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lftia acidovorans EK2에 의한 고농도 Trichloroethylene (TCE)의 생물학적 분해 특성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by Delftia acidovornas EK2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2, 2010년, pp.183 - 191  

박우정 (경기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상섭 (경기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질로써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TCE 분해 균주를 분리하고 고효율 TCE 분해 균주에 의한 고농도의 TCE 분해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TCE에 오염된 토양 및 폐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고 성장기질로써 벤젠(Benzene), 페놀(Phenol), 에틸벤젠(Ethylbenzene), 아닐린(Aniline), 큐멘(Cume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여 TCE에 내성을 가지는 179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들을 TCE 농도 30 mg/L, 성장기질 농도 0.2 g/L, $30^{\circ}C$, pH 7, 균 농도 1.0 g/L (w/v)의 호기적 조건으로 21일 동안 분해효율을 측정한 결과, 아닐린을 성장기질로 이용한 EK2 균주가 74.4%의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다. EK2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생화학적 특징 및 분자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Delftia acidovorans로 동정되었다. D. acidovorans EK2의 TCE 분해는 TCE 농도 10에서 200 mg/L까지 성장 및 분해할 수 있었으나 250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성장과 분해가 보이지 않았다. 저농도(1.0 mg/L) 분해 실험을 위하여 D. acidovorans EK2를 각 0.01 g/L, 0.03 g/L, 0.05 g/L로 적용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12일 동안 9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고농도(200 mg/L)를 분해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균 농도 1.0 g/L, 아닐린 농도 0.5 g/L, pH 7, 온도 $30^{\circ}C$로 확인되었으며, 21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 시 71.0%의 가장 높은 TCE 분해효율을 보여주었고, 분해속도는 94.7 nmol/h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D. acidovorans EK2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TCE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solated 179 bacterial strains using benzene, phenol, ethylbenzene, aniline, cumene, toluene as growth substrate from TCE contaminated soils and wastewaters. All the 179 strains were screened for TCE (30 mg/L) removal (growth substrate 0.2 g/L, $30^{\circ}C$, pH 7, ce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TCE를 분해할 수 있는 호기적 TCE 분해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여러 방향족 화합물들을 첨가하여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의 TCE 분해효율을 확인한 결과 아닐린을 성장기질로 이용하는 D.
  • 그러나, 현재까지 TCE의 분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저 농도의 TCE의 처리에 중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4, 11, 18, 24, 32, 35, 44), 고농도의 TCE로 오염된 지하수 오염 지역(DNAPL)을 처리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TCE로 오염된 DNAPL 지역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고농도의 TCE 분해가 가능한 균주를 개발하고, 최적의 분해 조건을 확립하여 현장적용에 있어 기반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질로써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 하여 TCE 분해 균주를 분리하고 고효율 TCE 분해 균주에 의한 고농도의 TCE 분해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TCE에 오염된 토양 및 폐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고 성장기질로써 벤젠(Benzene), 페놀(Phenol), 에틸벤젠(Ethylbenzene), 아닐린(Aniline), 큐멘(Cume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여 TCE에 내성을 가지는 179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 acidovorans EK2의 아닐린의 농도에 따른 TCE의 분해 특성을 확인한 결과 아닐린 농도 0.3, 0.4, 0.5 g/L를 첨가하였을 경우 분해속도가 68.2-127.5 nmol/h으로 점점 증가하였으나 0.6 g/L를 첨가하였을 경우 분해속도가 106.7 nmol/h로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무엇 때문으로 추정되는가? 7 nmol/h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아닐린 농도 0.6 g/L 이상은 TCE와 경쟁적 저해제로서 작용을 하였거나 혹은 아닐린과 TCE의 높은 농도로 인해 EK2에 대해 독성을 나타냈을 것으로 간주된다.
한국에서 trichloroethylene은 어떤 곳에서 생산 및 사용되는가? 휘발성 염화 탄화수소 물질중의 하나인 trichloroethylene (TCE)은 섬유세척제, 금속 탈지제, organic solvent 등 여러 용도로 국내 세탁업체 및 화학 산업계에서 생산 및 사용되어지고 있다(31). 그러나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TCE는 부적절한 처리방법으로 인해 생태계를 오염시키며, 특히 오염된 토양을 통해 지하수를 오염시킨다(38).
TCE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 방법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이러한 TCE의 물리적 처리방법 및 화학적 처리방법으로는각각 소각, 활성탄 흡착 제거법 등이 널리 쓰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2차적인 오염물질이 발생될 수 있어 사후 처리가 요구되며 높은 설비투자비와 운영비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TCE에 대한 미생물의 생분해능을 이용하여 CO2 등의 무해한 최종산물로 분해시킬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며, 운전비 및 설비비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체 기술로써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1997. Toxicological profile for trichloroethylene, ATSDR, Division of Toxicological, Atlanta, GA, USA. 

