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대학병원에서 급성 폐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
Acute Pulmonary Embolis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68 no.3 = no.302, 2010년, pp.140 - 145  

채진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원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지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노병학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김재범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ulmonary embolism (PE)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in the West that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diagnostic modality has been changed since 2001.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E mortalit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진단방법이 변화된 시점에서 폐색전증의 예후 및 임상양상을 기술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는 2년 반 동안 단일 병원에서 16채널(channel) CT가 도입된 이후 진단 된 폐색전증 환자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폐색전증의 예후 및 위험인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진단방법이 변화된 시점에서 폐색전증의 예후 및 임상양상을 기술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는 2년 반 동안 단일 병원에서 16채널(channel) CT가 도입된 이후 진단 된 폐색전증 환자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폐색전증의 예후 및 위험인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폐색전증 진단에 표준 진단법으로 자리매김된 것은? 다기관 무작위 임상시험결과에서도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를 이용한 군이 폐 환기 관류 스캔을 이용한 군에 비해 폐색전증 진단율이 5% 가량 높음이 보고된 바 있고6, MDCT 사용이 폐색전증의 발생률 증가와 사망률 감소에 기여함이 밝혀진 바 있다7. 국내의 많은 병원에서 MDCT를 이용하여 폐색전증을 진단하고 있으며, 현재 computed tomographic pulmonary angiography (CTPA)는 폐색전증의 진단에 표준 진단법으로 자리매김 되었다8.
폐색전증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인 이유는? 폐색전증은 질병 자체로 인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치료 중의 출혈에 의한 합병증, 그리고 재발로 인한 위험성을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폐색전증의 임상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대부분 다채널 검출기 전산화 단층 폐혈관 조영술을 시행하기 이전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1-4.
진단방법이 변화된 시점에서 폐색전증의 예후 및 임상양상을 기술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을 때 선정한 연구 대상자는? 2005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의 입원 및 외래 환자 혹은 응급실 방문 환자 중에서 CTPA를 시행한 후 폐색전증으로 확진 받은 환자 102예와 폐 환기 관류 스캔을 통해서 확진된 3예를 포함하여 총 10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폐색전증이 처음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성 폐색전증 환자는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ark YS, Ha JW, Kwon KH, Jang YS, Chung NS, Shim WH,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for patients with acute major pulmonary embolism. Korean J Med 2000;58:293-300. 

  2. Lee GL, Kim JY, Park JS, Yoo CG, Kim YW, Shim YS, et al. Clinical study of the patients, in whom pulmonary embolism was suspected by lung perfusion scan. Tuberc Respir Dis 1997;44:889-98. 

  3. Lee SS, Lim CM, Song KS, Sung KB, Koh YS, Lee SD, et al. The value of spiral computed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embolism. Korean J Med 1997;53:787-94. 

  4. Lee S, Jeong H, In K, Yoo S, Kim S, Kim J,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Korea. Int J Cardiol 2006;108:84-8. 

  5. Stein PD, Fowler SE, Goodman LR, Gottschalk A, Hales CA, Hull RD, et a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for acute pulmonary embolism. N Engl J Med 2006;354:2317-27. 

  6. Anderson DR, Kahn SR, Rodger MA, Kovacs MJ, Morris T, Hirsch A, et al. Computed tomographic pulmonary angiography vs ventilation-perfusion lung scanning in patients with suspected pulmonary embolis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7;298:2743-53. 

  7. DeMonaco NA, Dang Q, Kapoor WN, Ragni MV. Pulmonary embolism incidence is increasing with use of spiral computed tomography. Am J Med 2008;121:611-7. 

  8. British Thoracic Society Standards of Care Committee Pulmonary Embolism Guideline Development Group. British Thoracic Societ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uspected acute pulmonary embolism. Thorax 2003;58:470-83. 

  9. Wells PS, Anderson DR, Rodger M, Stiell I, Dreyer JF, Barnes D, et al. Excluding pulmonary embolism at the bedside without diagnostic imaging: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uspected pulmonary embolism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by using a simple clinical model and d-dimer. Ann Intern Med 2001;135:98-107. 

  10. Goldhaber SZ, Visani L, De Rosa M. Acute pulmonary embolism: clinical outcomes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Pulmonary Embolism Registry (ICOPER). Lancet 1999;353:1386-9. 

  11. Jang MJ, Choi WI, Bang SM, Lee T, Kim YK, Ageno W, et al. Metabolic syndrome is associated with venous thromboembolism in the Korean popul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9;29:311-5. 

  12. Lee JW, Cha SI, Jung CY, Choi WI, Jeon KN, Yoo SS, et al. Clinical course of pulmonary embolism in lung cancer patients. Respiration 2009;78:42-8. 

  13. Sorensen HT, Mellemkjaer L, Olsen JH, Baron JA. Prognosis of cancers associated with venous thromboembolism. N Engl J Med 2000;343:1846-50. 

  14. Seligsohn U, Lubetsky A. Genetic susceptibility to venous thrombosis. N Engl J Med 2001;344:1222-31. 

  15. Lee A, Song KS. Screening results of AT III, protein C and S, and APC resistance for diagnosis of inheritied thrombophilia. Korean J Thromb Hemost 1995;2:147-53. 

  16. Kim HK, Na JO, Ahn JJ, Park YB, Lim JM, Hong SB,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between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nd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Tuberc Respir Dis 2005;59:170-8. 

  17. Suehisa E, Nomura T, Kawasaki T, Kanakura Y. Frequency of natural coagulation inhibitor (antithrombin III, protein C and protein S) deficiencies in Japanese patients with spontaneous deep vein thrombosis. Blood Coagul Fibrinolysis 2001;12:95-9. 

  18. Tabernero MD, Tomas JF, Alberca I, Orfao A, Lopez Borrasca A, Vicente V.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reditary disorders associated with venous thrombosis. Am J Hematol 1991;36:249-54. 

  19. De Stefano V, Finazzi G, Mannucci PM. Inherited thrombophilia: pathogenesis, clinical syndromes, and management. Blood 1996;87:35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