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위해성평가 모델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농경지 적합성 평가
Suit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e of Soils Adjacent to Abandoned Mining Areas Using Different Human Risk Assessment Model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5, 2010년, pp.674 - 683  

이준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김영남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주변 농경지 용도의 경작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토양의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인 한국, 미국 및 영국의 위해성평가를 이용하였다. 예비위해성평가를 통하여 선택한 DM, MG 및 KS광산을 위해성평가 대상 지역으로 선택하여 토양 및 농작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후 토양과 농작물 시료 중 중금속 분석을 통하여 위해성 평가 및 농경지 적합성 판단을 위한 변수를 확보하였다. 토양 중 중금속 분석결과, 환경부 보고서에 수록된 수치보다 토양 중 중금속의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상 광산지역 모두에서 토양 중 Cd의 함량이 토양 환경보전법의 1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3와 S6지역은 As함량이 각각 1 지역의 대책기준과 우려기준을 초과하였다. 농작물 내 중금속 농도는 작물의 중금속 한계 농도를 근거로 DM광산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 콩, 옥수수에서 Zn의 경우에만 오염식물의 범위로 판단되었으며, 이 외의 중금속 함량은 Kabata-pendias and Pendias의 일반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식물의 배경농도 범위에 비교하여 안전한 수준을 보였다. 위해성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위해 성평가 모델의 경우, MG광산과 KS광산에서 농작물 내 Pb에 의한 인체 위해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고, 영국의 모델에서는 조사 전 지역에서 농작물의 Pb에 의한 독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후 위해성평가 모델을 통한 토양 중 중금속의 오염기준을 한국의 정화목표치과 영국의 토양지침값으로 도출하고, 현재 토양 중 중금속 농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현재 토양 중 중금속의 농도가 영국의 토양지침값을 초과하여 MG광산, DM광산 및 KS광산지역에서 농경지 용도로 토지를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오염물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gricultural suitability of the cultivated upland nearby abandoned mining areas in Korea using three different scientific risk assessment models of Korea, USA and UK. For this, three mining sites DM, MG and KS were selected among 687 abandoned mines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 및 국내의 위해성평가 모델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높은 농도로 축적되어 있는 폐광산 주변 농경지의 토양 및 식물체에 대한 인체 위해성을 예비위해성평가 및 실증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위해성평가결과를 활용하여 현재 사용 중인 폐광산 주변 농경지의 용도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 토양에 유입된 오염물질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은? 휴· 폐광산 주변 농경지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과거의 채광이나 선광· 제련과정 등의 광산활동으로 인한 폐석, 광물찌꺼기, 광미 등과 같은 오염물질들이 강우나 바람에 의해 주변 토양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농경지 토양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휴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농민 및 작물을 섭취하는 외지인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오염지역 내 오염물질의 존재나 처리방법 등의 오염도 평가뿐만 아니라, 중금속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인체위해성 평가 모델이 오염물질의 관리 및 오염환경 복원 전략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시화 및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른 문제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세계적으로 도시화 및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으로 인해 인간 삶의 질은 점점 향상되었다. 하지만, 무차별적인 개발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지구는 수많은 오염물질들로 인해 오염되었고 이로 인한 피해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수많은 오염 물질들 중 중금속은 다양한 이동매체를 통하여 휴· 폐광산, 제련공장, 도금제조의 폐수, 군사활동, 에너지원폐기물 등의 오염원으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환경에 노출된 중금속은 독성을 지닌 화학적 형태로 주변 토양 및 지하수에 존재하고 있다 (Adriano, 1986; Cherian and Oliveira, 2005).
휴· 폐광산 주변 농경지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라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중금속 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지만 휴․ 폐광산 주변의 농경지 토양에는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독성 중금속들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Park, 1997). 휴· 폐광산 주변 농경지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과거의 채광이나 선광· 제련과정 등의 광산활동으로 인한 폐석, 광물찌꺼기, 광미 등과 같은 오염물질들이 강우나 바람에 의해 주변 토양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농경지 토양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휴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농민 및 작물을 섭취하는 외지인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driano, D.C. 1986. Trace element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Verlag, New York. 

  2. Cherian, S. and M.M. Oliveira. 2005. Transgenic Plants in Phytoremediation: Recent Adavance and New Possibiliti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9: 9377-9390. 

  3. Cresser M.S. and J.W. Parsons. 1979. Sulfuric-perchloric acid digestion of plant material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Analytica Chimica Acta 109:431-436. 

  4. DEFRA. 2002. Note on the withdrawal of ICRCL trigger values. CLAN 3/02. 

  5. DEFRA. and EA. 2002. The Contaminated Land Exposure Assessment Model (CLEA). Technical basis and algorithms. R & D Publication, UK. 

  6. EPA. 1991a.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RAGS). Volume I : Human health evaluation manial (HHEM), part B, development of risk-based preliminary remediation goals. 

  7. EPA. 1991b.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RAGS). Volume I : Human health evaluation manial (HHEM), supplemental guidance, Standard Default Exposure Factors, Interim Guidance. 

  8. EPA. 1998.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ediments, sludgeds, soils and oils (EPA 3051a). 

  9. Gu, J.M., K.S. Kim, J.I. Dong, Y.H. Park, W.G. Bae, J.W. Yang, I.T. Yeom, S.P. Yoon, J.Y. Lee, J.S. Lee, Y.Y. Jang, J.C. Jung, S.I. Choi, K.Y. Hwang, and J.S. Hwang. 2001. Soil Environmental Engineering. Hyangmunsa. pp.148-175. 

  10. Kabata-Pendias, A. and H. Pendias, 1984.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Inc. United States. p.315. 

  11. KIGAM. 2005. Soil Contamination Survey of Areas around Abandoned Mining sites. Korea Institute of Goescience and Mineral Resoureces. 

  12. Miller, W.P. and D.M. Miller. 1987. A micro pipette method for soil mechanical analysi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18:1-15.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The Analysis Method of Soil Contamin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Overall Condition Survey of the Soils Contaminat-ed Around Abandoned Mining Areas. Department of Soil & Groundwater, Korea.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Risk assessement guideline for contaminted land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pp.12. 

  17. Nelson, D.W. and L.E. Sommers. 1996. Total carbon, organic carbon, and organic matter. In: A.L. Page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2nd ed. Agronomy 9:961-1110. 

  18. Park, Y.H. 1997. A Scheme for the Management System of Soil Quality Survey Data. Korea Institute of Policy Evaluations. p.6-8. 

  19. Park, Y.H., M.J. Kim, S.W. Jung, Y.H. Lee, M.J. Kim, and J.E. Jo. 2003. A Study for Standards of Soil Contamination and Restoration by land-use. Korea Institute of Policy Evaluations. 

  20. Thomas, G.W. 1996. Soil pH and soil acidity. In D.L. Sparks, A.L. Page, P.A. Helemke, R.H. Loeppert, P.N. Soltanpour, M.A. Tabatabai, C.T. Johnston and M.E. Sumner (eds.) Method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SSSA book series 5. SSSA and ASA, Madison, WI. pp.475-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