  2. Alan, R.H. and Y. Kim. 1990.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two independent aromatic-degrading pathways in Alcaligenes eutrophus JMP134. Appl. Environ. Microbiol. 56, 1179-1181. 

  3. Atlas, R.M. 1995. Bioremediation. Chem. Eng. News. 73, 32-42. 

  4. Bilge, A.K. and C. Ferhan. 2005. Cometabolic degradation of TCE in enriched nitrifying batch systems. J. Hazard. Mater. 125, 260-265. 

  5. Chen, Y.M., T.F. Lin, H. Chih, and J.C. Lin. 2008. Cometabolic degradation kinetics of TCE and phenol by Pseudomonas putida. Chemosphere 71, 1671-1680. 

  6. Dekker, T.J. and L.M. Abriola. 2000. The influence of field-scale heterogeneity on the infiltration and entrapment of dense nonaqueous phase liquids in saturated formation. J. Contam. Hydrol. 42, 187-218. 

  7. Eguchi, M., H. Myoga, S. Sasaki, Y. Miyake, and M. Fujita. 2001. The characterization of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Methylomonas sp. KSW III isolated from TCE-contaminated site. Environ. Conserv. Engineer. 30, 553-560. 

  8. Ensign, S.A., M.R. Hyman, and D.J. Arp. 1992. Cometabolic degradation of chlorinated alkenes by alkene monooxygenase in a propylene-grown Xanthobacter strain. Appl. Environ. Microbiol. 58, 3038-3046. 

  9. Ewers, J., D. Freier-Schrader, and H.J. Knackmuss. 1990. Selection of trichloroethene (TCE) degrading bacteria that resist inactivation by TCE. Arch. Microbiol. 154, 410-413. 

  10. Fitch, M.W., G.E. Speitel, Jr. and G. Georgior. 1996.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methanol-grown cultures of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pp358. Appl. Environ. Microbiol. 26, 1124-1128. 

  11. Folsom, B.R., P.J. Chapman, and P.H. Pritchard. 1990. Phenol and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Pseudomonas cepacia G4: kinetics and interactions between substrates. Appl. Environ. Microbiol. 56, 1279-1285. 

  12. Fox, B.G., J.G. Borneman, L.P. Wackett, and J.D. Lipscomb. 1990. Haloalkene oxidation by the soluble methane monooxygenase from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mechanist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Biochemistry 29, 6419-6425. 

  13. French, W.T., R.B. Lewis, N.D. Donald, L.F. Herbert, and L.T. Cynthia. 2002. Effects of n-hexadecane and PM-100 clay on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Burkholderia cepacia. J. Hazard Mater. 92, 89-102. 

  14. Hamamura, N., C. Page, T. Long, L. Semprini, and D.J. Arp. 1997. Chloroform cometabolism by butane-grown CF8, Pseudomonas butanovora, Mycobacterium vaccae JOB 5, and methane-grown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Appl. Environ. Microbiol. 63, 3607-3613. 

  15. Hashimoto, A., K. Iwasaki, M. Nakajima, and O. Yagi. 2000.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and related compounds by Mycobacterium spp. isolated from soil. Clean Prod. Proc. 2, 167-173. 

  16. Hyman, M.R., S.A. Russell, R.L. Ely, K.J. Williamson, and D.J. Arp. 1995. Inhibition, inactivation, and recovery of ammoniaoxidizing activity in cometabolism of trichloroethylene by Nitrosomonas europaea. Appl. Environ. Microbiol. 61, 1480-1487. 

  17. Kang, J.M., E.Y. Lee, and S.H. Park. 2001. Co-methabolic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Methylosinus trichosporium is stimulated by low concentrations methane or methanol. Biotechnol. Lett. 23, 1877-1882. 

  18. Kelly, C.J., P.R. Bienkowski, and P.S. Sayler. 2000. Kinetic analysis of a tod-lux bacterial reporter for toluene degradation and trichloroethylene cometabolism. Biotechnol. Bioeng. 69, 256-265. 

  19. Kimberly, H.H., A.S. Luis, J.B. Peter, and D.J. Arp. 2005.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butane-oxidizing bacteria causes a spectrum of toxic effects. Appl. Environ. Microbiol. 68, 794-801. 

  20.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5. Scrutiny and design services for restor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21. Landa, A.S., E.M. Sipkema, J. Weijma, A.A.C.M. Beenackers, J. Dolfing, and D.B. Janssen. 1994. Cometabolic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Pseudomonas cepacia G4 in a chemostat with toluene as the primary substrate. Appl. Environ. Microbiol. 60, 3368-3374. 

