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 상태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론 평가
Program Theory Evaluation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165 - 175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gram theory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The program evaluated is a tailored intervention for multiple health behavior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which is in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프로그램 이론 평가의 영역은 중재 프로그램의 활동을 통해 행동변화가 야기되는 인과관계로서의 프로그램 영향 이론(program impact theory)과 프로그램 전달과 활용, 프로그램 구성과 실행을 위한 자원, 행정, 운영 등에 관한 프로그램 과정 이론(program process theory)으로 구분할 수 있다(Rossi 등, 2004). 이 중 프로그램 내용 외적인 운영과 수행 측면의 평가 이전에 프로그램 내용의 이론적 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영향 이론 측면으로 한정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미 시행이 되어 결과 평가가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평가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구성과 시행 결과 측면을 모두 부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프로그램 이론은 독립적으로 평가할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의 중요한 측면으로, 프로그램 이론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기반이 약하거나 잘못된 개념정립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은 기대한 결과를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국 단위 대사증후군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론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여 프로그램이 기획모형으로 수용한 Intervention Mapping의 중재 프로그램 개발원칙에 부합하는지와 중재 방법과 전략이 범이론적 모형의 적용이 적절했는지를 진단하였다.
  • 대사증후군과 같이 일상 생활습관 인자가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면서 유소견율이 높고, 만성질환으로의 진전 가능성 역시 높은 건강 문제를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견고한 구성은 프로그램의 효과 입증 강화와 연구 및 교육 훈련 측면의 가치 등 여러 모로 의미가 있고 시도되어야 할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행동 이론에 의거한 전국 단위 대사증후군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의 이론적 구성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 Intervention Mapping의 목표구성표 평가는 중재를 함으로 해서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행동영역,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행동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수반되어야 하는 수행목표와 변화목표들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이들 간의 조합을 검토하는 작업으로서 의의가 있다. 특히 각각의 변화목표들이 상담 매뉴얼과 건강책자의 내용으로 다루어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들이 중재 활동 지침으로 연결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상담을 통해 지식 증강과 기술 함양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것처럼 여러 개의 변화목표가 한 종류의 중재 활동 안에서 다뤄질 수 있으므로 목표구성표 상의 변화목표마다 중재활동을 조합하는 분석은 비현실적이었고, 대신 행동 변화단계 별로 이론 기반 건강 상담 전략과 건강책자 내용의 중재 영역과 과정을 일일이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생활습관 중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생활습관 중 대표적인 것은 흡연, 음주, 고열량 고지방 고염도 식이, 신체활동 부족,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흡연은 H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높여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고(Shimokata 등 1989; Lee 등, 1998), 신체활동의 증가는 체중감소와 인슐린 감수성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Blair, 1995).
흡연은 어떻게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생활습관 중 대표적인 것은 흡연, 음주, 고열량 고지방 고염도 식이, 신체활동 부족,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흡연은 H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높여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고(Shimokata 등 1989; Lee 등, 1998), 신체활동의 증가는 체중감소와 인슐린 감수성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Blair, 1995). 또한 근래에는 스트레스와 코르티졸(cortisol) 분비가 비만과 당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최영근 등, 2009).
평가대상 중재 프로그램의 식이 영역은 어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평가대상 중재 프로그램은 건강행동 및 생활습관 측면에서 대사증후군 관련 생활습관(식이, 운동, 흡연, 음주, 스트레스의 관리)을 기대 결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기본 과정으로 대사증후군에 대한 이해 증진을 포함하고 있었다. 식이 영역은 균형식, 저열량식, 저지방식, 채소와 과일섭취 증가의 4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총 9개 영역1)에 대해 각각 목표구성표를 작성하여 이 프로그램의 수행목표와 변화목표를 검토하였다. Intervention Mapping 모형에 따른 목표구성표는 유승현과 김혜경(2010)의 연구에서 제시한 형식<표 3>2)을 기초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병성.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1;2(1):17-25. 

  2. 서울시 대사증후군 관리사업 지원단. 서울시와 5樂하자!http://www.5check.or.kr. 2009. 

  3. 유승현, 김혜경. 건강증진 기획모형의 중재기획 단계 비교:PRECEDE-PROCEED와 Intervention Mapping.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10; 27(2): 141-149. 

  4. 이은희, 김혜경, 이윤희, 문순영, 권은주, 지선하.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이 성인의 건강생활습관실천과 대사증후군개선에 미치는 효과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2007;24(3):1-19. 

  5. 중앙일보. 한국대사증후군포럼 발족. 중앙일보 2010년 10월 25 일자. 

  6. 최영근, 오한진, 주일우. 한국 폐경 여성에서 생물학적 스트레스 지표와 대사증후군의 요소.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9; 9(1): 50-55. 

  7.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Diet and lifestyle recommendations revision 2006: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Circulation, 2006;114:82-96. 

  8. Bartholomew LK, Parcel GS, Kok G, Gottlieb NH.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Intervention Mapping,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6. 

  9. Blair SN. Changes in physical fitness and all cause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healty and unhealthy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273:1093-1098. 

  10.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5:2486-2497. 

  11. Meigs JB. Invited commentary: Insulin resistance syndrome? Syndrome X? Multiple metabolic syndrome? A syndrome at all? Factor analysis reveals patterns in the fabric of correlated metabolic risk factor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0;152:908-911. 

  12. Meigs JB.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02;8(11 Suppl):S282-S292. 

  13. Ohta Y, Tsuchihashi T, Ueno M, Kajioka T, Onaka U, Tominaga M. et al. relationp between the awareness of salt restriction and the actual salt intake in hypertensive patients. Hypertension Research, 2004;27:243-246. 

  14. Riccardi G, Rivellese A. Dietary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optimal diet.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0;83:S143-S148. 

  15. Rossi PH, Lipsey MW, Freeman HE.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7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4. 

  16. Saito I, Murata K, Hirose H, Tsujioka M, Kawabe H. 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control, body mass index, and intensity of medical treatment. Hypertension Research, 2003:26:711-715. 

  17. Sattar N, Gaw A, Scherbakova O, et al. Metabolic syndrome with and without C-reactive protein as a predi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diabetes in the West of Scotland Coronary Prevention Study. Circulation, 2003;108:414?419. 

  18. Uzu T, Kimura G, Yamaguchi A, Kanasaki M, Isshiki K, Araki S. et al. Enhanced sodium sensitivity and disturbed circadian rhythm of blood pressure in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2006;24:1627-16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