양성 연구에 PCR-DGGE와 PCR-RFLP 방법은 비교적 간편하며 효과적인 연구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분자적 방법을 사용한 해면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해면 공생 세균의 산업적 응용과 해면 공생 세균의 특성 및 생태적 기능의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13,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on, S.A., P.T. Northcote, and M.J. Page. 2010.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different chemotypes of the New Zealand marine sponge Mycale hentscheli. FEMS Microb. Ecol. 72, 328-342. 

  2. Cho, H.H. and J.S. Park.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cultur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by 16S rDNA-RFLP. Kor. J. Microbiol. 45, 155-162. 

  3. Friedrich, A.B., J. Hacker, I. Fischer, P. Proksch, and U. Hentschel. 2001. Temporal variations of the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Mediterranean sponge Aplysina aerophoba. FEMS Microbiol. Ecol. 38, 105-113. 

  4. Hardoim, C.C., R. Costa, F.V. Araujo, E. Hajdu, R. Peixoto, U. Lins, A.S. Rosado, and J.D. van Elsas. 2009. Diversity of bacteria in the marine sponge Aplysina fulva in Brazilian coastal waters. Appl. Environ. Microbiol. 75, 3331-3343. 

  5. Isaacs, L.T., J. Kan, L. Nguyen, P. Videau, M.A. Anderson, T.L. Wright, and R.T. Hill. 2009. Comparison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wild and captive sponge Clathria prolifera from the Chesapeake Bay. Mar. Biotechnol. (NY) 11, 758-770. 

  6. Lafi, F.F., M.J. Garson, and J.A. Fuerst. 2005. Culturable bacterial symbionts isolated from two distinct sponge species (Pseudoceratina clavata and Rhabdastrella globostellata) from the Great Barrier Reef display similar phylogenetic diversity. Microb. Ecol. 50, 213-220. 

  7. Lee, O.O., Y.H. Wong, and P.Y. Qian. 2009. Inter- and intraspecific variations of bacter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from San Juan Island, Washington. Appl. Environ. Microbiol. 75, 3513-3521. 

  8. Li, Z., L. He, and X. Miao. 2007.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from South China Sea sponge as revealed by DGGE fingerprinting and 16S rDNA phylogenetic analysis. Curr. Microbiol. 55, 465-472. 

  9. Li, Z.Y., L.M. He, J. Wu, and Q. Jiang. 2006. Bacterial community diversity associated with four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China Sea based on 16S rDNA-DGGE fingerprinting. J. Exp. Mar. Biol. Ecol. 329, 75-85. 

  10. Li, Z.Y. and Y. Liu. 2006. Marine sponge Craniella austrialiensisassociated bacterial diversity revelation based on 16S rDNA library and biologically active actinomycetes screening, phylogenetic analysis. Lett. Appl. Microbiol. 43, 410-416. 

  11. Mangano, S., L. Michaud, C. Caruso, M. Brilli, V. Bruni, R. Fani, and A.L. Giudice. 2009. Antagonistic interactions between psychrotrophic cultivable bacteria isolated from Antarctic sponges: A preliminary analysis. Res. Microbiol. 160, 27-37. 

  12. Mohamed, N., J.J. Enticknap, J.E. Lohr, S.M. McIntosh, and R.T. Hill 2008. Changes in bacterial communities of the marine sponge Mycale laxissima on transfer into aqua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74, 1209-1222. 

  13. Mohamed, N.M., V. Rao, M.T. Hamann, M. Kelly, and R.T. Hill. 2008. Monitoring bacterial diversity of the marine sponge Ircinia strobilina upon transfer into aqua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74, 4133-4143. 

  14. Muscholl-Silberhorn, A., V. Thiel, and J.F. Imhoff. 2008. Abundance and bioactivity of cultured sponge-associated bacteria from the Mediterranean Sea. Microb. Ecol. 55, 94-106. 

  15. Park, J.S., J.J. Sim, and K.D. An. 2009.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Juju Island based on 16S rDNA-DGGE profile. Kor. J. Microbiol. 45, 170-176. 

  16. Radwan, M., A. Hanora, J. Zan, N.M. Mohamed, D.M. Abo-Elmatty, S.H. Abou-El-Ela, and R.T. Hill. 2010. Bacterial community analyses of two Red Sea sponges. Mar. Biotechnol. 12, 350-360. 

  17. Ramm, W., W. Schatton, I. Wagner-Dobler, V. Wray, M. Nimtz, H. Tokuda, F. Enjyo, H. Nishino, W. Beil, R. Heckmann, V. Lurtz, and S. Lang. 2004. Diglucosyl-glycerolipids from the marine sponge-associated Bacillus pumilus strain AAS3: Their production, enzymatic modification and properti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4, 497-504. 

  18. Selvin, J. 2009. Exploring the antagonistic producer Streptomyces MSI051: Implications of polyketide synthase gene type II and a ubiquitous defense enzyme phospholipase A2 in the host sponge Dendrilla nigra. Curr. Microbiol. 58, 459-463. 

  19. Sipkema, D. and H.W. Blanch. 2009. Spatial distribu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 Tethya californiana. Mar. Biol. 157, 627-638. 

  20. Taylor, M.W., P.J. Schupp, R. de Nys, S. Kjelleberg, and P.D. Steinberg. 2005. Biogeograph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 Cymbastela concentrica. Environ. Microbiol. 7, 419-433. 

  21. Thiel, V., S. Leininger, R. Schmaljohann, F. Brummer, and J.F. Imhoff. 2007. Sponge-specific bacterial associations of the Mediterranean sponge Chondrilla nucula (demospongiae, tetractinomorpha). Microb. Ecol. 54, 101-111. 

  22. Thiel, V., S.C. Neulinger, T. Staufenberger, R. Schmaljohann, and J.F. Imhoff. 2007. Spatial distribution of sponge-associated bacteria in the Mediterranean sponge Tethya aurantium. FEMS Microbiol. Ecol. 59, 47-63. 

  23. Thoms, C., M. Horn, W. Wagner, U. Hentschel, and P. Proksch. 2003. Monitoring microbial diversity and natural products profiles of the sponge Aplysina cavernicola following trasplantation. Mar. Biol. 142, 685-692. 

  24. Weisz, J.B., U. Hentschel, N. Lindquist, and C.S. Martens. 2007. Linking abundance and diversity of sponge-associated microbial communities to metabolic differences in host sponges. Mar. Biotechnol. 152, 475-483. 

  25. Wichels, A., S. Wurtz, H. Dopke, C. Schutt, and G. Gerdts. 2006. Bacterial diversity in the Breadcrumb sponge Halichondria panicea (pallas). FEMS Microbiol. Ecol. 56, 102-118. 

  26. Zhang, H., W. Zhang, Y. Jin, M. Jin, and X. Yu.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culturable actinobacteria isolated from five marine sponge species. Antonie van Leeuwenhoek 93, 241-2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