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신선편이 농산물 사용실태 및 요구도 평가
Assessment of Demand and Use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909 - 919  

손시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김주희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김수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박혜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기창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행란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 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와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실태와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업종형태에서는 학교급식이 181명(29.8%)이었고, 외식산업은 64명(26.1%)이었다. 학교급식의 운영형태는 148개교(81.8%)가 직영급식으로, 33개교(18.2%)가 위탁급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외식업체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45.3%)이 가장 많았다. 식재료 공급업체 선정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에서 식재료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의 경우 공급업체의 위생시설(HACCP인증 여부)이 외식산업의 경우 식재료의 가격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구매 시 어려운 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 및 신선도 저하가, 검수 시 어려운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여부를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움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식재료의 품질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다. 또한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조리시 가장 큰 문제점은 학교급식에서는 재세척의 필요성이, 외식업체에서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으로 직영에서는 1개월이 39.2%로 가장 많은 반면 위탁에서는 1년 이상이 81.8%로 가장 많아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 확대 가능성에 대해 급식 및 외식에서 각각 44.4%와 58.1%가 앞으로 계속 사용이 증가할 것이며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크기 규격화도 과반수 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으로 학교급식의 96.0%, 외식산업의 78.3%가 개봉 후 다시 세척을 하고 있었으며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형태에서는 학교급식과 외식산업 모두 일반농산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를 사용하는 주된 용도로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 모두 볶음과 무침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식재료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해 저온유통과 포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졌으며 또한 향후 식재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 포장 개봉 후 갈변 예방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처리단계 요구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학교급식의 경우 엽채류는 흙먼지제거 단계(36.4%)까지, 외식산업의 경우 다듬기 단계(36.8%)까지 원하였고, 나물류는 학교급식의 경우 40.4%가 데치기 단계까지 원한 반면, 외식업체의 경우 33.3%가 다듬기 단계까지를 원해 업종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는 크지만 공급업체에 대한 불신, 식재료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사용률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는 대다수의 식재료 공급업체가 중소기업으로 자체적으로 고품질의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시설 및 공정별 HACCP 모델 개발 등과 같은 연구지원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and use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The subjects of this survey study were 200 school nutritionists and 70 cooks or managers in the restaurant industry nationwide.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 식재료로서 전처리 농산물 사용 실태를 비교하고 학교급식의 영양사와 외식업체의 매니저 또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전처리 농산물 사용에 대한 문제점과 전처리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 각각 전처리 농산물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 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와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실태와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업종형태에서는 학교급식이 181명(29.
  •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 식재료로서 전처리 농산물 사용 실태를 비교하고 학교급식의 영양사와 외식업체의 매니저 또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전처리 농산물 사용에 대한 문제점과 전처리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 각각 전처리 농산물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포장라벨의 표시내용은 크기규격, 원산지, 유통 기한, 이력추적관리제도, 사용용도, 위해요소의 유무 및 수준, 식재료의 저장성에 대한 정보의 7개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각 항목은 Likert 유형 5점 척도를 이용하여 1점(전혀 필요하지 않다)에서 5점(매우 필요하다)의 범위에서 응답하도록 하였다.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원산지로부터 원하는 인증형태,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요구사항, 식재료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처리단계 요구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1: do not need very much, 3: average, 5: need very much.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처리 농산물은 무엇인가? 전처리 농산물은 수확 후 세척, 선별, 박피 및 절단 등의 단순가공을 통해 즉시 조리에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된 식재료로 국내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fresh-cut produce)”로도 표현되고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이 농산물은 주로 fast food 및 패밀리레스토랑 등에 공급되는 양상추 단일 품목 및 로메인 상추, 적채, 치커리, 양배추 등이 혼합된 샐러드용 엽채류가 가장 많다.
학교급식과 같은 단체 급식에서 전처리 농산물의 사용은 어떤 이점이 있는가? 그리고 외국과 달리 양파(박피, 절단), 감자(박피, 다이스절단), 마늘(박피, 세절) 등의 생산이 많고, 당근(슬라이스, 채), 파 등도 절단 세척되어 판매되고 있다(7). 학교급식과 같은 단체급식에서 전처리 농산물의 사용은 원물 사용 시 비위생적인 요인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보관과 조리작업에서 전처리 작업 단계를 단축시킴으로써 교차오염과 같은 식중독 발생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8). 그러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신선도 및 위생문제가 전처리 농산물 사용의 걸림돌로 지적되어 왔다(9).
신선편이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정책방향으로 안정적 공급 거래 유지와 품질규격 개선의 중요성이 지적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신선편이 농산물 시장 실태조사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선편이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외식체인점의 확대, 독신가구 및 맞벌이 증가 등 인구 사회적 요인의 변화 등에 따라서도 계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차후 신선편이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정책방향으로 “안정적 공급거래 유지”, “품질규격 개선”의 중요성이 지적되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SH, Yoo JL. 2009. Distribution trend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of preprocessed foods in Korea. Korea Association of Distribution, Spring Conference Publication Papers, Seoul, Korea. p 61-80. 

