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nisakis 연구를 위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리녹스 Cent OS 시스템이 설치된 Xeon 3.2 GHz cpu의 인텔 서버플랫폼 ZSS130 (삼성) 서버에 구축하였다. 운영체제를 설치한 후에 common gate interface(cgi) 기반의 웹서버 (http://www.anisakis.org)를 구축하고 NCBI에서 제공하는 WebBLAST 프로그램을 설치하였다. Anisakis 연구를 위한 웹기반 데이터베이스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축하였다. 우선 회충목에 속하는 각종 서열(염기서열/ 아미노산서열, EST 서열, 미토콘드리아 Genome 서열)들을 멀티파스타 형식으로 다운로드 하였다. 다음으로NCBI에서 제공하는 formatdb 프로그램을 통하여 BLAST 검색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모든 염기서열들과 EST 서열들을 TGICL 프로그램을 통하여 clustering 및 assembing을 하였다. 그리고 NLS (Nuclear Localization Signal) 예측을 위해 EST 서열들은 Genscan 프로그램과 Emboss sixpac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미노산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벡터 서열과 E. coli 서열, 그리고 반복 서열들을 서버에 구축하여 서열들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웹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구축을 통해 고래회충 및 회충목의 염기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을 자체 BLAST를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추출 할 수 있었으며, cDNA나 genomic DNA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때 라이브러리의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lustering Res. 인터페이스를 통해 SNPs 연구 수행 시 매우 쉽게 실험용 시발체를 제작할 수 있으며 기 구축된 cDNA library의 활용을 annotated EST를 통해 극대화 시킬 수 있어 고래회충 관련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isakis simplex is one of the parasitic nematodes, and has a complex life cycle in crustaceans, fish, squid or whale. When people eat under-processed or raw fish, it causes anisakidosis and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inducing serious allergic reactions in humans. However, no web-based databas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미 밝혀진 고래회충의 EST 정보 및 근연 카테고리에 속한 생물들의 유전정보만을 모아 단독으로 BLAST가 가능하고 필요한 유전자의 서열 및 annotation 정보를 받을수 있는 웹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앞으로 고래회충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래회충이란 무엇인가? 본 데이터베이스의 주제인 고래회충(Anisakis simplex)은 고래, 돌고래, 물개 등의 소화관에 성충이 기생하는 바다포유류 기생충이다. 성충의 분변으로 배출된 충란은 유충으로 성장하여 중간숙주인 바다갑각류에 먹히게 되고 운반숙주인 해산어류나 오징어, 한치 등의 두족류에서 제3기 유충으로 성장한다.
인체 감염된 고래회충은 체내에서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가? 고래회충증(Anisakidosis)은 대부분 우리나라, 일본 등의 생선회를 즐겨먹는 아시아 지역과 유럽에 국한되어 보고되고 있으며 연구자의 층도 두텁지 않았다[2,9,11,17]. 그러나 인체 감염된 고래회충 유충은 급성복통을 일으키거나 위장관 계통에 호산구성 육아종을 형성할 뿐 만아니라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져 최근에는 식품 알레르기의 한 원인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기생충을 이용한 위생가설 관련 및 선천성면역 관련 연구의 중요 대상 기생생물로 재조명을 받고 있으며 EST 연구도 수행되어진 바 있어 NCBI Genbank를 통해 고래회충 EST 서열을 다운 로드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4,14,23].
아직 연구자 층이 두텁지 않은 생물군의 경우에는 개인 연구자들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일도 종종 있는데, 그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연구자 층이 두터운 생물군의경우 VectorBase 및 Plasmodb처럼 컨소시엄 형태로 데이터베이스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연구자 층이 두텁지 않은 생물군의 경우에는 개인 연구자들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일도 종종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연체동물서열 데이터베이스, 가시아메바, 동양달팽이 EST 데이터베이스(unpublished) 등이 있다[12,15,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tschul, S. F., W. Gish, W. Miller, E. W. Meyers, and D. J. Lipman. 1990.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15, 403-410. 

  2. Bouree, P., A. Paugam, and J. C. Petithory. 1995. Anisakidosis: report of 25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18, 75-84. 

