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씀바귀 (고채(苦菜),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뿌리의 성분 분석과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The Composition of the Root of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and Cell Vi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its Extract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2, 2010년, pp.105 - 113  

홍슬기 (전남 장흥군버섯연구소) ,  정동명 (원광대학교 생체의공학연구소) ,  김기영 (원광대학교 생활자원개발연구소) ,  황은희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원광대학교 생활자원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흰씀바귀 뿌리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성분분석, 세포 생존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검색하였다. 흰씀바귀 뿌리의 수분은 79.14%이었고 냉동건조시료 100g 당 조회분 2.49 g, 조지방 2.56 g, 조단백 8.28 g, 칼륨 216.95 mg, 인 89.15 mg이었고, 유리당glucose, sucrose 및 fructose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59.82 mg/100 g이었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41.24%로 가장 많았고, 흰씀바귀 뿌리에서 확인된 아미노산은 총 17종으로 28.12 mg/g을 함유하였으며, 주요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5.54 mg/g, 5.03 mg/g, 2.96 mg/g이었다. 신장세포주인 Vero cell에서 메탄올 추출물과 각 분획별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로 독성이 거의 없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신장 세포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 신장 세포의 성장과 증식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 세포주인 chang cell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계통분획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00{\sim}0.12\;{\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50% 소거능 (${\mu}g/mL$)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 부탄올 < 클로로포름 < 헥산 분획물 < 메탄올 < 물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흰씀바귀 뿌리의 성분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생존율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검토하였고 흰씀바귀에 대한 여러 다른 연구물들을 바탕으로 흰씀바귀가 건강기능성 식품의 신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a herbal plant, is often used to make a strong stomach as an antiphlogistic used when dyspepsia and to improve appetite in Korea and China. And also it is used for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liver diseases a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this stud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씀바귀에 대해서는 성분,3,4) 항돌연변이성,5) 항암활성 효과,6,7) 생리활성,8) 쓴맛 등9)에 대하여 연구되었으나, 뿌리가 굵고 커서 주로 뿌리를 식용하는 흰씀바귀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흰씀바귀 뿌리의 식품 원료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흰씀바귀 뿌리의 성분을 분석하고 메탄올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추출물)의 DPPH 라디칼 대한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정상 간세포와 정상 신장세포에 대한 독성을 검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씀바귀란? 씀바귀(Ixeris dentata Nakai)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 밭에 자생한다. 씀바귀의 높이는 25~50 cm 정도로 자라고, 줄기나 잎을 자르면 유백색의 액체가 있다.
한방에서 씀바귀를 부르는 이름은? 한방에서는 고채 (苦菜), 황과채 (黃瓜彩)라고도 불리우고 봄철에 뿌리를 포함한 식물의 모든 부분이 식용 또는 약용, 관상용으로 이용되며 맛은 쓰고 (苦) 성질은 차다 (寒)2)고 되어있다.
씀바귀의 성분으로 알려진 것은? 씀바귀의 성분에 대해서는 aliphatics, triterpenoids,3) sesquiterpeneglycoside 등4)이 알려져 있다. 씀바귀 및 씀바귀 뿌리의 효능에 대한 연구로는 항돌연변이성,5) 항암활성 효과6,7)와 씀바귀 생즙 추출물의 생리활성,8) 관능검사를 통한 씀바귀의 쓴맛 등9)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쓴맛 성분은 부탄올 가용성 분획에 많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n DK. Color Illustrated Korean Medicinal Plants Book (7th Edi). Seoul: Gyohaksa ;1998. p.143 

  2. Association of Korean Professor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Seoul: Youngumsa ;1999. p. 1068 

  3. Soka T. In Dictionary of Chinese Drugs (1st ed). Shanghai Science Technology Shogakukan Press; 1985 

  4. Seto M, Miyasa T, Fukushima S. Sesquiterpenelactones from Ixeris dentata Nakai. Chem Pham Bull 1986; 34: 4170-4175 

  5. Kim SH. Inhibitory effect of lxeris Dentata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1,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and the growth of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5; 24(2): 305-312 

  6. Kim MJ, Kim JS, Kang WH, Jeong DM. Effect on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of lxeris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2; 10(2): 139-143 

  7. Kim MJ, Kim JS, Jeong DM, Ham SS, Yu CY.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lxeris 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2; 10(3): 222-229 

  8. Kim MJ, Kim JS, Cho MA, Kang WH, Jeong DM, Ham SS. Biological activity of lxeris dentata Nakai jui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31(5): 924-930 

  9. Lim SJ. A Sensory evaluation of the bitter compounds from Ixeris dentata Nakai. J Korean Soc Food Cookery Sci 1996; 12(1):115-121 

  10. Charley. Foods-A scientific Approach 3E. Prentice-Hall; 1998. p.120-128 

  11. Choi JS, Chung HY, Young HS.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al plants. Korean J Phamacogn 1990; 21: 153-155 

  12. Choi JS, Young HS, Kim BW. Hypoglycemic and hypolipodemic effects of Ixeris dentata in diabetes rats. Arch Pham Res 1991;13: 269-270 

  13. Lee HJ, Lee DS, Seo Y.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rt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3; 18(3): 165-169 

  14. Jang HJ, Yu AJ, Shin SC, Kim HK, Lee SG. Chang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griminia pilosa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ous part. Korean J Medical Crop Sci 2008; 16(6): 397-410 

  15. Yu BC, Kim SS, Yun YH, Kim KY. A cytotoxity of carrier oil essential oils on cells by using of aromatherapy. Korean J Life Sci 2008; 17(5): 1027-1035 

  16. Rhu HS, Kim KO, Kim HS. Effect of plant water extracr codonopsis Lanceolatae on mouse cell activation Ex vivo. Korean J Nutr 2009; 42(3): 207-212 

  17. Jeon YH, Choi SW, Kim MR.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n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9; 25(3): 379-386 

  18. Lee KI, Kim SM. An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3): 267-273 

  19. Choi HY.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0): 1414-1421 

  20. Rhim TJ, Choi M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anum majorana L). extracts. Koean J Plant Res 2009; 22 (4): 425-430 

  21.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la mat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5): 555-650 

  2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VA; 1990 

  23. KFDA. Food code; 2000. p.304-309 

  24.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ustic phosphomoli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912; 12: 239-241 

  25. Folch J, Lees M, Sloane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1957; 226: 497-509 

  26. Metcalf LD, Schumitz AA, Pelka JR.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1966; 38: 514-516 

  27. Hansen MB, Nielsen SE, Berg K.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ering cell growth/ cell kill. J Immunol Methods 1989: 119(2): 203-210 

  28.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26: 1199-1203 

  29.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stitute of Korea. Food Composition Table; 2001. p.124-125 

  30. Lim SS, Lee JH.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hypocholesterolaemic effect of Asterscaber and Ixeris dent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7; 26(1): 123-129 

  31.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Antimicrobial e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ervation 2004; 11(2): 207-213 

  32. Sin YJ. Antioxidant and anti-imflamma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dandelion (Taraxacumofficinale) leaf and roof [Master thesis]. Seoul: Seoul Nat'l Univ; 2007 

  33. Chung KH, Yoon KR, Kim JP. Flavonoidal constituent in Korean Lactuca Dentata Makino. Korean J Dietary Culture 1994; 9(2): 131-135 

  34. Lee HJ, Kim YA, Ahn JW, Lee BJ, Moon SG, Seo YW.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4; 19(1): 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