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정제염과 천일염 그리고 수입산 정제염과 천일염 등 6가지 소금에 대하여 안전성을 분석하고,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며 품질을 평가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6가지의 소금에서 DEHP가 검출되었고, 특히 국내산 천일염과 중국산 천일염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페로시안화이온과 중금속(Cd, Pb, As, Hg)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사분의 경우는 모든 소금에서 미량 함유되어 있어 식염으로서 안전하였다. 동일한 6가지 소금에 대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pH는 감소하였고, 산도와 염도는 발효되면서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젖산균 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저장 21일째부터 소폭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저장 28일째에는 수입산염보다 국내산염에서 신내가 강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국내산염이 수입산염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나 처리구간 근소한 차이를 보일 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즉, 본 연구에 사용한 소금은 식염으로서 모두 안전하였으며,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이화학적 평가, 젖산균 수 분석 및 관능평가에서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afety of various salts (domestic purified salt, domestic solar salt, imported purified salt, imported solar salt) as well as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kimchi fermented during 28 days at $4^{\circ}C$. All salts contained DEHP, but ferrocyanide ion and heavy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 무 등에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젓갈 등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숙성시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9,10)으로 김치 숙성은 원료자체와 제조 환경으로부터 혼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며, 재료 중의 탄수화물, 아미노산 등으로부터 산미, 지미, 방향을 내는 저분자 물질들이 생성됨으로써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이 생성된다(11).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그리고 수입산염에 대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소금의 주 용도인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며 그 품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 무 등에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젓갈 등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숙성시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9,10)으로 김치 숙성은 원료자체와 제조 환경으로부터 혼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며, 재료 중의 탄수화물, 아미노산 등으로부터 산미, 지미, 방향을 내는 저분자 물질들이 생성됨으로써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이 생성된다(11).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그리고 수입산염에 대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소금의 주 용도인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며 그 품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DEHP 외에 소금의 안전성에 위해를 가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그러나 1987년 국제암연구소에서 보고한 발암성, 생식기형 등 안전성 평가 이후, 인체 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8). 소금 중 존재하는 또 다른 위해 오염물질로 페로시안화이온은 소금이 쉽게 굳어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첨가하는 고결 방지제며, 이 외에 소금에서 검출되는 중금속의 종류에는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등이 있고(4), 이들은 소금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김치, 장류, 젓갈류 등의 2차 가공식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소금제품의 안전성 연구가 시급하다.
소금은 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소금은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조미료 중의 하나이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소금을 많이 사용하는 장류와 각종 절임식품이 주요한 식재료인 경우 소금의 품질은 제품에 큰 영향을 미친다(1). 소금은 음식의 맛을 내는 기능 외에 가장 중요한 나트륨의 공급원으로 세포 외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이며, 사람의 혈액 중 약 0.9% 정도 함유되어 있는 소금은 생체 내에서 무기물 소재로 산·염기‚ 평형, 세포막 전위의 조절, 세포막에서의 물질 이동 등 생리적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음식의 저장성을 부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3). 소금의 시장 규모는 2008년 기준으로 약 335만 4천 톤이며, 이 중 식용으로 사용되는 양은 약 69만 8천 톤으로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in DH, Jo EJ, Hong JS.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J. Fd. Hyg. Safety 14: 277-281 (1999) 

  2. Vander AJ, Sherman JH, Luciano DS. Human Physiology. 5th ed. McGraw Hill Publishing Co., New York, NY, USA. pp. 471-512 (1990) 

  3. Ha JO, Park KY.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1998) 

  4. Na BJ, Ha SD.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alts. Food Sci. Ind. 42: 60-73 (2009) 

  5. Son SM, Heo K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ean J. Commun. Nutr. 7: 381-390 (2002) 

  6.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 Nutr. 12: 545-558 (2007) 

  7. Yoon MH, Eom MN, Kim KC, Jung HR, Jeong IH, Do YS, Kim YS, Ko HU, Son JS. Contents of di-(2-ethylhexyl) pthalate in PVC food packaging (in 2000-2002 and 2004). J. Fd. Hyg. Safety 20: 199-204 (2005) 

  8.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24),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p. 222-265 (1989) 

  9. Hahn YS, Oh JY, Kim YJ. Characteristics of low salt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47-651 (2002) 

  10. Jang SY, Jeong YJ. Effect of chitosan-liquid calaium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15-720 (2005) 

  11. Jo YB, Choi HJ, Baik HS, Jun KK.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rofis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 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121-128 (1997) 

  12. Bae IH, Choi SH, Choi HY.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ees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415-419 (2002) 

  13.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hn, JS.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2003) 

  14. Ku KH, Kang KO, Kim WJ. Some quality changes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76-482 (1998) 

  15. Kim YJ, Jin YY, Song KB. Study of quality change in chonggakkimchi during storage, for development of a freshness indicator. Korean J. Food Preserv. 15: 491-496 (2008) 

  16.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u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17. Kim HO, Rhee HS.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1975) 

  18. Han GJ, Jang MS.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q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02-1207 (2008) 

  19. Rhee HS, Lee CH, Lee GJ.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1987) 

  20. Hong SI, Park JS, Park NH.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1995) 

  21. Ahn SJ.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oc. Food Sci. 4: 39-50 (1998) 

  22. Bang BH, Seo JS, Jeong EJ.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1: 51-55 (2008) 

  23.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24. Lee MS, Oh KT, Kim, YJ. Park RD. Change in quality of calcium-fortifi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Chitin Chitosan 11: 213-217 (2006) 

  25. Han HU, Lim HR, Park HK.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d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1990) 

  26. Kim DK, Kim SY, Lee JK, Noh BS.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89-895 (2000) 

  27. Kim YS, Shin DH. Hygienic superiority of kimchi. J. Fd. Hyg. Safety 23: 91-97 (2008) 

  28. Kim SJ, Kim HL, Ham KS.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 395-401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