  3. Burge, C. and S. Karlin. 1997. Prediction of complete gene structures in human genomic DNA.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68, 78-94. 

  4. Choi, S. J., J. C. Lee, M. J. Kim, G. Y. Hur, S. Y. Shin, and H. S. Park. 2009.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isakis allergy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4, 160-163. 

  5. Cokol, M., R. Nair, and B. Rost. 2000. Finding nuclear localization signals. EMBO Rep. 1, 411-415. 

  6. Ensembl. http://www.ensembl.org 

  7. Genomes online Database V 3.0. http://www.genomesonline.org 

  8. Huang, X. and A. Madan. 1999. CAP3: A DNA sequence assembly program. Genome Res. 9, 868-877. 

  9. Ishikura, H. and K. Kikuchi. 1990. Intestinal anisakiasis in Japan. Infected fish, sero-immunology, diagnosis, and prevention. pp. 129-143, Springer Verlag. Tokyo 

  10. Ishikura, H., K. Kikuchi, K. Nagasawa, T. Ooiwa, H. Takamiya, N. Sato, and K. Sugane. 1993. Anisakidae and anisakidosis. Prog. Clin. Parasitol. 3, 43-102. 

  11. Lee, E. J., Y. C. Kim, H. G. Jeong, and O. J. Lee. 2009. The mucosal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upper gastrointestinal anisakiasis: analysis of 141 cases. Korean J. Gastroenterol 53, 90-97. 

  12. Nesiohelix samarangae EST database. http://edunabi.com/~nsdb 

  13. Lee, Y. S., S. W. Kang, Y. H. Jo, H. C. Gwak, S. H. Chae, S. H. Choi, I. Y. Ahn, H. S. Park, Y. S. Han, and W. G. Kho. 2006. Bioinformatic analysis of NLS (Nuclear Localization Signals)-containing proteins from MOLLUSKS.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2, 109-113. 

  14. Moneo, I., M. L. Caballero, R. Rodriguez-Perez, A. I. Rodriguez-Mahillo, and M. Gonzalez-Munoz. 2007. Sensitization to the fish parasite Anisakis simplex: clinical and laboratory aspects. Parasitol Res. 101, 1051-1055. 

  15. Moon, E. K., J. O. Kim, Y. H. Xuan, Y. S. Yun, S. W. Kang, Y. S. Lee, T. I. Ahn, Y. C. Hong, D. I. Chung, and H. H. Kong. 2009. Construction of EST database for comparative gene studies of acanthamoeba. Korean J. Parasitol. 47, 103-107. 

  16.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www.ncbi.nlm.nih.gov/ 

  17. Pampiglione, S., F. Rivasi, M. Criscuolo, A. De Benedittis, A. Gentile, S. Russo, M. Testini, and M. Villan. 2002. Human anisakiasis in Italy: a report of eleven new cases. Pathol. Res. Pract. 198, 429-434. 

  18. Pertea, G., X. Huang, F. Liang, V. Antonescu, R. Sultana, S. Karamycheva, Y. Lee, J. White, F. Cheung, B. Parvizi, J. Tsai, and J. Quackenbush. 2003. TIGR Gene Indices clustering tools (TGICL): a software system for fast clustering of large EST datasets. Bioinformatics 19, 651-652. 

  19. PlasmoDB. http://plasmodb.org 

  20. Rice, P., I. Longden, and A. Bleasby. 2000. EMBOSS: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pen Software Suite. Trends in Genetics 16, 276-277. 

  21. Tatusov, R., N. Fedorova, J. Jackson, A. Jacobs, B. Kiryutin, E. Koonin, D. Krylov, R. Mazumder, S. Mekhedov, A. Nikolskaya, B. S. Rao, S. Smirnov, A. Sverdlov, S. Vasudevan, Y. Wolf, J. Yin, and D. Natale. 2003. The COG database: an updated version includes eukaryotes. BMC Bioinformatics 4, 41. 

  22. UCSC Genome Browser. http://genome.ucsc.edu 

  23. Yu, H. S., S. K. Park, K. H. Lee, S. J. Lee, S. H. Choi, M. S. Ock, and H. J. Jeong. 2007. Anisakis simplex: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of third-stage larva. Exp. Parasitol. 117, 5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