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기반 사례중심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Program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ocused on Clinical Scenario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1, 2010년, pp.70 - 79  

김은정 (조선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황선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Web-based learning program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or clinical nurses and to evaluate learners' responses. Methods: Based on the assessment of learning needs of clinical nurses, a total of three self-directed learning modules were develop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학습 자료로 더 보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성하였다. 나눔터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학습내용이나 시스템 관련 문제에 대한 안건을 제시할 수 있으며, 연구자에게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뿐 만 아니라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증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많은 연구들이 연구자들의 연구목적을 위해 일회성으로 개발되고 이후 관리상으로 이유 등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Nam, 2003).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병원 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교육 담당 간호부서와 의사소통을 해 왔으며 향후 신규 또는 재직 간호사의 계속 교육용으로 활용하려고 한다.
  • 학습자들은 나눔터를 통하여 학습내용이나 시스템 관련 문제에 대한 안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와 학습자 간, 학습자와 프로그램 운영자간의 학습과 관련된 문의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영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들의 심장 및 호흡기계 응급상황에서의 응급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심장 및 호흡기계 응급상황에서의 간호 향상을 위해 실제 환자사례 중심의 웹기반 심폐 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반응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웹기반 응급간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은 2008년 8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G시 일 대학병원 간호사들 대상의 학습요구도 사정을 바탕으로 기관내관 삽입술과 전문심폐소생술 등을 학습하는 총 3개의 실제 사례 중심의 학습모듈을 개발하였다.
  • 응급간호와 관련된 사이트, 응급의학과 관련된 사이트, 정보검색을 위한 학술정보검색 사이트 등을 제시하여 필요시 대상자들에게 링크하여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간호 학습에 대한 간호사들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실제 임상사례를 바탕으로 한 심장 및 호흡기계 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증대 및 임상 실무의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 임상간호사들에게 심장 및 호흡기계 응급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해 실제 임상 사례를 중심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웹기반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 전문가 평가에 의한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 후 최종적으로 임상간호사를 위한 웹기반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구현하였다.
  • 또한 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결과물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은 활발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응급 환자상황 중심의 학습프로그램 개발로 현실감을 높여 임상간호사들의 응급간호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사전 학습 요구도 조사에서 나타난 인공기도삽관술, 심폐소생술, 응급약물에 대한 효율적 학습을 위해 실제 만성폐질환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던 환자와 ACLS를 받은 환자의 사례를 응급실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선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 상황에 빈번히 노출되는 간호사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이러한 응급 상황에 빈번히 노출되는 간호사들, 특히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간호사의 경우 응급 상황에서의 부적응과 부담감이 커질 수 있으며,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신체적,정신적 소진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소진감은 환자 간호에서 실수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근무 불만족으로 이어져 간호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응급상황에서 간호사의 숙련된 간호 제공이 중요한 이유는? 응급의료서비스 분야는 그 특성상 다른 병동과 구별되는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특수한 분야로서, 환자 상태가 위급하기 때문에 간호사의 신속한 판단과 우선순위의 결정이 필요하다. 특히 응급상황에서의 간호사의 신속한 처치와 간호는 환자의 사망률과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의 숙련된 간호 제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Kang, Lee, & Lee, 2001;Kim, Lee, & Kim, 1994; Um,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I. S., Jun, S. Y., Lee, K. H., Jung, S. K., Kim, K. A., & Park, J. S. (2000).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program for newly employed nurses in operating roo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6(4), 73-82. 

  2. Bae, J. O. (2005). In-service education required by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u University, Seoul. 

  3. Byun, K. J., & Hong, H. S. (2002).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 and in admission ward. Kyoungbuk Nursing Science Journal, 6(2), 1-22. 

  4. Kang, I. H., Lee, E. J., & Lee, K. J. (2001). Determination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based on new nurses'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3), 497-510 

  5. Kim, H. J., Lee, H. R., & Kim, G. B. (1995). Work analysis of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5 (4), 709-728. 

  6. Kim, J. A. (2001).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2), 361-375. 

  7. Kim, S. U., & Ju, S. J. (2007). The study of e-learning statu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1), 86-94. 

  8. Kim, S. Y., Choi, S. S., Kim, Y. H., Gwank, W. H., Kim, M. S., & Hyung, M. S. (200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10(1), 97-109. 

  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7. Republic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0. Kuiper, R. A., & Pesut, D. J. (2004). Promot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flective reasoning skills in nursing practice: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4), 381-391. 

  11. Lee, I. S. (2002). e-learning: New paradigm of cyber space. Seoul: Muneumsa. 

  12. Lee, Y. J. (2005). The research of the reality and recognition relayed to inservice education of th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ndong University, Andong. 

  13. Lee, Y. H., Kim, T. M., Kim, H. S., & Go, J. M. (2002). A study on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evelop focus basic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6(6), 65-72. 

  14. Lim, J. H. (1998). Use of internet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2(2), 39-54. 

  15. Lim, O. S. (200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The care on special diagnostic t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Nam, S. C. (2003).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6 , 123-137. 

  17. Park, C. H., & Go, H. J.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1(1), 146-157. 

  18. Park, H. A., Jo, I. S., & Kim, J. E. (1998). Development of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the internet using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4(2). 59-68. 

  19. Sin, H. W., & Hong, H. S. (2002). Develop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nursing education program of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4(1), 26-39. 

  20. Suh, H. W., & Kim, K. J. (1998). A study of triage nurse system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0(1), 184-197. 

  21. Tait, M., Tait, D., Thornton, F., & Edwards, M.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care e-learning scenario. Nurse Education Today, 28(8), 970-980. 

  22. Um, A. H. (1996). Nursing care need of patients nursing ca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Emergency Nursing, 5, 22-45. 

  23. Yoo, J. S., & Mun, S. M.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Web-based learning system program for nursing education on peritoneal dialysis. Yonsei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3 (2), 35-4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