  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Foodborne Illness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3. Lee KM, Ryu K. 2007.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50-663. 

  4. Song HY. 2009. Management of preprocessed food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 Food World, Seoul, Korea. Vol 10, p 97-102. 

  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School public and the direction of foodservice. Available from:http://www.mest.go.kr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Guideline of school foodservice sanitation. 

  7. Fresh-cut Produce Association. 2009. Fresh-cut in Korea.Available from: http://www.kfreshcut.com 

  8. Jin HB, Choe EO. 2000. Perception on using preprocessed foods among dieticians employed in elementary schoolfoodservices in Inchon. Korean J Diet Cult 15: 379-386. 

  9. Lee SJ, Lee SM. 2006. Survey on the use of pre-processed food materials in school foodservices in the Kyunggi area.Korean J Food Cookery Sci 23: 553-564. 

  10. Lee YS, Kim SH, Kim DH. 2009. Current status of fresh-cut produce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 1-203. 

  11. Lee SJ, Lee SM. 2006. The study on the quality of preprocessed vegetables in school and institutional foodservice.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28-634.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Code of Food. p 210-211. 

  13. Jin HB, Choe EO. 2001. Survey on the use of preprocessed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in Incheon. JKorean Soc Food Culture 16: 250-259. 

  14. Lyu ES, Lee DS. 2001. Dietitians' perception on usage ofcook/chill vegetables in institution foodservice. J KoreanSoc Food Sci Nutr 30: 1293-1300. 

  15. Um HJ, Kim DM, Choi KH, Kim GH. 2005. A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of fresh-cut agri-food products forquality enhanc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566-1571. 

  16. Kang HY, Jung EH, Rhie SG. 2009. Food materials for school foodservices on high-quality products, local productsand fresh-cut products-Dietitian's choice in elementary,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 397-411. 

  17. Yun HJ, Chang HJ. 2009. Effectiveness of the preprocessed foods on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s.J Korean Diet Assoc 5: 262-277. 

  18. Ryu K. 2007. Status of supplier status and the practical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for self-operated school food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 Nutr 20: 226-239. 

  19. Lee JS, Eun JY. 2001. The assessment of food supplier'swork importance and performance-with special referenceto agricultural goods-. J Korean Soc Food Culture 16:407-415. 

  20. Kwock CK, Jang JK. 2008. The promotion strategies of wellbeing food industry-focusing on fresh-cut produce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 17-27. 

  21. Lee JY. 1996.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system especially to food purchasing management. 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16: 55-70. 

  22. Kim KA, Kim SY, Jung LH. 1999. A survey of the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I.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f the dietitian in the Kwangju & Chonnam area-. Korean J Soc Food Sci 15: 133-145. 

  23. Kim MK, Lee SM. 2004. Management technique and processing of preprocessed food materials for school foodservice.Food Technology, Seoul, Korea. Vol 17, p 76-87. 

  24. Shin WS, Hong WS, Lee KE. 2008.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Nutr 37: 379-389. 

  2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Amendment act of food standard and specification (2009-73).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26. NongHyup. 2008.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uideline.Seoul, Korea. p 1-84. 

  27. Kim EM, Hong SP, Lee MA, Jeong MK, Cho TO. 2008.Study on establishment of food material size specificationbased on elementary school menus. J Korean Soc FoodSci Nutr 37: 1058-1068. 

  28. Jung JY, Shin SH, Choi JH, Jeong MC. 2008. Browning and quality changes of fresh-cut iceberg lettuce by gas flushing packagings. Korean J Hortic Sci 26: 406-4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