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타리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1 = no.209, 2010년, pp.90 - 96  

엄수나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진경언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계원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유영복 (농촌진흥청) ,  박기문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 느타리 13품종과 색상 느타리 5품종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및 polyphenol,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느타리버섯 18종의 아미노산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필수아미노산 성분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품종에서 20 mg% 함량이상을 나타냈으며, 노랑느타리(R)가 $39.13{\pm}0.82\;mg%$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은 노랑느타리(R)에서 $37.67{\pm}0.2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원형1(C), 장안PK(A)에서 각각 $28.75{\pm}0.61%$, $27.95{\pm}0.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에서는 노랑느타리(R) 버섯의 DPPH $IC_{50}$값이 $2.93{\pm}0.44\;mg/mL$로 가장 낮아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노랑느타리(R) 에탄올 추출물 1% 처리시 신장 암세포에 대해 36.90%의 세포 억제율을 보였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노랑느타리(R) 에탄올 추출물 1%농도에서 $60.5{\pm}0.2%$의 저해율이 측정되었고, 흑평(B) $56.7{\pm}1.1%$, 여름(H) $52.4{\pm}1.3%$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활성에서는 3%농도에서 흑평(B)과 삼복(G)을 제외한 나머지 느타리버섯 에탄올 추출물에서 50%이상의 용해 활성을 보였으며 노랑느타리(R)에서 거의 plasmin과 동등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는 노랑느타리(R)의 경우 $50.5{\pm}0.8%$의 비교적 높은 효소저해율이 측정되었고, 항염활성에서는 노랑느타리(R)에서 $68.4{\pm}0.3%$의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일반 느타리 13 품종과 육종 재배된 색상 느타리 5품종 중 노랑느타리(R)가 가장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 향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ti-tumorigenic, anti-hypertensive, anti-thrombic,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18 different species of genus Pleurotu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amino acid, $\beta$-glucan, and polyphenol content were also measured. All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결합을 분해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Sigma 10115, Sigma Co.)를 사용하여 버섯 추출물이 이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 간접적인 항당뇨 활성을 측정하였다.
  • 30분경과 후 thrombin에 의해 fibrinogen이 fibrin으로 되면서 gel상의 fibrin plate가 만들어지면, 각 plate에 시료를 50 µL를 점적하여 37oC incubator에서 17시간 반응시킨 후, 대조구인 plasmin과 용해정도를 비교하였다.
  • Negative control은 sample과 동일한 양의 D.W.로 하였고, positive control은 ascorbic acid(1 mg/mL)를 사용하였으며, DPPH 소거능은 대조군에 대한 50% 흡광도 감소를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IC50 µg/mL)로 표시하였다.
  • 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P. salmoneostramineu 등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가수 분해액을 200 mM의 sodium acetate buffer(pH 5.0)로 희석한 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 100 µL을 취하여 exo 1,3-β-glucanase와 β-glucosidase를 첨가한 후 glucose determination reagent(Megazyme)를 첨가하고,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total glucan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 75 mL를 첨가하고 가스발생 후 0oC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50oC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 된 시료에 6 N HCl 15 mL를 하고 acid stable amino acid 전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처리한 후 SYKAM S433(Sykam, Eresing, German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그리고 0.45 µm filter로 여과한 후 Table 1의 조건하에서 HPLC(Waters Co., Milford, MA, USA) 로 분석하였다.
  • 내독소인 lipopolysaccharide(Sigma L52930, Sigma Co.)를 RAW264.7 cell에 처리하고 버섯 추출물 시료를 첨가하여, 생성되는 염증 유발물질의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즉, DMEM 배지를 사용하여 RAW264.
  • 그리고 식품에서 혈전용해 효소를 얻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발효식품으로부터 혈전용해효소의 정제 및 생산균주의 분리가 보고되었고, 버섯을 통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30). 느타리버섯 18품종이 혈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fibrin plate method를 이용하여 용해환의 면적을 plasmin의 면적과 비교하였다. 즉,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의 혈전용해력을 plasmin(1 U/mL)과 비교 하여 저해능으로 측정한 결과 Fig.
