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농균 임상균주의 쿼럼 센싱 관련 표현형 분석
Analysis of Quorum Sensing-Related Phenotypes of Pseudomonas aeruginosa Clinical Isola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3, 2010년, pp.240 - 247  

정경주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  최유상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  하창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  신정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이준희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결막(conjunctiva), 호흡기(respiratory system),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며,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기전인 쿼럼 센싱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진 기회감염성 병원균이다. 국내의 환자들에게 감염하는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백병원의 환자들로부터 189종의 녹농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 임상 균주들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고체 배지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임상 균주의 79.4%가 녹농균 야생형균주와 비슷하게 쿼럼 센싱 조절의 가장 상위 신호인식-조절단백질인 Las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키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반면 4.2% 정도는 신호물질을 합성하지 못하는 녹농균 돌연변이주와 비슷하게 Las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한편, 전체의 72.5%가 또 다른 쿼럼 신호인식-조절 단백질인 Qsc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야생형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한 반면, 9%가 Qsc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임상 균주들 중 특히 녹농균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서 유래한 74종을 선정하여 병독인자로 중요한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44.6%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이 낮아져 있었으며, 12.2%에서는 프로테아제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같은 균들을 대상으로 만성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막 형성 능력을 확인하였을 때, 대부분이 야생형보다 생물막 형성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또한 이 균주들의 운동성을 살펴본 결과 많은 균주들이 swarming과 twitching 능력이 저해되어 있었으며(전체의 51.4%가 reduced swarming activity, 전체의 41.9%가 reduced twitching activity), 관찰되지 않는 수준의 균주도 상당부분 있었다(전체의 28.4%가 swarming negative, 전체의 28.4%가 twitching negative). 본 연구결과는 쿼럼 센싱을 정상적으로 하는 임상 균주들 중에서도 상당 부분은 프로테아제 생성, 생물막 형성, 운동성 등의 특징들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부 임상 균주들은 그들의 쿼럼 활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독특한 패턴의 프로테아제 생성능과 생물막 형성능 및 운동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monas aeruginosa is a Gram (-)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causing a wide variety of infections on lung, urinary tract, eyes, and burn wound sites and quorum sensing (QS), a cell density-sensing mechanism plays an essential role in Pseudomonas pathogene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 임상환자들에서 분리된 녹농균에서 쿼럼 신호물질 및 생물막 형성에 대한 분석은 아직 폭넓게 수행된 바가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국내 환자들에서 분리된 다량의 녹농균 임상균주들에서 쿼럼 신호물질 생성과 생물막 형성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이 임상균들의 병원성에 대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해 보았다.
  • 3). 본 연구에서는 QS 신호물질을 생성하지 않은 임상 균주들 중에 녹농균이 아닌 것이 잘못 동정된 경우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보다 엄밀하게 녹농균 임을 확인하였고, 녹농균이 아닌 것은 제외하였다(자료 미제시).
  • 임상 균주들의 생물막 형성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앞에서 사용한 74종의 임상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막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임상 균주들을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생물막 형성을 측정하였을 때, 흥미롭게도 대부분이 야생형 PAO1 보다 생물막 형성능력이 떨어져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농균이란 무엇인가?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결막(conjunctiva), 호흡기(respiratory system),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며,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기전인 쿼럼 센싱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진 기회감염성 병원균이다. 국내의 환자들에게 감염하는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백병원의 환자들로부터 189종의 녹농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본 논문은 임상 균주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어떤 방법으로 조사하였는가? 국내의 환자들에게 감염하는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백병원의 환자들로부터 189종의 녹농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 임상 균주들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고체 배지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임상 균주의 79.
부산 백병원 환자들에게 감염된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본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이 임상 균주들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고체 배지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임상 균주의 79.4%가 녹농균 야생형균주와 비슷하게 쿼럼 센싱 조절의 가장 상위 신호인식-조절단백질인 Las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키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반면 4.2% 정도는 신호물질을 합성하지 못하는 녹농균 돌연변이주와 비슷하게 Las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한편, 전체의 72.5%가 또 다른 쿼럼 신호인식-조절 단백질인 Qsc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야생형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한 반면, 9%가 Qsc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임상 균주들 중 특히 녹농균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서 유래한 74종을 선정하여 병독인자로 중요한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44.6%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이 낮아져 있었으며, 12.2%에서는 프로테아제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같은 균들을 대상으로 만성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막 형성 능력을 확인하였을 때, 대부분이 야생형보다 생물막 형성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또한 이 균주들의 운동성을 살펴본 결과 많은 균주들이 swarming과 twitching 능력이 저해되어 있었으며(전체의 51.4%가 reduced swarming activity, 전체의 41.9%가 reduced twitching activity), 관찰되지 않는 수준의 균주도 상당부분 있었다(전체의 28.4%가 swarming negative, 전체의 28.4%가 twitching negative). 본 연구결과는 쿼럼 센싱을 정상적으로 하는 임상 균주들 중에서도 상당 부분은 프로테아제 생성, 생물막 형성, 운동성 등의 특징들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부 임상 균주들은 그들의 쿼럼 활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독특한 패턴의 프로테아제 생성능과 생물막 형성능 및 운동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del-Mawgoud, A.M., F. Lepine, and E. Deziel. 2010. Rhamnolipids: diversity of structures, microbial origins and roles. Appl. Microbiol. Biotechnol. 86, 1323-1336. 

