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기능식품공전에서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매실추출제품 중 시안화합물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피크린산지법, 효소-피크린산지법, IC 및 HPLC를 이용한 기기분석법을 검증하고 비교하였다. 먼저, 피크린산지법은 가장 분석소요시간이 짧았으며, 0.01 mg/$200\;mL\;CN^-$에서 피크린산지의 변색이 관찰되었으나, 배당체 형태의 아미그달린으로부터 유래되는 시안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beta$-glucosidase를 이용한 효소-피크린산지법은 아미그달린으로부터 유래되는 시안화합물을 포함한 총 시안화합물의 정성분석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정량 분석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IC 및 HPLC를 이용한 시안화합물 분석법은 유리되어 있는 시안화합물과 아미그달린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며, 분석시간 또한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매실추출제품에 존재하는 시안화합물 분석법으로는 효소-피크린산 지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crate, enzyme-picrate and instrumental analysis methods using IC (Ion Chromatography) and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ere compar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determining cyanide in extracts of Maesil, which is classified as a harmful substance. First, the picrate method show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실추출제품의 시안화합물 분석에 있어 기존의 건강기능식품공전 시험법을 검토하고, β-glucosidase를 이용한 효소-피크린산지법과 HPLC와 IC를 이용한 시안화수소 및 아미그달린 분석법을 매실추출제품에 적용하여 비교함으로서 효과적인 분석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시료의 시안화합물을 분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유리되어 있는 시안화합물을 IC 혹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는 방법과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 아미그달린을 HPLC를 통해 정량하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토대로 매실추출제품에 시안화합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IC와 HPLC를 이용한 분석법을 적용하고 검토하였다.
  •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피크린산지법은 유리 시안화합물은 검출하지만, 배당체 형태인 시안화합물 자체는 감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품 내에 존재하는 유리 시안화합물 및 시안배당체의 정확한 검출을 위해서 시험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구입한 3종류의 제품 분석결과, 피크린산지의 변색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제품 내 시안화합물의 부재에 의한 것인지 혹은 시험법 자체의 검출한계가 높아 시안화합물의 감지가 어려워 변색이 되지 않은 것인지 하는 의문을 생기게 하였다. 따라서, 매실추출제품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안배당체인 아미그달린과 유리 형태의 CN를 제공할 수 있는 시안화칼륨을 시료에 첨가하여 피크린산지법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은 무엇인가? 매실은 장미과에 속하는 매화나무(Prunus mume)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국 동남부지방이며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온난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1). 매실은 강력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주로 차로 음용하거나, 술, 김치, 쨈 등 각종 식품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미숙과일(청매)을 약제로도 이용하고 있다(2,3).
매실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매실은 장미과에 속하는 매화나무(Prunus mume)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국 동남부지방이며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온난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1). 매실은 강력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주로 차로 음용하거나, 술, 김치, 쨈 등 각종 식품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미숙과일(청매)을 약제로도 이용하고 있다(2,3).
피크린산지법의 개선을 위해 β-glucosidase를 매실추출제품에 적용한 이유는? 피크린산지법의 개선을 위해 문헌 조사한 결과, 이전의 연구에서 β-glucosidase를 이용한 피크린산지법을 통하여 cassave roots와 flour와 같은 제품 중 총 시안화합물 정량분석법을 정립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1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보고들을 토대로 하여 β-glucosidase를 매실추출제품에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wang JY, Ham JW, Nam S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2004) 

  2. Jung DH, You JY. Fermented Foods of Vegetables. Gangilsa, Seoul, Korea. pp. 130-134 (1997) 

  3. Kim JH, Xiao PG. Traditional Drugs of the East. Younglimsa, Jeonju, Korea. pp. 88-90 (1989) 

  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unctional material on health/functional food. Available from: http://hfoodi.kfda.go.kr/am/menu.jsp?code100100040. Accessed Aug. 10, 2009. 

  5. Vetter J. Plant cyanogenic glycosides. Toxicon 38: 11-36 (2000) 

  6. Kim DH.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Korea. pp. 45-53 (1995) 

  7. Abd EI-Aal MH, Hamza MA, Rahma EH. In vitro digestibility,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apricot kernel proteins. Food Chem. 19: 197-211 (1986) 

  8. Tuncel G, Nout MJR, Brimer L, Goktan D. Toxicological, nutritional and microbiological evalution of tempe fermentation with Rhizopus oligosporas of bitter and sweet apricot seeds. Int. J. Food Microbiol. 11: 337-344 (1990) 

  9. Tylleskar T, Rosling H, Banea M, Bikangi N, Cooke RD, Poulter NH. Cassava cyanogens and konzo, an upper motoneuron disease found found in Africa. Lancet 339: 208-211 (1992) 

  10. Bradbury MG, Egan SV, Bradbury JH. Picrate paper kits for determination of total cyanogens in cassava roots and all forms of cyanogens in cassava products. J. Sci. Food Agr. 79: 593-601 (1999) 

  11. Bradbury JH. Development of a sensitive picrate method to determine total cyanide and acetone cyanohydrins contents of gari from cassava. Food Chem. 113: 1329-1333 (2009) 

  12. Haque MR, Bradbury JH. Total cyanide determination of plants and foods using the picrate and acid hydrolysis methods. Food Chem. 77: 107-114 (2002) 

  13. Drochioiu G, Arsene C, Murariu M, Oniscu C. Analysis of cyanogens with resorcinol and picrate. Food Chem. Toxicol. 46: 3540-3545 (2008) 

  14. Egan SV, Yeoh HH, Bradbury JH. Simple picrate paper kit for determination of the cyanogenic potential of cassava flour. J. Sci. Food Agr. 76: 39-48 (1998) 

  15. Sumiyoshi K, Yagi T, Nakamura H. Determination of cyanid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with O-phthalaldehyde. J. Chromatogr. A 690: 77-82 (1995) 

  16. Miralles E, Prat D, Compano R, Granados M. Assessment of different fluorimetric reaction for cyanide determination in flow systems. Analyst 122: 553-558 (1997) 

  17. Hong JH, Lee DH, Han SB, Lee DH, Lee KB, Park JS, Chung HW, Lee SY, Park SG, Park ER, Hong KH, Han JW, Kim MC, Song IS. The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and monitoring of toxins in food materials. The Annual Report of KFDA 8: 442-452 (2004) 

  18. Christison TT, Rohrer JS. Direct determination of free cyanide in drinking water by ion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J. Chromatogr. A 1155: 31-39 (2007) 

  19. ICH, ICH Topic Q2 (R1)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CPMP/ICH/381/95 European Medicines Agency (1995) 

  20. Sano A, Takezawa M, Takitani S. Fluorometric determination of cyanide with O-phthaldehyde and taurine. Anal. Sci. 2: 491-492 (1986) 

  21. Ge BY, Chen HX, Han FM, Chen T. Identification of amygdalin and its major metabolites in rat urine by LC-MS/MS. J. Chromatogr. B 857: 281-28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