  • 즉 5×104 cell/wel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oC, 5% CO2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 180 µL와 버섯시료 에탄올 추출물 1% 농도의 시료 200 µL를 첨가하였다.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시약을 분주하여 4시간 후 ELISA microreader model680(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 다음으로 polyphenol 함량분석을 하였다.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항산화, 항균 활성 등의 생리 활성 기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5).
  • 반응 후 생성되는 유리 glucose양을 측정하여 α-glucoamylase 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 버섯자실체를 동결건조시켜 분쇄한 후 건조 시료의 20배(v/w) 의 80% ethanol을 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추출한 후 흡입 여과하였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베타글루칸 함량은 BETA-GLUCAN kit(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β-glucan의 함량은 total glucan 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을 구한 후, α-glucan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 차이로 측정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α-amyloglucosidase는 α1,4 및 1,6 glucoside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본 실험에서는 단당류 소화작용을 갖는 이 효소의 활성 억제율을 측정하였고, positive control로 acarbose를 사용하였다.
  • 영양성분의 마지막 분석으로 β-glucan 함량측정을 실시하였다.
  • 특히, 노랑느타리 (R)의 fibrin 용해활성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plasmin(1U/mL)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추출액의 혈전용해활성은 대조구의 용해면적에 대한 시료의 용해면적의 상대적인 비율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 일반 느타리 13품종과 색상 느타리 5품종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및 polyphenol, β-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 5 mL 의 ethylacetate를 첨가한 후 5분 이상 충분히 혼합하고 3,000 rpm 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 1 mL을 취해 120oC dry oven 에서 40분간 ethylacetate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잔유물을 증류수1 mL로 용해하고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시료 및 기질, 효소를 첨가하고 반응 전에 1 N HCl을 동량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sample blank군을 함께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시료 대신 borate buffer를 사용하였다.
  • 즉 5×104 cell/wel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oC, 5% CO2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 180 µL와 버섯시료 에탄올 추출물 1% 농도의 시료 200 µL를 첨가하였다.
  • 즉, β-glucan의 함량은 total glucan 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을 구한 후, α-glucan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 차이로 측정하였다.
  • 즉, β-glucan의 함량은 total glucan 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을 구한 후, α-glucan과 glucan 이외의 당 함량 차이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에 37% 염산을 첨가하여 100oC에서 2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킨 후 2 N KOH를 이용하여 pH를 조정하였다. 가수 분해액을 200 mM의 sodium acetate buffer(pH 5.
  • 30분경과 후 thrombin에 의해 fibrinogen이 fibrin으로 되면서 gel상의 fibrin plate가 만들어지면, 각 plate에 시료를 50 µL를 점적하여 37oC incubator에서 17시간 반응시킨 후, 대조구인 plasmin과 용해정도를 비교하였다. 추출액의 혈전용해 활성은 대조구의 용해면적에 대한 시료의 용해면적의 상대적인 비율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 혈전용해활성은 fibrinogen(Sigma F-8630, Sigma Co.) 및 thrombin(Sigma T-6634, Sigma Co.)으로 제조한 fibrin plat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12). 즉, 직경 90 mm petri dish에 50 unit/mL thrombin 용액 200 µL와 0.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느타리버섯 품종은 2008년도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서 재배한 일반 품종 13종(P. ostreatus 11종과 P. sajor-caju 2종)과 노랑느타리(P. 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1종, 분홍느타리(P. salmoneostramineu) 1종, P. ostreatus 품종이면서 청색 및 백색, 흑색인 느타리 각 1종씩 총 18품종의 자실체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각 실험의 평균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 검증법(DM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하였다.