  2. Alionte, L.G., B.M. Cannon, C.D. White, A.R. Caballero, R.J. O'Callaghan, and J.A. Hobden. 2001. Pseudomonas aeruginosa LasA protease and corneal infections. Curr. Eye Res. 22, 266-271. 

  3. An, D., T. Danhorn, C. Fuqua, and M.R. Parsek. 2006. Quorum sensing and motility mediate interactions between Pseudomonas aeruginosa and Agrobacterium tumefaciens in biofilm cocultures. Proc. Natl. Acad. Sci. USA 103, 3828-3833. 

  4. Anderson, R.M., C.A. Zimprich, and L. Rust. 1999. A second operator is involved in Pseudomonas aeruginosa elastase (lasB) activation. J. Bacteriol. 181, 6264-6270. 

  5. Arevalo-Ferro, C., M. Hentzer, G. Reil, A. Gorg, S. Kjelleberg, M. Givskov, K. Riedel, and L. Eberl. 2003. Identification of quorum-sensing regulated proteins in the opportunistic pathogen Pseudomonas aeruginosa by proteomics. Environ. Microbiol. 5, 1350-1369. 

  6. Balaban, N., A. Giacometti, O. Cirioni, Y. Gov, R. Ghiselli, F. Mocchegiani, C. Viticchi, M.S. Del Prete, V. Saba, G. Scalise, and G. Dell'Acqua. 2003. Use of the quorum-sensing inhibitor RNAIII-inhibiting peptide to prevent biofilm formation in vivo by drug-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J. Infect. Dis. 187, 625-630. 

  7. Blackwood, L.L., R.M. Stone, B.H. Iglewski, and J.E. Pennington. 1983. Evalu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and elastase as virulence factors in acute lung infection. Infect. Immun. 39, 198-201. 

  8. Bruno, T.F., D.E. Woods, and C.H. Mody. 2000. Exoenzyme 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induces apoptosis in T lymphocytes. J. Leukoc. Biol. 67, 808-816. 

  9. Chugani, S.A., M. Whiteley, K.M. Lee, D. D'Argenio, C. Manoil, and E.P. Greenberg. 2001. QscR, a modulator of quorum-sensing signal synthesis and virulence in Pseudomonas aeruginosa. Proc. Natl. Acad. Sci. USA 98, 2752-2757. 

  10. Cos, P., K. Tote, T. Horemans, and L. Maes. 2010. Biofilms: An extra hurdle for effective antimicrobial therapy. Curr. Pharm. Des. 16, 2279-2295. 