  22. Leahy, J.G., A.M. Byrne, and R.H. Olsen. 1996.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tolueneoxidizing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2, 825-833. 

  23. Lee, S.W., R.K. David, and D.H. Lim. 2006. Mixed pollutant degradation by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expressing either soluble or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can the tortoise beat the hare?. Appl. Environ. Microbiol. 55, 7503-7509. 

  24. Lee, C.Y. and W.D. Liu. 2006. The effect of saliny conditions on kinetics of trichloroethylene biodegradation by toluene-oxidizing cultures. J. Hazard Mater. 137, 541-549. 

  25. Lenhard, R.J., J.C. Parker, and J.J. Kaluarachchi. 1989. A model for hysteretic constitutive relations governing multiphase flow, 3. Refine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Water Resour. Res. 25, 1727-1736. 

  26. Malachowsky, K.J., T.J. Phelps, A.B. Teboli, D.E. Minnikin, and D.C. White. 1994. Aerobic mineralization of trichloroethylene, vinyl chloride, and aromatic compounds by Rhodococcus species. Appl. Environ. Microbiol. 60, 542-548. 

  27. McDonald, I.R., H. Uchiyama, S. Kambe, O. Yagi, and J.C. Murrell. 1997. The soluble methane monooxygenase gene cluster of the trichloroethylene-degrading methanotroph Methylocystis sp. strain M. Appl. Environ. Microbiol. 63, 1898-1904. 

  28. Michael, R.H., A.R. Sterling, L.E. Roger, K.J. Williamson, and D.J. Arp. 1995. Inhibition, inactivation, and recovery of ammoniaoxidizing Activity in cometabolism of trichloroethylene by Nitrosomonas europaea. Appl. Environ. Microbiol. 61, 1480-1487. 

  29. Ministry of Environment. Soil contamination corcerning / counterplan level.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Report of groundwater measurement. 

  31. Ministry of Labor. 2000. 99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working environment of manufacturing company. 

  32. Oramas, S., M. Rudolf, and L. Ekawan. 2009. Trichloroethylene cometabolic degradation by Rhodococcus sp. L4 induced with plant essential oils. Biodegradation 20, 281-291. 

  33. Park, J.H., J.K. Jerome, and M.A. Linda. 2002. Characterization of the adaptive response to trichloroethylene-mediated stresses in Ralstonia pickettii PKO1. Appl. Environ. Microbiol. 68, 5231-5240. 

  34. Phelps, T.J., J.J. Niedzielski, R.M. Schram, S.E. Herbes, and D.C. White. 1990.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continuous recycle expanded-bed bioreactors. Appl. Environ. Microbiol. 56, 1702-1709. 

  35. Roger, L.E., K.J. Williamson, R.H. Michael, and D.J. Arp. 1997. Cometabolism of chlorinated solvents by nitrifying bacteria: kinetics, substrate interactions, toxicity effects, and bacterial response. Biotechnol. Bioeng. 54, 520-534. 

  36. Saenton, S., T.H. Illangasekare, K. Soga, and T.A. Saba. 2002. Effects of source zone heterogeneity on surfactant-enhanced NAPL dissolution and resulting remediation end-points. J. Contam. Hydrol. 59, 27-44. 

  37. Schwille, F. 1988. Dense chlorinated solvents in porous and fractured media. Lewis Publishers, Boco Raton, FL, USA. 

  38. Selvaratnam, C., B.A. Schoedel, B.L. McFarland, and C.F. Kulpa. 1997. Application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 recerse trancriptase/PCR for determining the fate of phenol degrading Pseudomonas putida ATCC 11172 in a bioaugmented sequencing batch reactor. Appl. Microbiol. Biotechnol. 47, 236-240. 

  39. Strand, S.E., M.D. Bjelland, and H.D. Stensel. 1990. Kinetics of chlorinated hydrocarbon degradation by suspended cultures of methane oxidizing bacteria. Res. J. Wat. Poll. Control Fed. 62, 124-129. 

  40. Sun, A.K. and T.K. Wood. 1996.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by Pseudomonas and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Appl. Microbiol. Biotechnol. 45, 248-256. 

  4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4.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Standard. Proposed Fed. Regist. 49, 24329. 

  4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0. Laboratory Investigation of Residual Liquid Organics from Spills, Leaks, and Disposal of Hazardous Wastes in Groundwater. EPA/600/6-90/ 00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43. Wilson, J.T. and B.H. Wilson. 1985. Biotransform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soil. Appl. Environ. Microbiol. 49, 242-243. 

  44. Yuki, M., U. Hajime, T. Yasunori, and H. Katsutoshi. 2004. Addition of aromatic substrates restores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activity in Pseudomonas putida F1. Appl. Environ. Microbiol. 70, 2830-28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