이론/모형

  • DPPH 소거능 실험은 Blois의 방법(9)에 따라 99.9% methyl alcohol에 녹인 0.05 mM DPPH solution 3.9 mL에 버섯시료 에탄올 추출물 0.1 mL을 넣고 10초간 혼합한 후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3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egative control은 sample과 동일한 양의 D.
  • 고혈압 발생 원인물질을 생성하는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활성저해 효과는 Cushman과 Cheung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11)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borate buffer (0.
  • 2 M acetate를 첨가해서 중화 시켰다. 그리고 DNS(3,5-dinitrosalicylic acid) 환원당 정량법에 의하여 동량의 DNS를 넣고 90oC에서 10분간 끓이고 실온으로 냉각 후 증류수 1 mL 가해 5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반응 후 생성되는 유리 glucose양을 측정하여 α-glucoamylase 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 세포 독성 실험은 Kotakenara 등(10)의 방법에 따라 cell culture media는 1% streptomyc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와 10% fetal bovine serum(Sigma Chemical Co.) 포함하는 RPMI-1640와 DMSO(Sigma Chemical Co.)를 사용하였으며, 동물 세포주는 293T 신장 암세포와 TM3 정상세포를 사용하였다. 즉 5×104 cell/wel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oC, 5% CO2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 180 µL와 버섯시료 에탄올 추출물 1% 농도의 시료 200 µL를 첨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타리버섯에 함유된 유기산과 지방산의 종류는? 느타리버섯은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류를 가지고 있어 강한 항산화능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4). 그 밖에 lact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및 pyroglutamic acid 등의 유기산과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5), trehalose, glucose, fructose, mannitol, arabitol, glycerol 등의 유리당 및 당알콜류가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6). 이처럼 버섯류는 기호식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제품화할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소재라 할 수 있다.
느타리버섯의 폴리페놀 화합류의 효능은? 1%를 점유하고 있다(1). 느타리버섯은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류를 가지고 있어 강한 항산화능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4). 그 밖에 lact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및 pyroglutamic acid 등의 유기산과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5), trehalose, glucose, fructose, mannitol, arabitol, glycerol 등의 유리당 및 당알콜류가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6).
국내 농산 버섯류중 가장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높은 품종은? 국가별 생산량은 중국 350만톤, 미국 40만톤, 일본이 38만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량은 년간 약 15만톤으로 년간 총생산액은 약 7천억원 정도이다. 특히 버섯 중에서 느타리버섯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농산 버섯류 생산량의 35.1%를 점유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HS, Ha HC, Kim TS. Research and prospects in new functional mushroom-Tremella fuciformis, Grifora frondosa, and Hypsizigus marmoreus. Food Sci. Ind. 36: 42-46 (2003) 

  2. Hong JS, Kim TY. Contents of free-sugars & free-sugar alcohols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s,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59-462 (1988) 

  3. Yang HC, Song CH, Kweon MH. Mycelial new material, food functional technology. Hanlimwon, Seoul, Korea. pp. 187-189 (1996) 

  4. Jung IC, Park S, Park KS, Ha HC, Kim SH, Kwon YI, Ha HC. Antioxidative effect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64-469 (1996) 

  5. Hossain S, Hashimoto M, Choudhury EK, Alam N. Dietary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meliorates atherogenic lipid in hypercholesterolaemic rats. Clin. Exp. Pharmacol. P. 30: 470-475 (2003) 

  6. Lillian B, Paula B, Daniela M, Susana C, Beatriz O, Isabel C. Fatty acid and sugar compositions, and nutritional value of five wild edible mushrooms from Northeast Portugal. Food Chem. 105: 140-145 (2007) 

  7. Bose SR. Campestrin, the antibiotics of Psalliota campestris. Nature 175: 468 -468(1955) 

  8. Kim HJ, Ahn MS, Kim GH, Kang MH.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1998) 

  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1-1200 (1958) 