  11. Davies, D.G., M.R. Parsek, J.P. Pearson, B.H. Iglewski, J.W. Costerton, and E.P. Greenberg. 1998. The involvement of cell-to-cell signals in the development of a bacterial biofilm. Science 280, 295-298. 

  12. Dietrich, L.E., A. Price-Whelan, A. Petersen, M. Whiteley, and D.K. Newman. 2006. The phenazine pyocyanin is a terminal signalling factor in the quorum sensing network of Pseudomonas aeruginosa. Mol. Microbiol. 61, 1308-1321. 

  13. Diggle, S.P., P. Cornelis, P. Williams, and M. Camara. 2006. 4-Quinolone signalling in Pseudomonas aeruginosa: old molecules, new perspectives. Int. J. Med. Microbiol. 296, 83-91. 

  14. Dong, Y.H. and L.H. Zhang. 2005. Quorum sensing and quorum-quenching enzymes. J. Microbiol. 43, 101-109. 

  15. Erickson, D.L., R. Endersby, A. Kirkham, K. Stuber, D.D. Vollman, H.R. Rabin, I. Mitchell, and D.G. Storey. 2002.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sensing systems may control virulence factor expression in the lungs of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Infect. Immun. 70, 1783-1790. 

  16. Henke, J.M. and B.L. Bassler. 2004. Bacterial social engagements. Trends Cell. Biol. 14, 648-656. 

  17. Hentzer, M., H. Wu, J.B. Andersen, K. Riedel, T.B. Rasmussen, N. Bagge, N. Kumar, M.A. Schembri, Z. Song, P. Kristoffersen, M. Manefield, J.W. Costerton, S. Molin, L. Eberl, P. Steinberg, S. Kjelleberg, N. Hoiby, and M. Givskov. 2003. Attenu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virulence by quorum sensing inhibitors. EMBO J. 22, 3803-3815. 

  18. Heydorn, A., B. Ersboll, J. Kato, M. Hentzer, M.R. Parsek, T. Tolker-Nielsen, M. Givskov, and S. Molin. 2002. Statistical analysis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development: impact of mutations in genes involved in twitching motility, cell-to-cell signaling, and stationary-phase sigma factor expression. Appl. Environ. Microbiol. 68, 2008-2017. 

  19. Johnson, M.K. and D. Boese-Marrazzo. 1980.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heat-stable extracellular hemolys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 Immun. 29, 1028-1033. 

  20. Kim, C., J. Kim, H.Y. Park, J.H. Lee, H.J. Park, C.K. Kim, and J. Yoon. 2009. Structural understanding of quorum-sensing inhibitors by molecular modeling study in Pseudomonas aeruginosa. Appl. Microbiol. Biotechnol. 83, 1095-1103. 

  21. Kim, C., J. Kim, H.Y. Park, H.J. Park, C.K. Kim, J. Yoon, and J.H. Lee. 2009. Development of inhibitors against TraR quorumsensing system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by molecular modeling of the ligand-receptor interaction. Mol. Cells 28, 447-453. 

  22. Lee, J.H., Y. Lequette, and E.P. Greenberg. 2006. Activity of purified QscR, a Pseudomonas aeruginosa orphan quorumsensing transcription factor. Mol. Microbiol. 59, 602-609. 

  23. Lequette, Y., J.H. Lee, F. Ledgham, A. Lazdunski, and E.P. Greenberg. 2006. A distinct QscR regulon in the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sensing circuit. J. Bacteriol. 188, 3365-3370. 

  24. Matsumoto, K. 2004. Role of bacterial proteases in pseudomonal and serratial keratitis. Biol. Chem. 385, 1007-1016. 

  25. O'Toole, G.A. and R. Kolter. 1998. Flagellar and twitching motility are necessary for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development. Mol. Microbiol. 30, 295-304. 

