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ongyloides stercoralis is an intestinal nematode that is a parasite to humans. The infecting filariform larvae of S. stercoralis enters the host body via the bloodstream, passes through the lungs, penetrates the alveoli, and then ascends the airway to transit down the esophagus into the small b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비소세포폐암(선암)으로 인한 전신적인 영양 결핍과 척추관 협착증의 통증 해소를 위해 다량의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여 면역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에서 분선충의 자가감염으로 인한 중감염이 초래되어 급성 호흡부전과 장천공이 발생한 치명적인 분선충 감염 증례이다.
  • 외국의 경우 분선충의 자가감염에 의한 중감염의 보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었고 특히 급성호흡부전과 장천공을 동반한 치명적인 분선충 감염의 증례는 없었다. 이에 저자 등은 폐암환자에서 급성호흡부전과 장천공을 동반한 분선충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선충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은 주로 아열대 지역이나 고온 다습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기생 세대와 자유 세대로 생활사가 분류되는 선충류이다 1,2 . 면역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는 분선충 감염이 있어도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나, 스테로이드제제 등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거나, 만성질환이나 악성 종양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피부를 통해서 감염이 되면 반복해서 자가감염(autoinfection)이 발생하고, 대량의 자가감염에 의한 중감염(hyperinfection)을 초래하여 치명적일 수있다 3 .
분선충은 무엇인가?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은 주로 아열대 지역이나 고온 다습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기생 세대와 자유 세대로 생활사가 분류되는 선충류이다 1,2 . 면역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는 분선충 감염이 있어도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나, 스테로이드제제 등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거나, 만성질환이나 악성 종양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피부를 통해서 감염이 되면 반복해서 자가감염(autoinfection)이 발생하고, 대량의 자가감염에 의한 중감염(hyperinfection)을 초래하여 치명적일 수있다 3 .
대량의 자가감염에 의한 중감염의 사망률은 얼마인가? 면역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는 분선충 감염이 있어도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나, 스테로이드제제 등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거나, 만성질환이나 악성 종양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피부를 통해서 감염이 되면 반복해서 자가감염(autoinfection)이 발생하고, 대량의 자가감염에 의한 중감염(hyperinfection)을 초래하여 치명적일 수있다 3 . 이런 중감염이 있으면 사망률이 약 77%에 이른다. 감염성이 있는 제3기 유충인 filariform larvae는 노출된 피부를 통하여 체내로 들어와서 자가감염이 일어나면 이후 모세혈관을 통해 폐포강으로 이동하고 폐포에서 상기 도로 올라가서 흡인에 의해서 최종 목적지인 소장에서 성충이 된다 4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egarra-Newnham M. Manifestation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trongyloides stercoralis infection. Ann Pharmacother 2007;41:1992-2001. 

  2. Pearlman E. Pathogenesis and immunity in helminthic infection. In: Mahmoud AA, editor. Parasitic lung diseases. New York: Marcel Dekker; 1997. p. 33-46. 

  3. Keiser PB, Nutman TB. Strongyloides stercoralis in the immunocompromised population. Clin Microbiol Rev 2004;17:208-17. 

  4. Weller PF. Eosinophilia and eosinophil-related disorders. In: Adkinson NF Jr, Busse WW, Bochner BS, Holgate ST, Simons FE, Lemanske RF Jr, editors. Middleton's allergy: principles & practice. 7th ed. Philadelphia: Mosby; 2009. p. 859-77. 

  5. Siddiqui AA, Berk SL. Diagnosis of Strongyloides stercoralis infection. Clin Infect Dis 2001;33:1040-7. 

  6. Wehner JH, Kirsch CM. Pulmonary manifestations of strongyloidiasis. Semin Respir Infect 1997;12:122-9. 

  7. Mahmoud AA. Strongyloidiasis. Clin Infect Dis 1996;23:949-52. 

  8. Fishman JA. Helminthic diseases of the lungs. In: Fishman AP, Elias JA, Fishman JA, Grippi MA, Senior RM, Pack AI, editors. Fishman's pulmonary diseases and disorders.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8. p. 2413- 26. 

  9. Newberry AM, Williams DN, Stauffer WM, Boulware DR, Hendel-Paterson BR, Walker PF. Strongyloides hyperinfection presenting as acute respiratory failure and gram negative sepsis. Chest 2005;128:3681-4. 

  10. Feldman M, Friedman LS, Sleisenger MH.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7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2. p. 1954-5. 

  11. Wilson ME, Weller PF. Eosinophilia. In: Guerrant RL, Walker DH, Weller PF, editors. Tropical infectious diseases: principles, pathogenesis,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2006. p. 1478-95. 

  12. Savage D, Foadi M, Haworth C, Grant A. Marked eosinophilia in an immunosuppressed patient with strongyloidiasis. J Intern Med 1994;236:473-5. 

  13. Gill GV, Bailey JW. Eosinophilia as a marker for chronic strongyloidiasis: use of a serum ELISA test to detect asymptomatic cases. Ann Trop Med Parasitol 1989;83:249-52. 

  14. Igual-Adell R, Oltra-Alcaraz C, Soler-Company E, Sanchez-Sanchez P, Matogo-Oyana J, Rodriguez-Calabuig D. Efficacy and safety of ivermectin and thiabendazole in the treatment of strongyloidiasis. Expert Opin Pharmacother 2004;5:2615-9. 

  15. Satoh M, Kokaze A. Treatment strategies in controlling strongyloidiasis. Expert Opin Pharmacother 2004;5:2293-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