  10. Kotakenara E, Kushiro M, Zhang H, Sugawara T, Nagao K. Carotenoids affect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Food Sci. Nutr. 131: 3303-3306 (2001) 

  11. Cushman DW, Cheung HS.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971) 

  12. Astrup A, Mullertz S.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3446-351 (1952) 

  13. Bano Z, Rajarathnam S. Pleurotus mushrooms. Part II. 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post-harvest physiology, preservation, and role as human food. Crit. Rev. Food Sci. 27: 87-158 (1988) 

  14. Durkee AB, Thivierge PA. Ferulic acid and other phenolics in oat seeds. J. Food Sci. 42: 551-558 (1977) 

  15. Kozlowska H, Rotkiewicz DA, Zadernowski R, Sosulski FW.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 Oil Chem. Soc. 60: 1119-1131 (1983) 

  16. Cooney RV, Ross PD. N-nitrosation and nonitration of morpholine by nitrogen dioxide in aqueous solution: Effects of vanillin and related phenols. J. Agr. Food. Chem. 35: 789-798 (1978) 

  17. Kim HG.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from mushroom. Korea Food Res. Inst., Korea. pp. 33-96 (1997) 

  18. Gardner PR, Fridovich I.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783 (1991) 

  19.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L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2003) 

  20.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M.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 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205-1211 (2002) 

  21. Miura T, Ohno N, Miura NN, Shimada S, Yadomae T. Inactivation of a particle $\beta$ -glucan by proteins in plasma and serum. Biol. Pharm. Bull. 20: 1103-1107 (1997) 

  22. Kajimura M, Suga 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cluding superfine BETA-glucan (Lentinan). Chemical Industry 55: 466-475 (2004) 

  23. Lee BW, Park KM. Anti-tumor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65-671 (1998) 

  24. Ahn WS, Kim DJ, Chae GT, Lee JM, Bae SM, Sin JI, Kim TW, Namkoong SE, Lee IP.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were improved by consumption of a mushroom extract, Agaricus blazei Murill Kyowa,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Int. J. Gynecol. Cancer 14: 589-594 (2004) 

  25. Kim BK, Park EK, Shim MJ.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antineoplastic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Qel, Pleurotus ostreatus Kummer and Lentinus edodes Sing. Arch. Pharm. Res. 2: 145-151 (1979) 

  26. Hagiwara SY, Takahashi M, Shen Y, Kaihou S, Tomiyama T, Yazawa M, Tamai Y, Sin Y, Kazusaka A, Terazawa M. A phytochemical in the edible tamogi-take mushroom, D-mannitol, inhibits ACE activity and lowers the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Biosci. Biotech. Bioch. 69: 1603-1605 (2005) 

  27. Kim YE, Kwon EK, Han IH, Ku KH. Antioxidant activity, fibrinolysis,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ine mushroom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541 (2008) 

  28. Choi HS, Cho HY, Yang HC, Ra KS, Suh HJ.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Grifola frondosa. Food Res. Int. 34: 177-182 (2001) 

  29. Lee DH, Kim JH, Cheong JC, Gong WS, Yoo YB, Park JS, Yoo CH, Lee JS. Screening of mushrooms having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 Korean J. Mycol. 31: 148-154 (2003) 

  30. Lee KY, Kim JH, Son JR, Lee JS.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8: 296-301 (2001) 

  31. Park KJ, Oh YJ, Lee SY, Kim HS, Ha HC. Anti-diabetic effect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Grifola frondosa in KK- $A^{y}$ diabetic mouse and 3T3-L1 adipocy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30-335 (2007) 

  32. Higuchi M, Hisgahi N, Taki H, Osawa T. Cytolu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 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1990) 

  33. Jang HJ, Kim AK, Pyo MY, Yang KS. Inhibitors of nitric oxide synthesis from Phellinus pini in murine macrophages. Yakhak Hoeji 51: 430-43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