  26. Page, M.G. and J. Heim. 2009. Prospects for the next anti- Pseudomonas drug. Curr. Opin. Pharmacol. 9, 558-565. 

  27. Parsek, M.R. and E.P. Greenberg. 2005. Sociomicrobiology: the connections between quorum sensing and biofilms. Trends Microbiol. 13, 27-33. 

  28. Purevdorj, B., J.W. Costerton, and P. Stoodley. 2002. Influence of hydrodynamics and cell signaling on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Appl. Environ. Microbiol. 68, 4457-4464. 

  29. Reading, N.C. and V. Sperandio. 2006. Quorum sensing: the many languages of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254, 1-11. 

  30. Rumbaugh, K.P., A.N. Hamood, and J.A. Griswold. 2004. Cytokine induction by the P. aeruginosa quorum sensing system during thermal injury. J. Surg. Res. 116, 137-144. 

  31. Schaber, J.A., N.L. Carty, N.A. McDonald, E.D. Graham, R. Cheluvappa, J.A. Griswold, and A.N. Hamood. 2004. Analysis of quorum sensing-deficient clinical isolates of Pseudomonas aeruginosa. J. Med. Microbiol. 53, 841-853. 

  32. Schaber, J.A., A. Hammond, N.L. Carty, S.C. Williams, J.A. Colmer-Hamood, B.H. Burrowes, V. Dhevan, J.A. Griswold, and A.N. Hamood. 2007. Diversity of biofilms produced by quorum-sensing-deficient clinical isolates of Pseudomonas aeruginosa. J. Med. Microbiol. 56, 738-748. 

  33. Schuster, M. and E.P. Greenberg. 2006. A network of networks: quorum-sensing gene regulation in Pseudomonas aeruginosa. Int. J. Med. Microbiol. 296, 73-81. 

  34. Schuster, M., C.P. Lostroh, T. Ogi, and E.P. Greenberg. 2003. Identification, timing, and signal specific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controlled genes: a transcriptome analysis. J. Bacteriol. 185, 2066-2079. 

  35. Schuster, M., M.L. Urbanowski, and E.P. Greenberg. 2004. Promoter specificity in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 sensing revealed by DNA binding of purified LasR. Proc. Natl. Acad. Sci. USA 101, 15833-15839. 

  36. Shrout, J.D., D.L. Chopp, C.L. Just, M. Hentzer, M. Givskov, and M.R. Parsek. 2006. The impact of quorum sensing and swarming motil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formation is nutritionally conditional. Mol. Microbiol. 62, 1264-1277. 

  37. Storey, D.G., E.E. Ujack, H.R. Rabin, and I. Mitchell. 1998. Pseudomonas aeruginosa lasR transcription correlates with the transcription of lasA, lasB, and toxA in chronic lung infections associated with cystic fibrosis. Infect. Immun. 66, 2521-2528. 

  38. Tang, A., M.E. Marquart, J.D. Fratkin, C.C. McCormick, A.R. Caballero, H.P. Gatlin, and R.J. O'Callaghan. 2009. Properties of PASP: a Pseudomonas protease capable of mediating corneal eros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50, 3794-3801. 

  39. Welch, M., H. Mikkelsen, J.E. Swatton, D. Smith, G.L. Thomas, F.G. Glansdorp, and D.R. Spring. 2005. Cell-cell communication in Gram-negative bacteria. Mol. Biosyst. 1, 196-202. 

  40. Whiteley, M., K.M. Lee, and E.P. Greenberg. 1999. Identification of genes controlled by quorum sensing in Pseudomonas aeruginosa. Proc. Natl. Acad. Sci. USA 96, 13904-13909. 

  41. Williams, P. 2007. Quorum sensing, communication and cross-kingdom signalling in the bacterial world. Microbiology 153, 3923-3938. 

  42. Ymele-Leki, P. and J.M. Ross. 2007. Erosion from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s grown under physiologically relevant fluid shear forces yields bacterial cells with reduced avidity to collagen. Appl. Environ. Microbiol. 73, 1834-18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